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ism and ‘Alberto Giacomettian Transformation’ in Kim, Soo-Yŏng'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1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김수영의 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대두된 연구 방법의 특징을 살피고, 그와 관련한 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탈식민주의적 시각과 번역론의 관점이...

      본고는 김수영의 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대두된 연구 방법의 특징을 살피고, 그와 관련한 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탈식민주의적 시각과 번역론의 관점이 간과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앞으로 김수영 문학에서 주목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기틀이 되는 방법론들이 상호 통합되었을 때 도출될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 본고의 핵심 내용이다. 우선, 그간 ‘전후세대’로 통칭되었던 세대적 명명에 숨은 이데올로기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김수영의 세대적 특징을 ‘한국어-일본어’의 이중언어 체계에서 파악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전제할 때, 비로소 김수영의 ‘일본어 글쓰기’에 내포된 중층적 의미가 해명될 수 있음을 그의 「시작노트 6」을 통해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이상(李箱)의 일문시 번역과 일본어 시작 노트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김수영의 시작(詩作)과 번역체험의 관계, 실제 번역과정에서 도출된 시의 리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관념과 방법론으로서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을 짚어 보았다. 아울러 최근의 연구 성과 중 이러한 김수영 문학의 탈식민성과 번역체험, 그에 대한 메타 의식과 후기 시의 스타일의 변모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 예를 소개하였다. 김수영에게 ‘번역’은 ‘시’의 또 다른 번역어였음을 상기할 때, 그의 이중 언어자로서의 언어적 정체성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탈식민성―번역―스타일의 변모’는 통합적 관점에서 동시적으로 궁구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김수영의 후기 시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이중언어 세대와 김수영
      • 2. 이상의 일문시(日文詩) 번역과 일본어 글쓰기
      • 3. ‘번역’의 소산-‘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 4. 향후 연구 방향과 그 과제
      • 참고문헌
      • 1. 이중언어 세대와 김수영
      • 2. 이상의 일문시(日文詩) 번역과 일본어 글쓰기
      • 3. ‘번역’의 소산-‘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 4. 향후 연구 방향과 그 과제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수영, "전후소설에서의 식민화된 주체와 언어적 타자" 인문과학연구소 52 (52): 1-34, 2007

      2 한수영,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전후세대의 이중언어적 상황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2 (12): 257-301, 2007

      3 조윤정, "전후세대 작가들의 언어적 상황과 정체성 혼란의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229-258, 2008

      4 장인수, "전후 모더니스트들의 언어적 정체성" 2011

      5 칼톤 레이크, "자코메티의 지혜" 세대 1966

      6 리영희, "역정-나의 청년시대" 창비 2012

      7 이현희, "어문 연구와 문자 보급 운동, In 한민족독립운동사 9-3.1운동 이후의민족운동" 국사편찬위원회, 시사문화사 1991

      8 전봉건, "시작 노우트-고쳐쓰기 되풀이, In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9 김춘수, "시인이 된다는 것, In 처용단장" 미학사 1991

      10 발터 벤야민, "번역자의 과제, In 발터 벤야민 선집 6" 길 2008

      1 한수영, "전후소설에서의 식민화된 주체와 언어적 타자" 인문과학연구소 52 (52): 1-34, 2007

      2 한수영,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전후세대의 이중언어적 상황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12 (12): 257-301, 2007

      3 조윤정, "전후세대 작가들의 언어적 상황과 정체성 혼란의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229-258, 2008

      4 장인수, "전후 모더니스트들의 언어적 정체성" 2011

      5 칼톤 레이크, "자코메티의 지혜" 세대 1966

      6 리영희, "역정-나의 청년시대" 창비 2012

      7 이현희, "어문 연구와 문자 보급 운동, In 한민족독립운동사 9-3.1운동 이후의민족운동" 국사편찬위원회, 시사문화사 1991

      8 전봉건, "시작 노우트-고쳐쓰기 되풀이, In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9 김춘수, "시인이 된다는 것, In 처용단장" 미학사 1991

      10 발터 벤야민, "번역자의 과제, In 발터 벤야민 선집 6" 길 2008

      11 황현산, "모국어와 시간의 깊이" 문학과지성사 2002

      12 서석배, "단일 언어 사회를 향해" 한국문학연구소 (29) : 185-219, 2005

      13 장용학, "나의 작가수업" 1956

      14 "김수영전집 2-산문" 민음사 2003

      15 이승규, "김수영의 영미시 영향과 시 창작 관련 양상- 비숍, 로웰, 긴즈버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0) : 467-502, 2006

      16 조강석, "김수영의 시의식 변모 과정 연구 -‘시적 연극성’과 ‘자코메티적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8) : 361-387, 2010

      17 곽명숙, "김수영의 시와 현대성의 탈식민적 경험" 9 : 2001

      18 이미순, "김수영의 시론에 미친 프랑스 문학이론의 영향- 조르주 바타이유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42 (42): 91-118, 2007

      19 "김수영의 미발표 원고"

      20 권오만, "김수영의 고백시적 경향" 11 : 1999

      21 박지영, "김수영의 [반시론]에서 '반시'의 의미" 상허학회 9 : 281-305, 2002

      22 강계숙, "김수영은 왜 시작노트를 일본어로 썼을까?" 현대시 2005

      23 정명교, "김수영과 프랑스 문학의 관련양상" 한국시학회 (22) : 343-372, 2008

      24 "김수영 전집 1-시" 민음사 2003

      25 김유중, "김수영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9 (9): 442-462, 2005

      26 박지영, "김수영 문학과 ‘번역’" 민족문학사학회 (39) : 200-228, 2009

      27 사노 마사토, "경성제대 영문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식민지 시기 한국문학에 있어서 ‘영문학’과 이중언어 창작-" 한국현대문학회 (26) : 319-336, 2008

      28 姜雄植, "金洙暎의 詩意識 硏究 : ‘긴장’의 시론과 ‘힘’의 시학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29 조연정, "‘번역체험’이 김수영 시론에 미친 영향 - ‘침묵’을 번역하는 시작 태도와 관련하여" 한국학연구소 (38) : 459-490, 2011

      30 강계숙, "196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상과 시적 이념 : 김수영·김춘수·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1 정한아, "'온몸', 김수영 시의 현대성 : 죽음과 자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