이 논문의 목적은 베드로전서의 핵심 메시지가 적대적인 주변세계와 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있었다는 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흩어진 나그네”로 소개된 베드로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71892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37-468(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베드로전서의 핵심 메시지가 적대적인 주변세계와 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있었다는 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흩어진 나그네”로 소개된 베드로전...
이 논문의 목적은 베드로전서의 핵심 메시지가 적대적인 주변세계와 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있었다는 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흩어진 나그네”로 소개된 베드로전서의 수신자들은 주변세계와 분리되어 고난을 받고 있는 공동체이다. 그들의 고난은 주로 하나님에 대한 배타적인 신앙, 이방신들에 대한 경배 거부, 여러 종교문화적인 행사 및 모임의 불참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그들이 당한 고난의 유형은 대부분 주변 사람들에 의한 언어적 폭력이었을 것이지만, 로마 당국에 의한 사법적 박해도 포함한다. 베드로전서의 저자는 이러한 주변사회의 박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기를 요청하는가?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교회와 세상 이해를 서로 상반된 입장으로 바라보는 엘리엇과 발취의 논쟁을 살펴보아야 한다. 엘리엇이 교회와 세상의 관계를 저항의 관점에서 본 반면, 발취는 순응의 관점에서 본다. 그러나 베드로전서에서 순응과 저항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 베드로전서에는 주변 문화에 대한 저항과 순응이라는 양면적인 요소가 병존하기 때문이다. 본 서신에는 수신자들을 한편으로는 로마제국의 선한 시민으로서 사회적 평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에 대한 충성과 헌신을 위한 고난도 감수해야 하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베드로전서는 교회의 정체성을 적대적인 세상에 대한 순응이냐 저항이냐 라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세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택하심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긍정적인 관점에서 확립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교회의 정체성은 독특성, 연대성, 세상에 대한 책임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1 Peter. Doubtless the addressees of 1 Peter as "aliens" and "strange" are experiencing suffering. Their suffering might result from the Christians" exclusive devotion to the worshi...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1 Peter. Doubtless the addressees of 1 Peter as "aliens" and "strange" are experiencing suffering. Their suffering might result from the Christians" exclusive devotion to the worship of their God alone, their refusal to honor the various deities and their withdrawing from religious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uffering will often have been felt at the level of antagonism, slander and social ostracism from those amongst whom they lived. But for some Christians, who were accused before the Roman magistrates, their suffering could entail their trial and execution as criminals.
How does the letter position the church in relation to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t is helpful to investigate the Elliott-Balch Debate. While Elliott viewed the relation between Church and World in 1 Peter as resistance, Balch saw it as conformity. But that is not the matter as an either/or approach. Because there is material in 1 Peter that points to continuity between Christian values and those of the surrounding world, while other parts of the letter point up differences between the world and Christian group. In other words, there are elements of both resistance and conformity in 1 Peter. While the audience of 1 Peter is to strive for social tranquility, social conformity is the mode of the group up to the point of articulating ultimate loyalty, loyalty to God alone. They should endure the suffering as “Christian”. 1 Peter consistently establishes the identity of the church positively. Thus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1 Peter could be summarized as uniqueness,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Achtmeier, P.,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6
2 Osiek, C., "신약의 사회적 상황"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3 Ladd, G. E., "신약신학(개정판)" 대한기독교서회 2002
4 Hahn, F., "신약성서신학" 대한기독교서회 487-, 2007
5 Bosch, D., "변화하고 있는 선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6 박창환, "베드로전후서/유다서" 대한기독교서회 1996
7 왕인성, "베드로전서의 '고난' 이해-수신자의 정체성과 삶의 자리에 대한 사회문화적 재구성을 토대로" 한국신약학회 18 (18): 853-888, 2011
8 현경식,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선행의 윤리" 한국신약학회 18 (18): 1183-1212, 2011
9 Michaelis, J. R., "베드로전서" 솔로몬 2006
10 Perkins, P., "베드로 전·후서, 야고보서, 유다서"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1 Achtmeier, P.,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6
2 Osiek, C., "신약의 사회적 상황"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3 Ladd, G. E., "신약신학(개정판)" 대한기독교서회 2002
4 Hahn, F., "신약성서신학" 대한기독교서회 487-, 2007
5 Bosch, D., "변화하고 있는 선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6 박창환, "베드로전후서/유다서" 대한기독교서회 1996
7 왕인성, "베드로전서의 '고난' 이해-수신자의 정체성과 삶의 자리에 대한 사회문화적 재구성을 토대로" 한국신약학회 18 (18): 853-888, 2011
8 현경식,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선행의 윤리" 한국신약학회 18 (18): 1183-1212, 2011
9 Michaelis, J. R., "베드로전서" 솔로몬 2006
10 Perkins, P., "베드로 전·후서, 야고보서, 유다서"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11 채영삼, "공동서신의 새 관점" 한국신약학회 21 (21): 761-796, 2014
12 박수암, "공동서신" 대한기독교서회 2001
13 권오현, "공동서신" 대한기독교서회 2002
14 Dryden, J. de W, "Theology and Ethics in 1 Peter: Paranetic Strategies for Christion Character Formation" Mohr 2006
15 Martin, R. P., "The Theology of the Letters of James, Peter and Jude (NTT)" Cambridge Uni. Press 63-168, 1994
16 Elliott, J. H., "The Rehablitation of an Exegetical Step-Child: 1 Peter in Recent Research" 95 : 243-254, 1976
17 Horrell, D. G., "The Label Christianos: 1 Peter 4.16 and the Formation of Christian Identity" 126 : 361-381, 2007
18 Achtemeier, P. J., "The Future of Christology : Essays in Honor of Leander E. Keck" Fortress Press 176-188, 1993
19 Doering, L., "The Catholic Epistles and Apostolic Tradition: A New Perspective on James to Jude" Baylor Uni. Press 215-236, 2009
20 Croix, G. E. M., "Studies in Ancient Society" Routledge and Kegan Paul 6-38, 1974
21 Volf, M., "Soft Difference: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urch and Culture in 1 Peter" 10 : 15-30, 1994
22 Horrell, D. G., "Reading 1 Peter with New Eyes: Methodological Reassessments of the Letter of First Peter (LNTS)" T&T Clark 2007
23 Oakes, P., "Philippians: From People to Letter" Cambridge University 2001
24 Elliott, J. H., "Perspectives on First Peter" Mercer Uni. Press 61-78, 1986
25 Balch, D. L., "Perspectives on First Peter" Mercer Uni. Press 79-101, 1986
26 Balch, D. L., "Let Wives Be Submissive: The Domestic Code in 1 Peter" Scholars Press 1981
27 Boring, M. E., "I Peter (ANTC)" Abingdon 1999
28 Elliott, J. H., "Home for the Homeless: A Sociological Exegesis of 1 Peter" Fortress Press 1981
29 Bechtler, S. R., "Following in His Steps: Suffering, Community, and Christology in 1 Peter (SBLDS 162)" Scholars Press 1998
30 Horrell, D. G., "Essays on 1 Peter and the Making of Christian Identity" T & T Clark 2013
31 Lockett, D., "An Introduction to the Catholic Epistles" T&T Clark 2012
32 McKnight, S, "Aliens and Exiles: Social Location and Christian Vocation" 24 : 2004
33 Chin, M., "A Heavenly Home for the Homeless: Aliens and Strangers in 1 Peter" 42 : 96-112, 1991
34 Elliott, J. H., "1 Peter: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Doubleday 2000
35 Horrell, D. G., "1 Peter" T&T Clark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