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帝强占期 朝鮮人 志願兵制度 硏究 = (A) study on the Korean volunteer 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8139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崇實大學校,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崇實大學校 大學院 , 史學科 ,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066 판사항(4)

      • DDC

        951.90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i, 151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17-12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는 1931년 ‘滿洲事變’ 과 1937년 ‘中日戰爭’을 계기로 아시아 대륙으로 침략을 본격화하는 한편, 1941년에는 ‘太平洋戰爭’을 일으켜 남태평양지역에 이르기까지 전선을 확대해 갔다...

      일제는 1931년 ‘滿洲事變’ 과 1937년 ‘中日戰爭’을 계기로 아시아 대륙으로 침략을 본격화하는 한편, 1941년에는 ‘太平洋戰爭’을 일으켜 남태평양지역에 이르기까지 전선을 확대해 갔다. 전쟁의 장기화와 전장의 확대에 따라 일제는 전쟁수행을 위한 막대한 물적, 인적 자원을 당시 일본의 식민지와 점령지로부터 동원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중일전쟁 개시 이후부터 조선인에 대한 ‘병력동원’이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병력동원은 우선 1938년 ‘陸軍特別志願兵制度’를 시작으로 1943년에는 ‘海軍特別志願兵制度’ 및 ‘學徒志願兵制度’와 같은 소위 ‘特別志願兵’의 형태로 동원하였다. 그리고 1943년 8월 1일 일제는 병역법을 개정하여 만 20세의 조선인 남자에게 병역의 의무를 부과하고 1944년부터 ‘徵兵制’에 의한 강제동원을 실시하였다. 이 글은 일제말기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 일제의 강제동원 가운데 조선인 특별지원병제도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조선인 강제동원에 관한 연구는 일찍이 일본지역에서 시작되었으나 국내의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더구나 기존의 연구는 노무동원이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집중되어 있어 조선인 군인ㆍ군속동원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특별지원병제도에 대해서는 징병제에 의한 병력동원에 비해 ‘지원병’이라는 점에서 ‘강제성’ 여부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연구가 부진한 부분이다.
      일제말기 조선인 군인동원과 관련하여 입영 전 다양한 형태로 군사훈련이 실시되고 있었다. 우선 일제는 학교 교육 가운데 교련을 통해 기본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일제는 일반 청년들을 대상으로 ‘靑年訓練所’, ‘朝鮮靑年特別鍊成所’를 설치하여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특히 일제말기에는 ‘朝鮮總督府陸軍兵志願者訓練所’, ‘朝鮮總督府海軍兵志願者訓練所’, ‘朝鮮總督府軍務豫備訓練所’와 같이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한 기구를 조선총독부가 직접 설치 운영하였다.
      1938년 4월 3일부터 육군특별지원병제도가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일제는 京城과 平壤에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대략 6개월의 훈련을 거쳐 육군특별지원병으로 동원하였다. 이렇게 하여 동원된 조선인 육군특별지원병은 16,830명으로, 이들은 조선 및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만주, 남양군도 등에 배치되었고, 상당수가 일제에 의해 희생되었다.
      해군특별지원병제도는 육군특별지원병보다 5년 여 늦은 1943년 8월 1일부터 실시되었다. 일본 해군에서 조선인 군인동원이 비교적 늦게 진행된 것은 일본 해군측이 조선인의 징집문제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일제는 1943년 8월 1일 병역법 개정에 의해 조선에 징병제가 실시됨에 따라 더 이상 조선인에 대한 일본 해군으로의 동원을 미룰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제는 조선인의 해군동원과 관련하여 최초의 단계로서 해군특별지원병제를 시행하였던 것이다. 일제는 경남 진해에 설치한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훈련과정을 거쳐 조선의 젊은이들을 일본 해군으로 동원하였다. 해군특별지원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총 12,166명으로 확인된다. 이 가운데 일본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조선인 1,382명은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다나베(田?) 해병단으로 입단하였다. 그리고 해군특별지원병으로 동원된 조선인 가운데 292명이 동원 중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일제는 부족한 병력을 확보하기 위해 당시 징집을 연기하고 있었던 재학생들에 대해서도 재학기간을 단축하고 징집연기를 폐지하여 일본군대로 동원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및 전문학교에 재학 또는 졸업한 조선인에 대해서도 소위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일본군대로 동원하였다. 일제는 학도지원병에 대해 자발적인 지원에 의한다고 하였으나 대상자의 100% 지원을 목표로 하였으며, 지원을 거부한 경우 강제징용으로 동원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당수의 조선인들이 지원을 거부하여 산간벽지에 숨거나, 입영후 탈출을 감행하기도 하였다. 특히 평양(平壤)사단에 배치된 조선인 학도지원병들의 부대 탈출 사건은 당시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제말기 특별지원병제도는 전쟁의 장기화와 전장의 확대에 따라 부족한 병력을 보충하기 위해 조선의 젊은이들을 일본군대로 동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일제는 동원 준비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록 ‘지원병’의 형식을 취하였으나 이는 조선총독부와 경찰력을 비롯하여 주위로부터 강한 종용에 의한 것이었다. 일제말기 특별지원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3만 3천여 명에 달하고 있고, 이들은 조선 및 일본, 중국, 만주, 쿠릴열도, 남양군도, 버어마 등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는 거의 전 지역에 배치되었으며, 이 가운데 상당수가 일제에 의해 희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the Manchurian Incident (1931) & First Sino-Japanese War (1937), Japanese imperialism had begun to realize the invasion of Asian continent. Its impetus continued even to the South Pacific through the Pacific War (1941). In the way of long-pending w...

      By the Manchurian Incident (1931) & First Sino-Japanese War (1937), Japanese imperialism had begun to realize the invasion of Asian continent. Its impetus continued even to the South Pacific through the Pacific War (1941). In the way of long-pending war & spreading battlefield, Japanese regime had tried to exploit huge amount of material-human resources from the colonized areas. This had been reinforced from the beginning stage of First Sino-Japanese War, such as conscription of Korean people. This kind of military recruitment started in the name of the special volunteer system of Army, 1938, and went further with same system of the Navy and Student draft system, 1943 that was so-called volunteerism type. Finally, Japanese regime amended the military service law in August 1, 1943 to make sure that every Korean man who is more than 20 years-old was supposed to charge the duty, on which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a mandatory recruitment from that time on, 1944.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examine what is all about Korean Volunteer system in the late stag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kind of research at some times was traced by the Japanese people, and never been researched before in domestic Korea. Furthermore some previous studies researched in Korea has a limit to focus only either on mobilizing labor works or military prostitutes for Japanese soldiers, so it never satisfied any curiosity regarding what happened in paramilitary personnel. So, I tried to disclose more in detail about special volunteer system in terms of military draft that is concealed when it comes to whether they really volunteered by themselves or by force.
      In the closing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already various types of military training related to regular service. Perhaps the military training of school curriculum will be a typical example. And Japanese governors enforced semi-soldier level training to those students. Furthermore, they established many institutes & facilities to carry out the legitimate system to recruit, such as training center for army and navy volunteers in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April 3, 1938, Army special volunteer system was activated. On the base of this training program, Japanese rulers erected two campuses in Kyung-sung & Pyong-yang to bring them up for 6 months. At that time the Korean special volunteers of Army reached to 16,380. They were sent not only to domestic in Korea, abroad Japan, but also to the China, Manchuria, and even to the South Sea archipelago, and not a few of them were sacrificed.
      Navy special volunteer system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 1943, 5 years later than that of army. Because navy authority in main land Japan had a negative opinion when it comes to the Korean recruitment. However, the Japanese navy made a decision to make it on occasion of military service law amendment on August 1 of 1943. In order to make it drive, Japanese officials had operated navy support system as the first step to recruit navy forces in Korea. They established a training center for navy special volunteers in Zinhae, Kyongnam province. From there they called out the Korean special volunteers to regular navy forces of Japan. Its number reached 12,166. Among them, 1,382 Korean volunteers who lived in main land Japan were transferred to Danabe Navy unit. Other 292 of them were identified as dead or missing.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governors gave a carrot, early graduation to the students who were postponing military service, in order to make up soldier power for the imperialism. For this reason, every young man as student soldiers who was on college or universities level including the graduated were summoned to Japanese troop. Though Japanese rulers proclaimed all student soldiers responded voluntarily, however as a matter of fact, unless they made it, they were likely to be recruited by force.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many Korean men either hide themselves for seclusion or some escaped from the barracks. Especially, escape of student soldiers in Pyong-Yang Unit reverberated to those who were living in contemporaries.
      As seen above, special volunteer system in the closing stage of Japanese imperialism was identified as an alternative to make up the shortage of soldier power, in order to cover long-pending war & spreading battlefields. For this purpose, the Japanese regime had recruited Korean young men in various ways of military training. Though they seemingly took the voluntary shape, in fact it was indirect version of exploitation by using political power based 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Victims summoned as volunteer during that period were 33,000. They were dispatched by force to domestic Korea, abroad Japan, China, Manchuria, Kurile archipelago, the South Sea peninsular, and Myanmar. A good many of them were died because of Japanese Imperi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일제시기의 조선인 군사훈련 = 6
      • 2.1. 학교 교육을 통한 군사훈련 = 6
      • 2.1.1. 학교 교련에 의한 군사훈련 = 6
      • 2.1.2. 현역장교 배속에 의한 군사훈련 = 10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일제시기의 조선인 군사훈련 = 6
      • 2.1. 학교 교육을 통한 군사훈련 = 6
      • 2.1.1. 학교 교련에 의한 군사훈련 = 6
      • 2.1.2. 현역장교 배속에 의한 군사훈련 = 10
      • 2.2. 청년훈련을 통한 군사훈련 = 14
      • 2.2.1. 청년훈련소 = 15
      • 2.2.2. 조선청년특별연성소 = 20
      • 2.3. 조선총독부의 군사훈련기관을 통한 군사훈련 = 23
      • 2.3.1. 조선총독부육군ㆍ해군병지원자훈련소 = 24
      • 2.3.2.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 = 25
      • 2.3.2.1.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의 설치와 운영 = 26
      • 2.3.2.2. 군무예비훈련소의 훈련 내용 = 31
      • 제3장 육군특별지원병제도 = 35
      • 3.1.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준비과정 = 35
      • 3.2. 육군특별지원병의 동원현황 = 45
      • 3.2.1.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의 설치 = 45
      • 3.2.2 육군특별지원병의 동원과정 = 48
      • 3.2.3. 육군특별지원병의 동원규모 = 51
      • 3.3.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목적 = 58
      • 제4장 해군특별지원병제도 = 65
      • 4.1.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 = 65
      • 4.1.1.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배경 = 65
      • 4.1.2.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내용 = 68
      • 4.2.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훈련 = 70
      • 4.2.1.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설치 = 71
      • 4.2.2.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훈련생 모집 과정 = 72
      • 4.2.3.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훈련 = 76
      • 4.3. 해군특별지원병의 동원 현황 = 77
      • 4.3.1. 해군특별지원병의 동원 규모 = 77
      • 4.3.2. 해군특별지원병의 동원 실태 = 79
      • 제5장 학도지원병제도와 평양학병사건 = 84
      • 5.1. 학도지원병제도의 실시과정 = 84
      • 5.2. 학도지원병의 동원실태 = 90
      • 5.3. 평양학병사건의 전개 = 98
      • 5.3.1. 내무반 생활과 민족차별 = 98
      • 5.3.2. 평양학병사건의 전개과정 = 101
      • 제6장 결론 = 112
      • 참고문헌 = 118
      • 부록 = 1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