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기구를 통한 탈북자 보호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UNHCR 및 UN 인권이사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 Escapees through International Organisations from a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UNHCR and the UN Human Rights Counc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9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n Escapees(NKEs) in China are forcibly sent back to the high probability of persecution and torture in their home country, whenever they are caught by the Chinese authorities. Although China is a Party to the 1951 Refugee Convention and the...

      North Korean Escapees(NKEs) in China are forcibly sent back to the high probability of persecution and torture in their home country, whenever they are caught by the Chinese authorities. Although China is a Party to the 1951 Refugee Convention and the 1967 Protocol, it has constantly denied any possibility of their refugee status - that has recently been formally confirmed by many European and American governments - without any proper procedures. China just treats NKEs as economic migrants or illegal immigrants, not asylum-seekers or refugees.
      Basically, each State Party is responsible for its own domestic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Accordingly, any third country, like South Korea, cannot easily intervene in the issue of refugees, like NKEs, staying in China. In this context, the question is raised about the role of UNHCR in the protection of NKEs, which generally deals with refugee issues as a main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sation. Furthermore,UNHCR concluded a Special Agreement with China in 1995 and, based on it,UNHCR operates its branch office in Beijing.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UNHCR in China and related international obligations of China, applying both the 1951 Convention and the 1995 Special Agreement.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o utilise procedures of the newly established UN Human Rights Council,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NKEs, such as special procedures, complaint procedure and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This paper finally provides som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utilising international organisations or bodies in order to protect NKEs, and then suggests that som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uly conducted in this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을 탈출해 제3국에 체류 중인 탈북자, 특히 중국에 체류 중인 탈북자는 중국 당국에 체포 시 박해나고문의 우려가 있는 북한으로 전원 강제송환되고 있다. 최근 유럽 및 미주의 국내 난...

      북한을 탈출해 제3국에 체류 중인 탈북자, 특히 중국에 체류 중인 탈북자는 중국 당국에 체포 시 박해나고문의 우려가 있는 북한으로 전원 강제송환되고 있다.
      최근 유럽 및 미주의 국내 난민인정결정에서도 알 수있듯이, 일반적으로 탈북자는 중국도 당사국인 1951년의 난민지위협약 및 1967년 난민지위의정서 상의 정의에 부합하는 협약난민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적절한 난민인정절차 없이 탈북자들을 일괄 ‘경제적 이주민’ 내지 ‘불법 이민자’로 간주하여 강제북송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난민지위결정은 각 당사국의 국내절차에 위임되어 있다. 즉, 한국과 같은 제3국이 중국 내탈북자관련 결정에 항의하거나 개입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난민과관련된 국제적 보호·지원 및 감독 업무를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진 UNHCR(유엔난민기구)은 이러한 상황에서 탈북자 보호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는 것인가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더군다나 UNHCR은 중국 내UNHCR의 활동과 관련해 중국과 1995년 특별협정을 체결하고 이에 근거해 베이징에 지역사무소를 운영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중국도당사국인 난민지위협약 및 의정서 상의 관련 내용 및상기 양자 간 특별협정의 관련 조문들을 살펴보고, 이에근거한 UNHCR의 활동근거와 중국의 국제법적 의무에대해 고찰한다. 아울러 2006년 UN 총회의 보조기관으로 새로 설립되어 본격적으로 그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UN 인권이사회의 특별절차, 진정절차 및 국가별 정례인권검토와 같은 다양한 절차들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함으로써, 가장 극심한 인권침해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는 탈북자와 같은 난민문제에 대해보편적 국제기구의 활용을 통한 해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송 및 신문기사 등"

      2 조정현, "국제인권법상 탈북자의 보호가능성 및 그 실행 - 중국이 당사국인 국제인권조약 및 동 조약의 이행감독장치를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54 (54): 183-206, 2009

      3 "각종 UN 결의, 결정, 보고서 및 자료"

      4 조정현, "‘Republikflucht(국가탈출죄)’의 법리 및 탈북자문제에의 적용"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191-215, 2008

      5 Zieck, Marjoleine, "UNHCR’s ‘Special Agreements’. in: Essays on the Law of Treaties: A Collection of Essays in Honour of Bert Vierdag" Kluwer Law International 1998

      6 장복희, "UN 난민고등판무관(UNHCR). in: 국제인권법의 실천제도" 박영사 1998

      7 Türk, Volker, "The role of UNHCR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fugee law. in: Refugee Rights and Realities: Evolving International Concepts and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 Goodwin-Gill, "The Refugee in International Law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 Weis, Paul, "The Refugee Convention, 1951: The Travaux Preparatoires Analysed, with a Commentary by the late Dr Paul We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0 Haggard, Stephan, "The North Korean Refugee Crisi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Response" U.S.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6

      1 "방송 및 신문기사 등"

      2 조정현, "국제인권법상 탈북자의 보호가능성 및 그 실행 - 중국이 당사국인 국제인권조약 및 동 조약의 이행감독장치를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54 (54): 183-206, 2009

      3 "각종 UN 결의, 결정, 보고서 및 자료"

      4 조정현, "‘Republikflucht(국가탈출죄)’의 법리 및 탈북자문제에의 적용"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191-215, 2008

      5 Zieck, Marjoleine, "UNHCR’s ‘Special Agreements’. in: Essays on the Law of Treaties: A Collection of Essays in Honour of Bert Vierdag" Kluwer Law International 1998

      6 장복희, "UN 난민고등판무관(UNHCR). in: 국제인권법의 실천제도" 박영사 1998

      7 Türk, Volker, "The role of UNHCR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fugee law. in: Refugee Rights and Realities: Evolving International Concepts and Reg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 Goodwin-Gill, "The Refugee in International Law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 Weis, Paul, "The Refugee Convention, 1951: The Travaux Preparatoires Analysed, with a Commentary by the late Dr Paul We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0 Haggard, Stephan, "The North Korean Refugee Crisi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Response" U.S.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6

      11 Simma, Bruno,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 Commentar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2 Kagan, Michael, "The Beleaguered Gatekeeper: Protection Challenges Posed by UNHCR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18 (18): 2006

      13 Smith, Rhona K.M., "Textbook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4 Kälin, Walter, "Supervising the 1951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Article 35 and beyond. in: Refugee Protection in International Law: UNHCR’s Global Consultations on International Prote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5 Grahl-Madsen, Atle, "Refugees,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in: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Vol. IV" Elsevier Science 2000

      16 Grahl-Madsen, Atle, "Commentary on the Refugee Convention 1951: Articles 2-11, 13-37" Division of International Protection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1997

      17 Kourula, Pirkko, "Broadening the Edges: Refugee Definition and International Protection Revisited"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7

      18 조정현, "1951년 난민지위협약상 박해사유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10 (10): 297-31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