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의 제정과 국사교과서의 편찬 = A Legislation of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gime and a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15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우리나라 교과서 발행제도의 형식적 틀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과 같은 기본적 틀이 제도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완비된 것은 제2차 교육과정기라 할 수 있다....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우리나라 교과서 발행제도의 형식적 틀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과 같은 기본적 틀이 제도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완비된 것은 제2차 교육과정기라 할 수 있다. 제2차 교육과정은 5・16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정권의 교육정책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경제개발과 반공주의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과 검정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교과서 발행정책에 기존의 교과서업자와 저자들은 행정소송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하였다. 그 기저에는 출판시장이 협소한 한국사회에서 교과서 시장이 차지하는 위상이 대단히 컸다는 경제적인 측면이 있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를 강행한 것은 교과서 시장에 대한 정부의 통제와 간섭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 교과서 개편에는 교과서 용지난과 교과서 대금의 인상이라는 교육 외적인 측면도 작용하였다. 이 시기 국사교과서 발행에서 주목되는 다른 하나는 교과서 발행에 대한 정부의 통제와 간섭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집필상의 유의점’과 사열 기준을 통해 교과서 서술을 강제하였고, 그것에 부합하지 않은 교과서 출원본은 검정과정에 탈락시킨 것에서 확인된다. 이는 1968년 국민교육헌장의 제정 이후 더욱 강화되어 제3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1974년 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단행되었다. 요컨대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편찬은 5・16군사정변에서 표방한 경제개발과 반공주의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이를 교과서 집필과 검정 과정에 강제한 것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은 인간의 가치를 부인하고 자유를 박탈하며 인간을 기계시하는 공산주의를 철저히 부인하는 민주주의 국가이념’이라고까지 강제하였던 것이다. 결국 제2차 교육과정기의 국사교과서는 이와 같은 정권의 이념을 구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기능하였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its first round of educational regime,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deemed to have formal rule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y. However, it is the second regime in which the contents and policy were completed.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

      During its first round of educational regime,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deemed to have formal rule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y. However, it is the second regime in which the contents and policy were completed.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gime reflected the ideology of the 5.16 cou’de tat and embodied it.
      The second rou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rk Chung Hee’s administration established after 5.16 coup’de tat. Therefore, the textbooks described and were tested based on the idea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nti-communism. Meanwhile, many private textbook publishing companies and authors went against the Park’s rule through administrative lawsuit. This was mainly because within small Korean society, the textbook market was deemed significant and so did its economic value. Nevertheless, the government strongly enforced the new law to strengthen its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he textbook market. Moreover, in this era, the change in textbook should have faced non-educational problems such as an undersupply of textbook papers and a rise of price of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 in this period reflected the valu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nti-communism, which was emphasized in the coup’de tat. It is based on the coercive enforcement of textbook writing and supervision. And it even brainwashed its people saying that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 democratic nationale which completely denies the humanistic value, hinders any freedom, and denies communism which consider human beings mere robots.” Eventually, in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gime, the history textbook functions as an important means of embodying the ideology of the Park’s reg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교육과정의 개편
      • 3. 국사교과서의 편찬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교육과정의 개편
      • 3. 국사교과서의 편찬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교부, "혁명정부 문교시책"

      2 문교부, "혁명과업 완수를 위한 향토학교 교과과정 임시 운영 요강(고등학교)"

      3 박진동,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사학회 (205) : 37-75, 2010

      4 류시현, "해방 후 최남선의 활동과 그에 관한 ‘기억’" 고려사학회 (27) : 145-173, 2007

      5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6 조성운, "해방 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근대 교통사 서술의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359-424, 2015

      7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8 민성희, "해방 직후(1945~1948) 황의돈의 국사교육 재건 활동" 한국역사교육학회 (21) : 89-140, 2015

      9 김한종,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과 지배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5 : 1991

      10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1 문교부, "혁명정부 문교시책"

      2 문교부, "혁명과업 완수를 위한 향토학교 교과과정 임시 운영 요강(고등학교)"

      3 박진동,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교과서 서술" 역사학회 (205) : 37-75, 2010

      4 류시현, "해방 후 최남선의 활동과 그에 관한 ‘기억’" 고려사학회 (27) : 145-173, 2007

      5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6 조성운, "해방 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근대 교통사 서술의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359-424, 2015

      7 김태웅, "해방 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 역사교육연구회 (133) : 223-256, 2015

      8 민성희, "해방 직후(1945~1948) 황의돈의 국사교육 재건 활동" 한국역사교육학회 (21) : 89-140, 2015

      9 김한종, "해방 이후 국사교과서의 변천과 지배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5 : 1991

      10 이수정, "해방 이후 국사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 변천" 역사교과서연구소 (19) : 167-198, 2014

      11 조성운,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간회 서술 변천" 역사실학회 (57) : 419-456, 2015

      12 허강, "한국편수사연구(2)"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3 허강, "한국편수사연구(1)"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0

      14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일진사 2001

      15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16 허강, "한국의 검인정교과서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2

      17 허강, "한국의 검인정 교과서" 일진사 2004

      18 안병우, "한국사 교과서 발행제도에 관한 검토" 6 : 2004

      19 이신철, "한국사 교과서 발행의 과거와 현재" 서해문집 35 : 2009

      20 양정현, "한국사 교과서 발행 제도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역사연구회 (92) : 195-225, 2014

      21 류승렬, "한국사 교과서 발행 국정화 담론의 맥락과 성격" 역사교육연구회 (132) : 291-323, 2014

      22 이혜영, "한국근대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1998

      23 김용만, "한국교과서 변천사 고찰(1)-각 교육과정기별 교과서 편찬상황개관-" 13 : 1999

      24 허강, "한국 교과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2006

      25 함혜순, "학산 이인영의 역사인식-신민족주의사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26 김한종, "학교교육을 통한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보급" 15 : 2005

      27 "조선일보"

      28 허은철, "제1차 교육과정의 성립과 역사과 교육과정" 역사교과서연구소 (22) : 5-43, 2016

      29 성강현, "제1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역사교과서연구소 (22) : 45-112, 2016

      30 남한호, "제1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역사교과서연구소 (22) : 113-154, 2016

      31 조건,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조직과 반공 교육정책" 역사교과서연구소 (22) : 155-190, 2016

      32 강우철, "역사의 교육" 교학사 1974

      33 서인원, "역사교과서 검정발행제 분석" 역사실학회 32 : 2007

      34 김현선, "애국주의의 내용과 변화: 1960-1990년대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177-205, 2002

      35 김수태, "손진태의 한국사교육론" 한국사학사학회 (32) : 31-74, 2015

      36 정주란, "손진태의 신민족주의 국사교육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37 문교부, "보고번호 제2호 사학자간담회보고"

      38 조성운, "반공주의적 한국사 교육의 성립과 강화 - 미군정기~제4차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2) : 227-260, 2015

      39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3(제6대편)" 1973

      40 장영민,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447-489, 2007

      41 조성운, "민족종교의 두 얼굴" 선인 2015

      42 "문교월보"

      43 문교부, "문교부령 제121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44 "매일경제신문"

      45 서인원, "동학농민운동의 한국사 교과서 서술 내용 분석­-제1차∼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32) : 165-220, 2014

      46 "동아일보"

      47 이종국, "대한교과서사 : 1948~1998"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48 윤해동, "국체’와 ‘국민’의 거리" 15 : 2005

      49 유승렬, "국사교과서 편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역사교육연구회 76 : 2000

      50 이신철, "국사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역사교육연구회 97 : 2006

      51 김한종, "국사교과서 연구의 최근 동향-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5 : 2002

      52 윤종영, "국사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문명학회 1 (1): 2000

      53 이병희,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역사교육연구회 (91) : 73-97, 2004

      54 윤종영, "국사’교과서의 편찬방향" 역사교육연구회 48 : 1990

      55 문교부, "국민교육헌장이념의 구현 요강"

      56 신주백, "국민교육헌장의 역사(1968-1994)"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5 : 295-328, 2005

      57 신주백, "국민교육헌장의 역사(1968-1994)"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5 : 295-328, 2005

      58 황병주,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체제의 지배담론" 15 : 2005

      59 조성운, "교수요목기 국사교과서의 발행과 편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6) : 279-324, 2016

      60 재단법인 한국교과서연구소, "교과용도서관련법규집" 1992

      61 문교부, "교과서 인쇄용지에 대한 기회처와 문교부의 합의안"

      62 김유환, "교과서 국정 및 검인정제도의 법적 문제" 한국교육법학회 8 (8): 2005

      63 강우철, "교과과정과 교과서" 역사교육연구회 1 : 1956

      64 "관보"

      65 문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6 하일식, "고교 ‘국사’의 발행제 변천과 전근대 서술 ―권력의 의도와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연구회 (92) : 53-80, 2014

      67 "경향신문"

      68 박진동,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역사교육연구회 (91) : 25-50, 2004

      69 김정인, "解放 以後 國史 敎科書의 ‘正統性’ 인식 - 日帝 强占期 民族運動史 서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70 정민지, "權悳奎의 『朝鮮史』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7) : 8-46, 2013

      71 김태웅, "新國家建設期 敎科書 政策과 運用의 實際" 역사교육연구회 (88) : 2003

      72 김석수, "‘국민교육헌장’ 의 사상적 배경과 철학자들의 역할" 15 : 2005

      73 김정인, "[책소개] 『中等文化史 - 우리 나라의 문화』(吳璋煥 著)" 한국사학사학회 (1) : 287-298, 2000

      74 구경남,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47-383, 2014

      75 오제연, "1960년대 초 박정희정권과 학생들의 민족주의 분화-‘민족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6 : 2007

      76 김상훈, "1945~1950년 역사 교수요목과 교과서 연구" 서강대학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