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동포(조선족) 밀집지에 대한 내・외부 이미지 비교: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Image Towards Korean-Chinese Ethnic Clusters: Focusing on Garibong-dong,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6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Image TowardsKorean-Chinese Ethnic Clusters: Focusing on Garibong-dong, SeoulYisue Park Abstract: As ethnic enclaves increas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analyze the local image of ethnic enclaves and...

      A Comparative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Image TowardsKorean-Chinese Ethnic Clusters: Focusing on Garibong-dong, SeoulYisue Park

      Abstract: As ethnic enclaves increas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analyze the local image of ethnic enclaves and a strategy to improve the image of ethnic enclaves.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image analysis methods and image enhancement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xternal images that form the regional image and the perceptions within the region. First, Garibong-dong has external images such as ‘Korean-Chinese cluster’, ‘Crime ridden areas’, ‘Guro Industrial Complex’, and ‘Sharing target area.’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s in ‘China in Seoul’ were not reflected in external image. Third, internally, the high consumption power of Korean-Chinese was recognized. Fourth, Garibong-dong was perceived as a rather safe area for the Korean-Chines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of the ‘crime ridden areas’ among the external images was affecting some Koreans in Garibong-dong.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discusses the image survey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region that can be used in the image enhancement strategy of places densely populated by foreig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However, a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daytime active population in Garibong-do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discussions that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regions and in-depth interview subjects in follow-up studies.


      Key Words: Korean-Chinese Cluster, Ethnic Enclave, Local Image, Local Identity, Garibong-d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동포(조선족) 밀집지에 대한 내・외부 이미지 비교:가리봉동을 중심으로박 이 수** 요약: 국내 외국인 밀집지가 확장됨에 따라 외국인 밀집지의 지역 이미지 분석과 외국인 밀집지 이미...

      중국동포(조선족) 밀집지에 대한 내・외부 이미지 비교:가리봉동을 중심으로박 이 수**

      요약: 국내 외국인 밀집지가 확장됨에 따라 외국인 밀집지의 지역 이미지 분석과 외국인 밀집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의 연구목적은 지역 이미지를 형성하는 외부 이미지와 지역 내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써 언론보도를 분석하고 가리봉동은 생활인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리봉동은 ‘중국동포(조선족) 밀집지’, ‘우범지대’, ‘구로공단’, ‘나눔 대상 지역’란 외부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지역의 외부 이미지에는 ‘서울 속 중국’에서 한국인이 겪는 고충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셋째, 내부적으로 중국동포는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라는 인식이 있다. 넷째, 중국동포에게 가리봉동은 안전한 지역이지만, 외부 이미지에 영향을 받은 일부 한국인들에게는 ‘우범지대’란 상반된 인식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중국동포 밀집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밀집지의 이미지 제고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이미지 조사와 평가방법을 논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가리봉동 내 주간활동인구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이 진행되어 후속연구에서는 지역과 심층면접 대상자의 한계를 보완한 심층적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조선족밀집지, 외국인밀집지, 지역이미지, 지역정체성, 가리봉동

      □ 접수일: 2022년 1월 13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Seoul National Univ., Email: esooid@snu.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선,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7) : 231-264, 2010

      2 김지혜, "한국언론의 중국동포(조선족) 담론 분석- 조선, 동아, 경향, 한겨레신문의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원 11 (11): 37-73, 2018

      3 김지혜, "한국언론의 다문화 아동청소년 담론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57-81, 2017

      4 이영원,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295-321, 2014

      5 이선화,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대한 도시지역 원주민의 대응: 안산 원곡동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4 (14): 123-166, 2008

      6 김병학 ; 고길곤 ; 김대중, "외국인 밀집지역 치안 위협요인의 실재(實在) 여부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중국인 범죄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343-372, 2013

      7 박신영, "외국인 밀집거주로 인한 내국인 주민의 주거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 한남동,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8 박신영 ; 김준형 ; 최막중, "외국인 노동자 밀집거주에 의한 근린효과 - 서울 가리봉동·대림동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17-230, 2012

      9 이석준 ; 김경민,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 간 특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10 "빅카인즈"

      1 김현선,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7) : 231-264, 2010

      2 김지혜, "한국언론의 중국동포(조선족) 담론 분석- 조선, 동아, 경향, 한겨레신문의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원 11 (11): 37-73, 2018

      3 김지혜, "한국언론의 다문화 아동청소년 담론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57-81, 2017

      4 이영원,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295-321, 2014

      5 이선화,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대한 도시지역 원주민의 대응: 안산 원곡동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4 (14): 123-166, 2008

      6 김병학 ; 고길곤 ; 김대중, "외국인 밀집지역 치안 위협요인의 실재(實在) 여부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중국인 범죄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343-372, 2013

      7 박신영, "외국인 밀집거주로 인한 내국인 주민의 주거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 한남동,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8 박신영 ; 김준형 ; 최막중, "외국인 노동자 밀집거주에 의한 근린효과 - 서울 가리봉동·대림동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17-230, 2012

      9 이석준 ; 김경민,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 간 특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10 "빅카인즈"

      11 "법무부"

      12 이수범,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 : 인천을 중심으로" 12 (12): 56-83, 2004

      13 송원찬, "경계인: 한국 미디어 속 조선족 형상 연구 —영화 <황해>와 <청년경찰>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8 (18): 447-468, 2017

      14 김혜민 ; 정희선, "가리봉동의 스크린 재현 경관 속 타자화된 장소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93-10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