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 = The Relations of Employee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to Mental Healt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의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직장인 및 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의 자각, 표현, 표현갈등, 지지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직장인 및 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직장인들 455명(남성 256명, 여성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직급)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서요인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변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설명량은 51.8%로 높은 편이었다. 상대적 기여도가 높은 변인의 순서는 정서 표현갈등, 정서 지지, 정서 자각, 정서 표현 등이었다. 둘째, 정서 표현의 증가는 정신건강 문제의 감소와 관련 있었다. 그러나 정서 표현 갈등이 많으면서 동시에 정서 표현을 많이 하는 것은 정신건강 문제의 상승과 관련 있었고, 이 상태에서 정서 자각과 정서 지지는 정신건강 문제의 감소와 관련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인 및 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정서 표현갈등의 적절한 통합, 개인에게 이로운 정서 표현의 선택, 정서 자각과 정서 지지의 향상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to mental health of the employed. In Study 455 employed(256 males, 199 female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to mental health of the employed. In Study 455 employed(256 males, 199 females) of Seoul and capital region completed this measure along with questionnaire measure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the relations of emotional variables and mental health of the employ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predicted mental health most well. Emotional expressivness is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of mental health in correlation analysis. When emotional expressiv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support went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expressiv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ness are positively related,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support are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of mental health. Potent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