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기적 문제음주자의 고통감내과정에 대한 정동적 판단 모델의 제안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7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통감내과정에 대한 정동적 판단 모델을 제안하고 장기적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술은 고통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경험할 때 술을 마시곤 한다. 하지만 고통을 견디는 능력에 따라 술을 마시는 빈도와 양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고통 감내력(distress tolerance)은 문제음주 행동의 발현과 유지, 재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문제음주 행동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고통감내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통감내과정을 일종의 판단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했다. 특히 고통상황에서 회피행동과 감내행동 선택 시 예상되는 처벌 및 보상을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affect)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선택안들에 연결된 정동의 양상이 고통 감내력 수준을 결정한다는 정동적 판단 모델(affective judgment model)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는 일련의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의 고통 감내력 수준을 측정한 뒤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과의 관계를 탐색했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특정 개념이나 이미지에 연결된 정동을 측정하는 과제를 실시하여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을 평가하였으며, 이후 1주일 동안 일상생활에서의 고통 감내력을 측정하는 질문지들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은 고통 감내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부정적 정서경험이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의 정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파악하기 위해 통제된 상황에서 연구의 주요가설을 재검증했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사용한 과제를 이용하여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측정한 뒤, 고통 감내력을 평가하는 행동과제와 자기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과제 종료 후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다시 측정하여 과제 전후의 변화를 비교했다. 분석결과, 부정적 정서경험은 회피행동과 감내행동의 정동을 변화시켜 회피행동에 대한 매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연구 1에서와 마찬가지로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은 고통 감내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이 고통 감내력과 인과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변화시킨 뒤 고통 감내력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3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할당한 뒤, 각 선택안의 정동을 측정하고 1주일 동안 각 집단별로 구성된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실험집단은 각 선택안의 정동을 변화시키도록 고안된 정서단어 연합과제와 감내행동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중립단어 연합과제와 음주행동관찰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각 정동에 조작을 가한 실험집단의 고통 감내력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이 장기적 문제음주자들의 고통 감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이는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장기적 문제음주자들의 고통 감내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고통감내과정에 대한 정동적 판단 모델을 제안하고 장기적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술은 고통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본 연구에서는 고통감내과정에 대한 정동적 판단 모델을 제안하고 장기적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술은 고통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경험할 때 술을 마시곤 한다. 하지만 고통을 견디는 능력에 따라 술을 마시는 빈도와 양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고통 감내력(distress tolerance)은 문제음주 행동의 발현과 유지, 재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문제음주 행동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고통감내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통감내과정을 일종의 판단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했다. 특히 고통상황에서 회피행동과 감내행동 선택 시 예상되는 처벌 및 보상을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affect)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선택안들에 연결된 정동의 양상이 고통 감내력 수준을 결정한다는 정동적 판단 모델(affective judgment model)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는 일련의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의 고통 감내력 수준을 측정한 뒤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과의 관계를 탐색했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특정 개념이나 이미지에 연결된 정동을 측정하는 과제를 실시하여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을 평가하였으며, 이후 1주일 동안 일상생활에서의 고통 감내력을 측정하는 질문지들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은 고통 감내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부정적 정서경험이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의 정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파악하기 위해 통제된 상황에서 연구의 주요가설을 재검증했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사용한 과제를 이용하여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측정한 뒤, 고통 감내력을 평가하는 행동과제와 자기보고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과제 종료 후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다시 측정하여 과제 전후의 변화를 비교했다. 분석결과, 부정적 정서경험은 회피행동과 감내행동의 정동을 변화시켜 회피행동에 대한 매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연구 1에서와 마찬가지로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에 연결된 정동은 고통 감내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이 고통 감내력과 인과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 선택안에 연결된 정동을 변화시킨 뒤 고통 감내력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장기적 문제음주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3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할당한 뒤, 각 선택안의 정동을 측정하고 1주일 동안 각 집단별로 구성된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실험집단은 각 선택안의 정동을 변화시키도록 고안된 정서단어 연합과제와 감내행동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중립단어 연합과제와 음주행동관찰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각 정동에 조작을 가한 실험집단의 고통 감내력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이 장기적 문제음주자들의 고통 감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이는 감내행동 및 회피행동에 연결된 정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장기적 문제음주자들의 고통 감내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문제음주 4
      • 알코올 사용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 고통 감내력과 알코올 사용문제 10
      • 고통을 견디는 과정 13
      • 서 론 1
      • 문제음주 4
      • 알코올 사용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 고통 감내력과 알코올 사용문제 10
      • 고통을 견디는 과정 13
      • 행동주의적 모델의 정교화 23
      • 정동적 판단 모델 26
      • 장기적 문제음주자의 고통감내과정: 정동적 판단모델의 적용 38
      • 연구목적 및 연구개요 41
      • 연구 1.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 관련 정동과 고통 감내력의 관계: 장기적 문제음주자의 일상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44
      • 방 법 46
      • 결 과 57
      • 논 의 65
      • 연구 2. 장기적 문제음주자의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 관련 정동과 고통 감내력의 관계: 통제된 상황에서의 행동 측정 70
      • 방 법 74
      • 결 과 78
      • 논 의 87
      • 연구 3. 회피행동 및 감내행동의 정동변화와 고통 감내력의 관계: 장기적 문제음주자를 대상으로 91
      • 방 법 92
      • 결 과 103
      • 논 의 114
      • 종합논의 117
      • 참고문헌 138
      • 부 록 158
      • ABSTRACT 17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진섭, "주찬.조광,3(12)", 경성:조선일보사, 1937

      2 장승옥, 최현숙, 조성기, 제갈정, 이혜경, 윤혜미, "대학생의 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고양: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1

      3 양병창, 최상진,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 - D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건강,6(1),59-76, 2001

      4 조맹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 2011

      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건강,1(1),1-14, 1996

      6 권석만, 서장원, "고통 감내력과 심리장애:경험적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일반,34(2),353-383, 2015

      7 민경환, 박인조,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9(1),109-129, 2005

      8 장승민,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일반,30(3),677-706, 2011

      9 김은정, 이현희,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 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22(4),935-946, 2003

      10 박성아,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 김진섭, "주찬.조광,3(12)", 경성:조선일보사, 1937

      2 장승옥, 최현숙, 조성기, 제갈정, 이혜경, 윤혜미, "대학생의 음주실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고양: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1

      3 양병창, 최상진,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 - D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건강,6(1),59-76, 2001

      4 조맹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 2011

      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건강,1(1),1-14, 1996

      6 권석만, 서장원, "고통 감내력과 심리장애:경험적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일반,34(2),353-383, 2015

      7 민경환, 박인조,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9(1),109-129, 2005

      8 장승민,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일반,30(3),677-706, 2011

      9 김은정, 이현희,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 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22(4),935-946, 2003

      10 박성아,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 남궁기, 최문종, 이필구, 이충헌, 이병욱,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진단 검사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중독정신의학,4(2),83-92, 2000

      12 권석만, 정지현,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탈중심화와 회피적 대 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상,32(3),627-647, 2013

      13 권석만, 서장원, "한국판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의 타당화 연구:한국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상,33(4),783-801, 2014

      14 조용래, 이정은 ( Jeong Eun Lee ),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일반화된 불안증상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6(4),939-961, 2007

      15 조용래, "걱정의 통제 불능성/위험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시험불안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상,27(4),891-909, 2008

      16 유성진, "불안증상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불안감내력장애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조용래, 장하연,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12(3),299-313, 2012

      18 장하연, "역기능적 신념,고통 수준과 고통 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PASAT-C 과제와 자기보고식 검사를 활용하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