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군소(Aplysia kurodai)에서 추출한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56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군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 정제한 다당 분획물을 혈액 림프구와 대식 세포주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군소부터 추출 분획한 다당류는 48시간 동안 처리 시 Jurkat cell의 증식률을 40% 이상 증가시켰으며, 혈액암 세포종인 Jiyoye cell에 대하여는 그 성장률이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Jurkat cell에 24시간과 48시간 동안 군소 다당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IL-2와 IFN-γ 생성량의 유의적인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RAW264.7 cell line에 대하여는 IL-12의 경우는 47% 이상 증가하여, 군소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본 실험에서는 군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 정제한 다당 분획물을 혈액 림프구와 대식 세포주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군소부터 추출 분획한 다당류는 48시간 동안 처리 ...

      본 실험에서는 군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 정제한 다당 분획물을 혈액 림프구와 대식 세포주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군소부터 추출 분획한 다당류는 48시간 동안 처리 시 Jurkat cell의 증식률을 40% 이상 증가시켰으며, 혈액암 세포종인 Jiyoye cell에 대하여는 그 성장률이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Jurkat cell에 24시간과 48시간 동안 군소 다당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IL-2와 IFN-γ 생성량의 유의적인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RAW264.7 cell line에 대하여는 IL-12의 경우는 47% 이상 증가하여, 군소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tracted polysaccharide from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purified it partially, and experimented its immune response using the human blood lymphocytes and macrophage cell lines. Aplysia kurodai polysaccharide fraction (APF) improved the growth of the T cell (Jurkat) up to 40% by treatment for 48 hours, and decreased the growth of blood cancer, Jiyoye cell line. The APF on RAW 264.7 cell also increased interleukin-12 up to 47%. In contrast, the secretion of interleukin-2 and interferon-gamma by treatment of only APF or APF and concanavalin A on Jurkat for 24 hours and 48 hours didn’t influenc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F has possible immune regulating ability.
      번역하기

      We extracted polysaccharide from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purified it partially, and experimented its immune response using the human blood lymphocytes and macrophage cell lines. Aplysia kurodai polysaccharide fraction (APF) improved the growth ...

      We extracted polysaccharide from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purified it partially, and experimented its immune response using the human blood lymphocytes and macrophage cell lines. Aplysia kurodai polysaccharide fraction (APF) improved the growth of the T cell (Jurkat) up to 40% by treatment for 48 hours, and decreased the growth of blood cancer, Jiyoye cell line. The APF on RAW 264.7 cell also increased interleukin-12 up to 47%. In contrast, the secretion of interleukin-2 and interferon-gamma by treatment of only APF or APF and concanavalin A on Jurkat for 24 hours and 48 hours didn’t influenc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F has possible immune regulating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민철, "제주 손바닥 선인장의 초음파 추출을 통한 면역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1-8, 2008

      2 이현용, "저온 추출 공정에 의한 마황과 복분자의 면역 활성 증진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81-86, 2005

      3 김철희,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162-169, 2007

      4 이성태, "별불가사리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69-275, 2007

      5 신미옥, "군소내장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33-1438, 2010

      6 윤보영,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2.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구조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47-1653, 2010

      7 윤보영,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1. 다당류 추출의 최적화와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정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40-1646, 2010

      8 Kim WS, "The study on anticancer activity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eggs" Jeju National University 2008

      9 Smith KA,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interleu" 151 : 1551-1556, 1980

      10 Wang SY, "The anti-tumor effect of Ganoderma lucidum is mediated by cytokine released from activated macrophages and T lymphocytes" 70 : 699-705, 1997

      1 권민철, "제주 손바닥 선인장의 초음파 추출을 통한 면역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1-8, 2008

      2 이현용, "저온 추출 공정에 의한 마황과 복분자의 면역 활성 증진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81-86, 2005

      3 김철희,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162-169, 2007

      4 이성태, "별불가사리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269-275, 2007

      5 신미옥, "군소내장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33-1438, 2010

      6 윤보영,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2.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구조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47-1653, 2010

      7 윤보영, "군소(Aplysia kurodai)에 분포하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과 기능특성 1. 다당류 추출의 최적화와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정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40-1646, 2010

      8 Kim WS, "The study on anticancer activity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eggs" Jeju National University 2008

      9 Smith KA,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interleu" 151 : 1551-1556, 1980

      10 Wang SY, "The anti-tumor effect of Ganoderma lucidum is mediated by cytokine released from activated macrophages and T lymphocytes" 70 : 699-705, 1997

      11 Schuchter LM, "Successful treatment of murine melanoma with bryostatin 1" 51 : 682-687, 1991

      12 Mohammad RM, "Successful treatment of human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xenografts with combination biological agents auristatin PE and bryostatin 1" 4 : 1337-1343, 1998

      13 Kim CH, "Purification of myomodulin A and myomodulin E from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34 : 279-284, 2001

      14 Choi YJ,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in echiurid and sea hare muscles" 18 : 550-556, 1985

      15 Antonov I,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and metaplasticity during intermediate-term memory formation in Aplysia" 30 : 5781-5791, 2010

      16 Kim GY,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stimulatory effect of a novel polysaccharide- protein complex extracted from Phellinuslinteus" 70 : 1218-1226, 2006

      17 Kwon OK, "Korean mollusks with color illustration" Hangul press 2001

      18 Dong Woon Kim, "Induction of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Murine Macrophages Stimulated with Enzymatically Digested Lactobacillus Strains" 한국미생물학회 45 (45): 373-378, 2007

      19 Wu D, "Immunologic effects of marine- and plant- derive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nonhuman primates" 63 : 273-280, 1996

      20 Suh SH, "Function of cytokines in immunological memory"

      21 Wang YP, "Effect of blueberry on hepatic and immunological functions in mice" 9 : 164-168, 2010

      22 Pzaki L, "Cytokine and cytokine receptor pleiotropy and redundancy" 277 : 29355-29358, 2002

      23 Schupp PJ, "Cancer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evaluation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marine macro- and micro-organisms collected from twilight zone waters around guam" 4 : 1717-1728, 2009

      24 Specic K, "Biological activities of aqueous and organic extracts from tropical marine sponges" 8 : 1550-156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