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정상 임산부에서 제대혈 렙틴농도와 모체, 태반, 태아요인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Correlation between the cord blood concentarion of Leptin and maternal, placental, fetal factors in uncomplicated singleton pregna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09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렙틴은 몸 전체의 무기질 함량, 태아 뼈 성장 자극, 자궁내 태아의 폐 발달, 소아와 성인에서의 영양분의 섭취, 에너지 대사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신생아의 제대혈 렙틴...

      목적: 렙틴은 몸 전체의 무기질 함량, 태아 뼈 성장 자극, 자궁내 태아의 폐 발달, 소아와 성인에서의 영양분의 섭취, 에너지 대사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신생아의 제대혈 렙틴농도를 측정하여 태아의 발육을 나타내는 지표와, 산모의 생활 습관요소와 태반의 요인들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정상 분만한 50명의 산모에서 제대혈을 채취하여 면역방사계수 측정법을 사용하여 제대혈 농도를 측정하였다. 렙틴의 농도와 산모의 나이, 신생아 성별, 임신 주수, 흡연, 음주, 태반 무게, 신생아 체질량 지수, 산모의 체질량 지수, 머리둘레, 가슴 둘레와 상호관계를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남아에서 렙틴은 임신 주수,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 머리둘레 및 가슴둘레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신생아 체질량지수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임신주수, 산모의 나이,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 산모의 체질량 지수 및 가슴둘레가 렙틴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생아의 성별에 따른 렙틴농도의 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서 평균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흡연군과 비흡연군, 음주군과 비음주군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렙틴과 상관 관계가 있는 산모의 요인은 산모의 나이, 임신 주수, 체질량 지수 이고, 태아의 요소는 체질량 지수와 가슴둘레이다. 이는 태반의 요인보다는 산모와 태아요인이 렙틴과 더 많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Umbilical leptin concen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whole-body mineral content, fetal bone growth stimulation, pulmonary development in utero, nutritional intake, energy metabolism, and adiposity in children and adults. In this study,...

      Objective: Umbilical leptin concen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whole-body mineral content, fetal bone growth stimulation, pulmonary development in utero, nutritional intake, energy metabolism, and adiposity in children and adul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ternal factor, placental factor and fetal factor on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s. Methods: We measured leptin concentration in umbilical cord blood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in 50 women with uncomplicated singleton term pregnancie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leptin level with maternal age, sex, gestational age, smoking, placental weight, neonatal body mass index, maternal body mass index,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by sim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ptin and gestational age, fetal BMI,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244 (P=0.010), 0.182 (P=0.030), 0.243 (P=0.011), and 0.228 (P=0.014), respectively in the male neonat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ptin and fetal BMI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341 (P=0.003) in the female neonat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eptin and neonatal gender was observed, in spite of higher mean value of female leptin concentration level.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eptin and smoking and drinking of mother was observed. Conclusion: In this study, lepti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ernal age, maternal BMI, gestational age, fetal BMI, and chest circumference. It was suggested that leptin level was more associated with maternal factor and fetal factor than placental fact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