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에서 본 아싸지올리(Assagioli)의 명상관 -『니까야』와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 Assagioli`s Meditation according to Buddhist View: with reference to Nikaya and Vissudhimagg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3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로베르토 아싸지올리(Roberto Assagioli, 1888~1974)는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 사이자 심리학자로서, 인간의 정신구조를 의식, 무의식, 집단 무의식 등으로 세분화한 정신통합(Psychosynthesis)이론의 창...

      로베르토 아싸지올리(Roberto Assagioli, 1888~1974)는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 사이자 심리학자로서, 인간의 정신구조를 의식, 무의식, 집단 무의식 등으로 세분화한 정신통합(Psychosynthesis)이론의 창시자이다. 정신통합이론이 여타의 심리학 이론과 다른 점은 인간의 잠재력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무의식에 내재한 잠재력의 개발은 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되는데, 잠재력의 개발에서 강조되는 것이 ‘의지’이다. 인간은 모두 자유의지를 가지며 이것을 인지하는 것이 정신활동에 유용하다는 것을 부각시켰다. 이것은 붓다가 의지적 작용을 업이라 정의하고 의지가 수반된 행위를 강조한 것과 상통한다. 또 내가 경험하는 상황과 나, 내 마음과 나를 분리하는 탈동일시 기법은 불교의 무아체득과 유사하다. 아싸지올리는 이론뿐 아니라 치료에도 연구활동을 집중하였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치료는 마음의 안정에서 시작하여, 문제를 숙고하는 사색적 명상, 상위의식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수용적 명상, 실제 생활에서의 표현과 실천의 단계인 창조적 명상을 거친다. 이는 마음의 통제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주제에 집중하는 사마타, 통찰지를 개발하는 위빠사나, 불교의 실천 강조와 상응한다. 본고에서는 정신통합이론을 불교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정신통합의 명상치료를 불교의 사마타ㆍ위빠사나와 비교 연구한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에서 불교의 영향을 바로 밝히고, 앞으로 불교의 심리치유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berto Assagioli is an Italian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He is the founder of Psychosynthesis Theory which categorized the mental structure of human into the consciousness, unconscious, collective unconscious, etc. This theory is different from ...

      Roberto Assagioli is an Italian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He is the founder of Psychosynthesis Theory which categorized the mental structure of human into the consciousness, unconscious, collective unconscious, etc. This theory is different from other psychological theories with its keen interest in the human potential. Assagioli understood that the spiritual energy such as the spiritual insight and creative inspiration is embedded in the higher unconscious and used it in his psychotherapy. According to him,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embedded in the unconscious of human mind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integration and human ‘will’ is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He emphasized that everyone has free will and that recognizing it is useful for the mental activities. This is in line with Buddha defining the intentional action as karma and emphasizing the deed accompanied by the will. In addition, disidentification technique that separates the self from the experience and the self from the mind is similar to mastering anatma. Assagioli focused his research activities not only in theories but also in his therapies. In the therapeutic aspect, the goal of Psychosynthesis is ‘to unify the individual’s talent and skills to one skill.’ Meditation therapy is an important therapeutic technique for Psychosynthesis. Meditation therapy of Assagioli is useful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will but also in consciousness training for the psychosynthesis. The meditation process of Assagioli starts from the a state of balance and progresses through reflective meditation, a phase dwelling on a subject, receptive meditation, a phase embracing the message of higher consciousness, and creative meditation, a phase of expression and practice in the reality. These correspond with mindfulness for the control of mind, samatha focusing on the meditation topic, vipassana developing the knowledge on the insight and emphasizing practice in Buddhism. This study considers the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Buddhistic perspective and compares the meditation therapy of Psychosynthesis and samatha vipassana of Buddhism.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Buddhist influence in the meditation of Assagioli and help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Buddhistic psychological healing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트랜스퍼스널 학회"

      2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3

      3 문일경, "통합심리학 연구의 세 가지 주요 흐름: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 한국상담학회 9 (9): 863-875, 2008

      4 붓다고사, "청정도론 2" 초기불전연구원 2004

      5 붓다고사, "청정도론 1" 초기불전연구원 2004

      6 Brown, Molly Young, "정신통합의 실제" 하나의학사 2007

      7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上)" 민족사 1989

      8 Assagioli, Roberto, "의지의 작용" 금강출판사 1994

      9 조동현, "위빠사나 명상의 실천 수행에 관한 연구 : 초기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10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6" 초기불전연구원 2008

      1 "한국트랜스퍼스널 학회"

      2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3

      3 문일경, "통합심리학 연구의 세 가지 주요 흐름: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 한국상담학회 9 (9): 863-875, 2008

      4 붓다고사, "청정도론 2" 초기불전연구원 2004

      5 붓다고사, "청정도론 1" 초기불전연구원 2004

      6 Brown, Molly Young, "정신통합의 실제" 하나의학사 2007

      7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上)" 민족사 1989

      8 Assagioli, Roberto, "의지의 작용" 금강출판사 1994

      9 조동현, "위빠사나 명상의 실천 수행에 관한 연구 : 초기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10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6" 초기불전연구원 2008

      11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2" 초기불전연구원 2008

      12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1" 초기불전연구원 2008

      13 이기흥,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마음인문학의 토대정립을 위한 하나의 발견적 모델" 대동철학회 (62) : 27-59, 2013

      14 성승연, "심리치료에서의 탈동일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65-275, 2005

      15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3" 초기불전연구원 2009

      16 정준영,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의 의미와 쓰임에 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회 (12) : 521-552, 2005

      17 임승택,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보조사상연구원 16 : 2001

      18 안양규, "붓다의 무아와 아싸지올리의 탈동일시" 불교와심리연구원 6 : 2014

      19 김영석, "불교 업론에 나타난 의지와 그 표출행위의 상관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20 권석만, "불교 수행법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5 : 1998

      21 윤미영, "발보리심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13 : 2005

      22 각묵스님, "니까야 강독 2" 초기불전연구원 2013

      23 안양규, "논문 : 인도 및 동남아 불교의 이상인간" 종교문제연구소 (7) : 241-264, 2001

      24 각묵스님, "네 가지 마음 챙기는 공부" 초기불전연구원 2011

      25 "Visuddhimagga"

      26 Assagioli, Roberto, "The Act of Will" The Viking Press 1973

      27 "Samytta nikāya"

      28 Assagioli, Roberto, "Psychosynthesis" 춘해대학 출판부 2003

      29 Assagioli, Roberto, "Psychosynthesis" The Viking Press 1965

      30 "Dīgha nikāya"

      31 "Anguttara nikāy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01-01 평가 탈락(기타) (계속평가)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3 0.68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