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법적 쟁점 및 과제 = International Legal Issues Relating to Peaceful Use of DMZ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 동안 역대 정부들뿐만 아니라 국내의 민간단체들이 DMZ와 관련한 여러 가지 계획들을 발표하였지만 그것이 실현된 것은 거의 없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정전협정상 우리나라가 DMZ에 대한...

      그 동안 역대 정부들뿐만 아니라 국내의 민간단체들이 DMZ와 관련한 여러 가지 계획들을 발표하였지만 그것이 실현된 것은 거의 없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정전협정상 우리나라가 DMZ에 대한 관할권을 일방적으로 행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DMZ가 우리 영토이기 때문에 국내법적에 문제를 검토하여야 하고, 또한 DMZ는 국제조약인 정전협정에 근거하여 설치되었기 때문에 국제법적 문제도 아울러 검토하여야한다. 즉 DMZ의 규범체계를 국내법과 국제법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하나, 이 논문은 국제법적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하여 국제법적 검토가 필요한 이유는 첫째, DMZ란 국제조약이나 협약에 의해 군사시설의 배치 및 무장이 금지된 지역이나 지대를 의미하며, 한반도 DMZ에는 정전협정이라는 조약, 즉 국제법이 적용되며, DMZ는 정전협정에 의해 설치된 군사정전위원회의 관할권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둘째, 1977년에 채택된 제네바협약 제Ⅰ추가의정서에 DMZ 관련 규정이 있는데, 남북한은 각각 1982년과 1988년에 이 의정서를 비준·가입하여 당사국이 되어, 남북한은 정전협정의 DMZ 관련 규정과 더불어 제Ⅰ추가의정서의 DMZ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현 단계에서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DMZ를 탄생시키고 그곳에 대한 접근 및 이용을 금지한 정전협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범을 따라야 한다. DMZ는 일차적으로 정전협정이라는 국제법의 규율을 받기 때문이다. 정전협정은 국제법상의 조약으로서 DMZ를 규율하는 가장 중요한 규범체계이다. DMZ의 평화적 이용의 출발점은 정전협정 준수이다. 또한 DMZ는 정전협정에 의해 설치된 군사정전위원회의 관할권 아래에 있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DMZ 관련 논의는 정전협정체제의 준수라는 틀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그런데 정전협상에 따르면 우리 영토임에도 DMZ에 대한 관할권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에 DMZ의 출입과 통과를 포함하여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사업에도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 및 북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우리의 주권적 의지대로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DMZ 관할권을 반환받아야 한다. DMZ에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 정전협정체제가 해체되고 우리나라가 DMZ에 대해서 완전하게 주권행사를 할 수 있을 때까지 잠정적으로 DMZ의 보전 및 이용을 위한 국제협약을 체결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지금과 같이 불안정한 정전협정체제로 DMZ가 무장화되어 본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다자간 국제협약은 DMZ의 비무장화를 확보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DMZ의 보전 및 이용을 위한국제협약을 체결하여 DMZ의 생태적 가치와 평화의 상징적 가치와 브랜드를 국제사회에 널리 확인시켜 나갈 수 있는 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통일 이후 DMZ의 법적 지위 변경을 고려하여, 통일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주권이 완전하고 실질적으로 행사될 수 있는 장치를 담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previous and current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been pushing the various plans relating to the DMZ(Demilitarized Zone), most of them have seldom materialized due to the constraint of jurisdiction. We should review this jurisdi...

      Although previous and current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been pushing the various plans relating to the DMZ(Demilitarized Zone), most of them have seldom materialized due to the constraint of jurisdiction. We should review this jurisdictional problem based on international law as well as municipal law in order to use the DMZ peaceful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DMZ have been governed by Armistice Agreement and its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international law plays an important roles to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law arena respectively. Also, South and North Korea are under Protocols Additional to the Geneva Conventions which impose on certain obligations to the DMZ. Therefore,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comply with a variety of DMZ regulations to form a peaceful use of DMZ.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under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1969, relevant rules of Armistice Agreement are still valid and of great importance. However, a variety of DMZ projects in terms of peaceful use should be permitted by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and obtain a certain consent of North Korea due to the lack of jurisdiction. Considering this jurisdictional problem, we should establish a long-term policy to restore South Korea to just rights on the DMZ. Not only that, tentatively, conclusion of multilateral agreement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xercise our sovereignty and promote demilitarization of DMZ. It is a timely and appropriate chance for South Korea to build its worldwide brand-value and ultimately settle down the permanent peace in the Korea Peninsul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진현, "휴전협정체제의 대체에 관한 소고" 평화문제연구소 3 (3): 62-69, 1991

      2 제성호, "한반도 비무장론: DMZ(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서울프레스 1992

      3 김명기, "한국휴전협정의 당사자" 국가고시학회 142-144, 1990

      4 배재식, "한국휴전의 법적 성격" 지성사 2 (2): 16-25, 1972

      5 제성호, "한국정전협정의 법적 재검토" 대한국제법학회 45 (45): 217-237, 2000

      6 박현석, "한국정전협정의 대체문제" 민주주의법학연구소 87-99, 2001

      7 제성호, "한국정전협정 상 한강하구의 법적 지위: 소위 ‘나들섬 구상’ 추진과 관련하여" 중앙법학회 11 (11): 519-554, 2009

      8 제성호, "정전협정체제에 관한 연구- 기능 정상화 및 실효성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1 (11): 97-120, 2004

      9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사이트"

      10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박영사 2014

      1 백진현, "휴전협정체제의 대체에 관한 소고" 평화문제연구소 3 (3): 62-69, 1991

      2 제성호, "한반도 비무장론: DMZ(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서울프레스 1992

      3 김명기, "한국휴전협정의 당사자" 국가고시학회 142-144, 1990

      4 배재식, "한국휴전의 법적 성격" 지성사 2 (2): 16-25, 1972

      5 제성호, "한국정전협정의 법적 재검토" 대한국제법학회 45 (45): 217-237, 2000

      6 박현석, "한국정전협정의 대체문제" 민주주의법학연구소 87-99, 2001

      7 제성호, "한국정전협정 상 한강하구의 법적 지위: 소위 ‘나들섬 구상’ 추진과 관련하여" 중앙법학회 11 (11): 519-554, 2009

      8 제성호, "정전협정체제에 관한 연구- 기능 정상화 및 실효성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1 (11): 97-120, 2004

      9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사이트"

      10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박영사 2014

      11 이장희, "세계화와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법적 기본문제" 명지대 10 : 218-221, 1995

      12 "비폭력평화물결 사이트"

      13 김영태, "북한의 ‘휴전협정’파기선언 - 배경과 전망" (65) : 1996

      14 이효원, "남북교류협력의 규범체계" 경인문화사 2006

      15 박은진, "남북 접경 지역의 현안과 쟁점"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6-17, 2013

      16 "국제적십자연맹(ICRC) 사이트"

      17 김대순, "국제법론(제18판)" 삼영사 2015

      18 "경기연구원 사이트"

      19 Kim, Myung-Ki,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Law" Paige Press 1991

      20 Stone, Julius, "Legal Control of International Conflicts" Rinehart & Company 1959

      21 Delbrük, Jost Delbrük,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EPIL), Vol. I" Elsevier Science Publishers 999-, 1992

      22 제성호, "DMZ의 평화적 이용에 따른 법적 문제" 법조협회 55 (55): 130-168, 2006

      23 조정현, "DMZ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환경법적 고찰" 국제법평론회 (32) : 117-139, 2010

      24 김정수, "DMZ에 관한 남북한 논의 변천과 향후 과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1 (11): 63-86, 2010

      25 박은진, "DMZ가 말을 걸다" 경기도개발연구원 2013

      26 손기웅, "DMZ 평화적 이용의 국가적 의미" 통일연구원 2011

      27 박은진, "DMZ 평화생태공원 기본방향과 구상" 경기도⋅경기개발연구원 23-232, 2008

      28 박은진, "DMZ 일원 평화생태공원 조상방안" 동국대학교 북학학연구소 3 (3): 41-55, 2007

      29 김재한, "DMZ 연구의 오해와 논제"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07-145, 2011

      30 이효원,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법적 기초" 법학연구소 55 (55): 377-408, 2014

      31 최준영,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703) : 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aw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nk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2 0.7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