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넘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될 필요를 제기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수평적 외연·내포와 역내외의 상호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넘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될 필요를 제기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수평적 외연·내포와 역내외의 상호 관계(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등)를 통해 재구성되는 동아시아의 함의와 과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를 제기한다.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은 기존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되기보다는, ‘동아시아’란 질문을 아시아와 세계 차원으로 확장할 필요와 가능성을 제기한다. 아세안적 방식으로 지역형성을 해 온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험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등장한 ASEAN+N 전략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역내 국가들이 자기구성하는 ‘동아시아 지역’과, 다른 지역과의 상호작동을 통한 ‘지역’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필요를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가, 국가단위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와 다양한 행위자들을 포함한 네트워크적 접근의 필요를 제기하면서, 지역과 지역이 연동하는 아시아로서 메가아시아적 접근방식의 과제와 함의를 도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expand the ‘East Asia’ concept beyond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Southeast Asia, and to more actively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tasks of East Asia, which are reconstructed through horizontal...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expand the ‘East Asia’ concept beyond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Southeast Asia, and to more actively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tasks of East Asia, which are reconstructed through horizontal and external interactions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Rather than being presented as a criticism and alternative to existing East Asian discourse and East Asian community perspective, the Mega-Asian approach raises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question of ‘East Asia’ to the Asian and global dimensions. The ASEAN+N strategy, which emerged through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have formed regions in an ASEAN way, as a platform, suggests the need to start researching the use of ‘East Asian regions’, and ‘regions’ unit/concep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studies of socially constructed ‘East Asian regions’ deriv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the Mega-Asian approach as a networked whole region, raising the need for a network perspective, including regional units and various 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흔들리는 세계, ‘동아시아 지역’이란 질문
      • II. ‘지역’으로서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지역화와 지역 개념의 적용 가능성
      • III. 동아시아 지역의 새로운 접근에 대한 시론적 검토: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가능성
      • IV. 결론: 동아시아에 대한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과제
      • 참고문헌
      • I. 서론: 흔들리는 세계, ‘동아시아 지역’이란 질문
      • II. ‘지역’으로서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지역화와 지역 개념의 적용 가능성
      • III. 동아시아 지역의 새로운 접근에 대한 시론적 검토: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가능성
      • IV. 결론: 동아시아에 대한 메가아시아적 접근의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진표, "현대 동남아의 이해" 명인문화사 2020

      2 김형종, "한국의 아세안 연구: ‘아세안학’의 모색?" 아시아연구소 7 (7): 199-226, 2017

      3 이근, "한국 외교정책, 패러다임을 바꿔라: ‘약소국 현실주의’를 극복하고 ‘세계질서 관리’ 나서야"

      4 윤여일, "탈냉전기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이철호,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과 중국: 구상과 현실" (6) : 98-123, 2012

      6 이성시, "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 -" 역사학회 (216) : 57-80, 2012

      7 두아라, 프라센짓, "인류세에서 아시아 연구의 의제" 4 (4): 15-23, 2014

      8 윤여일, "연동하는 동아시아를 보는 눈" 창작과비평사 2018

      9 백영서, "연동하는 동아시아, 문제로서의 한반도: 담론과 연대운동의 20년" 39 (39): 15-37, 2011

      10 오수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1-18, 2020

      1 윤진표, "현대 동남아의 이해" 명인문화사 2020

      2 김형종, "한국의 아세안 연구: ‘아세안학’의 모색?" 아시아연구소 7 (7): 199-226, 2017

      3 이근, "한국 외교정책, 패러다임을 바꿔라: ‘약소국 현실주의’를 극복하고 ‘세계질서 관리’ 나서야"

      4 윤여일, "탈냉전기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이철호,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과 중국: 구상과 현실" (6) : 98-123, 2012

      6 이성시, "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 -" 역사학회 (216) : 57-80, 2012

      7 두아라, 프라센짓, "인류세에서 아시아 연구의 의제" 4 (4): 15-23, 2014

      8 윤여일, "연동하는 동아시아를 보는 눈" 창작과비평사 2018

      9 백영서, "연동하는 동아시아, 문제로서의 한반도: 담론과 연대운동의 20년" 39 (39): 15-37, 2011

      10 오수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1-18, 2020

      11 최경희, "아시아와 북방, 문화접점의 확인: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다해 383-420, 2021

      12 백원담, "아시아 지역연구의 문화정치학적 전환 문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5) : 127-162, 2010

      13 왕후이, "아시아 상상의 계보" 창작과비평사 2003

      14 박번순, "아세안의 시간" 지식의 날개 2019

      15 나탈레가와, 마티, "아세안은 중요한가?" 문학사상 2019

      16 박사명, "아세안공동체와 동아시아공동체" 한국동남아학회 24 (24): 1-44, 2014

      17 외교부, "아세안 개황" 외교부 아세안국 아세안협력과 2020

      18 박사명, "시장에서 광장으로: 동아시아의 발전주의적 경쟁을 넘어서" 한국동남아학회 17 (17): 1-31, 2007

      19 쑨거, "사상이 살아가는 법" 돌베개 2013

      20 신범식, "부상하는 메가아시아: 역사와 개념" 아시아연구소 11 (11): 3-34, 2021

      21 딜릭, 아리프,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80-112, 2000

      22 정문길,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지성사 2000

      23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근대 국민 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 삼인 2001

      24 다케우치 요시미,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19~20세기" 문학과지성사 71-95, 1966

      25 신윤환, "동아시아의 지역협력: 탈동북아중심주의적 관점" 2004

      26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창작과비평사 2000

      27 고성빈, "동아시아담론: 이론화를 향한 시론" 국제학연구소 21 (21): 93-137, 2012

      28 김기석, "동아시아공동체로의 머나먼 여정" 인간사랑 2015

      29 변창구,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있어서 ASEAN의 중심성 : 평가와 전망" 한국동북아학회 20 (20): 5-25, 2015

      30 서정경,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중국의 대응전략" 한국정치학회 43 (43): 263-286, 2009

      31 신범식, "동아시아 지역 거버넌스와 초국적 협력" 푸른길 2019

      32 이정훈, "동아시아 인식 지평과 실천 공간" 아연출판부 2010

      33 윤여일, "동아시아 담론: 1990~2000년대 한국사상계의 단면" 돌베개 2016

      34 박상수, "동아시아 근대 ‘아시아主義’ 讀法 - 系譜, 類型, 層位 -" 아세아문제연구원 56 (56): 7-38, 2013

      35 구범진, "동아시아 국제질서속의 한중관계사: 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36 김병준, "동아시아 국제질서속의 한중관계사: 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37 장인성, "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38 박사명,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의 미래" 이매진 2008

      39 배긍찬,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의 미래" 이매진 45-103, 2008

      40 이재현, "동아시아 공동체와 한국의 미래" 이매진 105-132, 2008

      41 배긍찬, "동아시아 공동체: 동향과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2014

      42 박번순, "동아시아 공동체: 동향과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2014

      43 신윤환, "동아시아 공동체: 동향과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257-281, 2014

      44 박승우,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1 (1): 61-110, 2011

      45 신윤환, "동남아의 지역주의와 “동아시아 공동체”: 그 역사에 대한 재해석" 동아연구소 (56) : 107-137, 2009

      46 손정렬, "네트워크로 바라본 아시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7 김대중, "김대중 대통령 연설문집 제1권" 대통령비서실 1999

      48 이창남,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개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75-106, 2009

      49 堀敏一, "律令制と東アジア世界" 汲古書院 1994

      50 西嶋定生, "岩波講座 日本歷史 2" 岩波書店 1962

      51 西嶋定生, "岩波講座 世界歷史 4" 岩波書店 1970

      52 황인원, "‘확대지향’의 동아시아 지역협력과 아세안의 대응" 2 : 116-123, 2007

      53 Abalahin, Andrew, "‘Sino-Pacifica’: Conceptualizing Greater Southeast Asia as a Sub-Arena of World History" 22 (22): 659-691, 2011

      54 Kaup, Katherine Palmer, "Understanding Contemporary Asia Pacific" Lynne Rienner 2021

      55 "Treat of Amity and Cooperation"

      56 EAVG, "Towards an East Asian Community: Region of Peace, Prosperity, and Progress" East Asia Vision Group 2001

      57 Hettne, Björn, "Theorising the Rise of Regionness" 5 (5): 457-472, 2000

      58 Cumings, Bruce,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Northeast Asian Political Economy: Industrial Sectors, Product Cycles, and Political Consequences" 38 (38): 1-40, 1984

      59 Acharya, Amitav, "The Making of Southeast Asia: International Relations of a Region" ISEAS 2000

      60 Schmitt-Egner, Peter, "The Concept of ‘Regi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Notes on Its Reconstruction" 24 (24): 179-200, 2002

      61 Manning, Rober A, "The Asian Paradox: Toward a New Architecture" 10 (10): 55-64, 1993

      62 Severino, Rodolfo C, "The ASEAN Way and the Rule of Law"

      63 Lieberman, Victor, "Strange Parallels: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Volume II: Mainland: Europe, China, South Asia and the Isla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64 Lieberman, Victor, "Strange Parallels: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Volume I: Integration on the Main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5 Mittelman, James H, "Rethinking the ‘New Regionalism’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2 (2): 189-213, 1996

      66 Pempel, T. J, "Remapping East Asia: The Construction of a Re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67 Milner, Anthony, "Regionalism, Subregionalism and APEC" Monash Asia Institute 1997

      68 Saaler, Sven, "Pan-Asianism: A Documentary History. Vol. 1: 1850-1920"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 Inc 2011

      69 Subrahmanyam, Sanjay, "One Asia, or Many? Reflections from Connected History" 50 (50): 5-43, 2016

      70 Storms, M., "Mapping Asia:Cartographic Encounters Between East and West" Springer 2019

      71 Sum, Nagai-Ling, "Handbook on the Geographies of Regions and Territorries"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428-443, 2018

      72 So, Alvin Y, "East Asia and the World Economy" SAGE Publications 1995

      73 Langenhove, Luk Van, "Building Regions: The Regionalization of the World Order" Ashagte 2011

      74 Webster, Timothy, "Bilateral Regionalism: Paradoxes of East Asian Integration" 555 : 2007

      75 "Bangkok Declaration"

      76 Yeo, Andrew, "Asia’s Regional Architecture: Alliances and Institutions in the Pacific Centur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77 Chang, Kyung-Sup, "Asianization of Asia: Asia’s Integrative Ascendance through a European Aperture" 16 (16): 337-342, 2014

      78 Singh, Upinder, "Asian Encounters: Exploring Connected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9 Acharya, Amitav, "Asia is not One: Regionalism and the Ideas of Asia" ISEAS 1-24, 2011

      80 Chen, Kuan-Hsing, "Asia as Method: Toward Deimperi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2010

      81 Duara, Prasenjit, "Asia Redux: Conceptualizing a Region for Our Time" 68 (68): 963-98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