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코부머의 근로빈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rking Poor among Korean Echo Boo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3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ing poor and th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he working poor among echo boomer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7th analysis of the 2012 Korea W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ing poor and th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he working poor among echo boomer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7th analysis of the 2012 Korea Welfare Panel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is analysis considered Korean echo boomers born between 1979 and 1985. In our final analysis, we used 1,226 echo boomers who had the ability to work. For the analysis, the SAS/PC statistical program ver. 9.3 was utili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of the working poor among the echo boomers, only 22% were in the state of poverty. Secondly, more echo boomers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city, gun/urban-rural area and district than those in the Seoul were categorized as among the working poor; the same was true for those who lived in a free house than in a leased room or a room that was rented by the month. Thirdly, more echo boomers whose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rather than college graduate or less or university graduate or more were categorized as among the working poor; this was also true for echo boomers whose employment type was temporary employment, self-employment, or unemployment rather than a full-time job.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선,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과 노동시장 변화:유연화의 패러독스" 한국사회학회 36 (36): 2-21, 2002

      2 김영란,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탕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의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41-70, 2005

      3 신명호,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빈곤"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7-34, 2006

      4 김안나, "한국 근로빈곤층의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김안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9 (29): 145-168, 2007

      5 김수정, "청년층의 빈곤과 이행의 곤란"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49-72, 2010

      6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57-279, 2012

      7 김수연, "준․고령 근로빈곤층과 청․장년 근로빈곤층의 빈곤 결정요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7 (47): 375-398, 2010

      8 이은혜,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33-354, 2009

      9 심상용, "우리나라 근로빈곤가구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 연구:<도시가계조사>를 중심으로(1982-2004)"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63-189, 2006

      10 심상용, "여성 ‘근로’빈곤 증가의 원인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규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6 (26): 55-86, 2006

      1 이종선,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과 노동시장 변화:유연화의 패러독스" 한국사회학회 36 (36): 2-21, 2002

      2 김영란,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탕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의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41-70, 2005

      3 신명호,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빈곤"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7-34, 2006

      4 김안나, "한국 근로빈곤층의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김안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9 (29): 145-168, 2007

      5 김수정, "청년층의 빈곤과 이행의 곤란"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49-72, 2010

      6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57-279, 2012

      7 김수연, "준․고령 근로빈곤층과 청․장년 근로빈곤층의 빈곤 결정요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7 (47): 375-398, 2010

      8 이은혜,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33-354, 2009

      9 심상용, "우리나라 근로빈곤가구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 연구:<도시가계조사>를 중심으로(1982-2004)"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63-189, 2006

      10 심상용, "여성 ‘근로’빈곤 증가의 원인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규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6 (26): 55-86, 2006

      11 김영란, "신빈곤(new poverty)의 발생구조와 빈곤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근로빈민(working poor)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20): 245-274, 2004

      12 장세훈, "빈곤층의 내부 구성과 빈곤화 과정" 비판사회학회 0 (0): 179-207, 2006

      13 김교성, "도시 근로자 가구의 빈곤 추이(推移)와 원인에 관한 연구 : 조세와 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를 포함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143-170, 2007

      14 김은하,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특성과 빈곤 지위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5-29, 2008

      15 지은정,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147-174, 2007

      16 홍경준, "근로빈곤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와 실태파악"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19-142, 2005

      17 성정현, "근로빈곤층 여성가장 가구의 생활실태와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81-106, 2006

      18 박능후, "근로빈곤층 노동이동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51-185, 2009

      19 김교성, "근로계층의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19-142, 2006

      20 김교성, "고용상태와 빈곤경험이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8 (18): 31-54, 2004

      21 Pavis, S., "Young people in rural Scotland : Pathways to social inclusion and exclusion"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00

      22 Keum, J. H., "Working poor in Korea" 2003

      23 Levitan, S. A., "Working but poor:America's contradi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24 Hong, K. Z., "The status of the working poor and labor unions countermeasure research" FKTU Research Center 2005

      25 Statistics Korea, "The social survey results" Statistics Korea 2012

      26 Statistics Korea, "The movements of population census" Statistics Korea 2011

      27 Schiller, B. R., "The economics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4

      28 Bowen, W. G., "The economic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29 Statistics Korea,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tatistics Korea 2013

      30 Ki, J. R., "The determinants of poverty-exit for the working poor:Focusing on the labor market factors" University of Seoul 2012

      31 Park, B. Y., "The conditions, issues, and policies of new poverty in Chungbuk province" 20 (20): 19-55, 2009

      32 Lee, H. O., "The analysis of the trend of working poor du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Korea’s financial crisis and the cause of their poverty" Chung-Ang University 2006

      33 No, D. M., "Study on the income and employment dynamics of working poor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3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3

      35 Kim, T. S., "Poverty and social welfare policy" Chungmok 2007

      36 No, D. M., "Low-income bracket self-sufficiency business survey in 2002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37 Park, S. Y., "Housing poverty in Korea" (184) : 33-46, 2012

      38 Yoon, S. W., "Factors that determine the working poor" Duksung Women’s University 2009

      39 Kimenyi, M. S., "Economics of poverty, discrimination, and public policy" South-Western College Pub 1995

      40 Hyundai Research Institute, "Echo boomer's three major economic crisis" (491) : 1-10, 2012

      41 Lee, T. J., "Determinants of poverty among the working poor" (77) : 57-71, 2003

      42 Kim, T. W., "A survey and policy implication of the housing conditions of the working poor" (160) : 19-28, 2010

      43 Kim, S. R., "A study on types of poverty experienced by the working poor"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44 Jung, J. H., "A study on the working poor in Korea" Korea Labor Institute 2005

      45 Shin, E. J., "A study on the poverty spells of the working poor by family type and work ability" Yonsei University 2004

      46 Lee, R. H., "A study on the duration of poverty among the working poor: Focusing on household type and labor market status" Chung-Ang university 2006

      47 Kim, T. H.,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working poor: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Korea University 2012

      48 Choi, O. G., "A study on job sequences of the working poor" Sungkyunkwan University 2008

      49 Hyun, D. G., "A study on determinants of working poor: Focusing on post-industrial clas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50 Choi, S. S.,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workable poor and factors affecting the workable poor in Korea: Focusing on types of working and poor"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51 Kim, N. L.,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tion factors of working poor according to gende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52 Kim, T. W., "A study of the youth working-poor and policy measur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53 U. S. Bureau of Labour Statistics, "A profile of the working poor 2004" U. S. Bureau of Labour Statistics 2006

      54 Klein, B. W., "A profile of the working poor" 112 (112): 3-1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11 통합 KCI등재
      2013-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가정학회지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4 1.2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