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효과 검증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effects among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4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ree waves(2010~2012) of panel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an adapt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 time in the total 3 wave data.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depression (t+1).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1) and maternal depression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1)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1).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depression (t+1), wherea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 did not predict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1).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the emotional temperament can be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upon the mother’s emo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ree waves(2010~2012) of panel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ree waves(2010~2012) of panel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y an adapt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ternal depression,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 time in the total 3 wave data.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depression (t+1).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1) and maternal depression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1)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1).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depression (t+1), wherea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 did not predict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t+1).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the emotional temperament can be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upon the mother’s emo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지를 밝히고, 또한 이들 변인 들 사이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3차년도(2010년), 4차년도(2011년), 5차년도(2012년)의 3개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3차 ~ 5차년도까지 세 시점에 걸쳐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은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에, 이전 시점의 어머니 우울은 이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계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전 시점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유아의 정서성 기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우울에는 지속적으로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지를 밝히고, 또한 이들 변인 들 사이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

      이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지를 밝히고, 또한 이들 변인 들 사이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3차년도(2010년), 4차년도(2011년), 5차년도(2012년)의 3개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3차 ~ 5차년도까지 세 시점에 걸쳐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은 어머니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에, 이전 시점의 어머니 우울은 이후 시점의 유아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계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전 시점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유아의 정서성 기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우울에는 지속적으로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외진, "중년여성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25-139, 2006

      2 박현정,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83-106, 2013

      3 홍세희,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29-143, 2007

      4 박영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35-256, 2011

      5 안영희,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일치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2 (12): 1-14, 2008

      6 이아람, "유아의 기질과 모의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89-109, 2015

      7 신지연,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91-312, 2011

      8 연은모,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171-195, 2015

      9 장유진, "영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 정서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67-84, 2014

      10 임현주,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방식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부정적 심리변인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소 8 (8): 1-23, 2014

      1 변외진, "중년여성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25-139, 2006

      2 박현정,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83-106, 2013

      3 홍세희,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29-143, 2007

      4 박영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35-256, 2011

      5 안영희,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일치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2 (12): 1-14, 2008

      6 이아람, "유아의 기질과 모의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89-109, 2015

      7 신지연,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91-312, 2011

      8 연은모,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171-195, 2015

      9 장유진, "영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 정서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67-84, 2014

      10 임현주,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방식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부정적 심리변인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소 8 (8): 1-23, 2014

      11 문영경,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1 (21): 59-70, 2012

      12 엄세진, "영아의 기질 및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29-49, 2014

      13 신현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95-227, 2008

      14 민동옥, "영아 정서성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어머니 특성의 상호작용효과" 대한가정학회 50 (50): 51-58, 2012

      15 이정윤,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1-16, 2009

      16 문경주,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관계" 14 (14): 41-55, 1995

      17 정미경,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41 (41): 123-137, 2003

      18 이희정,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35) : 99-126, 2011

      19 서석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79-298, 2013

      20 유효순, "어머니 자신의 애착표상, 양육행동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 애착간의 구조모형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9-70, 2012

      21 한세영,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 :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1 (1): 245-258, 1996

      22 전은주, "신혼기 남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73-84, 2013

      23 도현심,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145-164, 2012

      24 박성연, "부모-자녀관계 :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996

      25 조은경, "기혼남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9 (9): 1313-1331, 2008

      26 조인숙, "기혼 직장 여성 우울: 사회역할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42 (42): 496-507, 2012

      27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8 Sciner, R. L., "What is temperament now? Assessing progress in temperament research on the twenty-fifth anniversary of Goldsmith et al. (1987)" 6 (6): 436-444, 2012

      29 Cummings, E. M., "Understanding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 17 (17): 1-4, 2001

      30 Susan, R., "Th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strains, and depression among urban African American mothers" 16 (16): 55-72, 2001

      31 Enders, C. K.,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8 (8): 430-457, 2001

      32 Murray, L., "The impact of postnatal depression and associated adversity on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later infant outcome" 67 (67): 2512-2526, 1996

      33 Beardslee, W. R., "The impact of parental affective disorder on depression in offspring : A longitudinal follow-up in a nonreferred sample" 32 (32): 723-730, 1993

      34 Grace, S. L., "The effe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and behavior : A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6 (6): 263-274, 2003

      35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36 Bollen, K. A.,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s 1993

      37 Gerbing, D.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s 40-65, 1993

      38 Buss, A. H.,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Erlbaum 1984

      39 Bates, J. E., "Temperament in childhood" Wiley 3-26, 1989

      40 Hinde, R. A., "Temperament in childhood" Wiley 27-34, 1989

      41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42 Kessler, R. C.,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959-976, 2002

      43 Goodman, S. H., "Schizophrenic and depressed mothers : Relational deficits in parenting" 26 : 31-39, 1990

      44 Anderson, C. A., "Psychosocial outcomes of unipolar depressed, bipolar, medically ill, and normal women : A longitudinal study" 61 : 448-454, 1993

      45 Beck, A., "Pro-social behavior and behavior problems independently predict maternal stress" 29 (29): 339-349, 2004

      4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47 Leung, D. W., "Predicting inept discipline :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74 : 524-534, 2006

      48 Turney, K., "Pathways of disadvantage :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41 (41): 1546-1564, 2012

      49 Miller, S. A., "Parent’s attributions for their children’s behavior" 66 : 1557-1584, 1995

      50 Danielle, N. S., "Parenting stress, perceived child regard,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tepmothers and biological mothers" 60 (60): 533-544, 2011

      51 Gray, P. H.,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during early infancy" 88 (88): 45-49, 2012

      52 Coplan, R. J.,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18 (18): 376-395, 2003

      53 Mash, E. J.,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older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51 (51): 86-99, 1983

      54 Olfson, M., "Parental depression,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and care utilization" 41 (41): 716-721, 2003

      55 Cutrona, C. E., "Nonpsychotic postpartum depression : A review of recent research" 2 : 487-503, 1991

      56 Hout, R., "Negative affect in offspring of depressed mothers is predicted by infant cortisol levels at 6 months and maternal depression during pregnancy, but not postpartum" 1032 (1032): 234-236, 2004

      57 Frank, J. E., "Mutual influences o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adjustment problems" 24 (24): 441-459, 2004

      58 Coleman, P. K.,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24 (24): 126-148, 2003

      59 Johnson, J. C., "Maternal psychiatric disorders, parenting, and maternal behavior in the home during the child rearing years" 15 (15): 97-114, 2006

      60 Civic, D., "Maternal depression symptom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an nationally representative normal birthweight sample" 4 : 215-221, 2000

      61 Lovejoy, M. C.,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 A meta-analytic review" 20 : 561-592, 2000

      62 Goodman, S. H.,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psychopathology : A meta-analytic review" 14 (14): 1-27, 2011

      63 Cummings, E. M.,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35 : 73-115, 1994

      64 Dush, C. M. K., "Marital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ing across the life course" 57 (57): 211-226, 2008

      65 Belsky, J.,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the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ge following the birth of a baby a retrospective analysis" 56 : 342-349, 1985

      66 Pitts, S. C., "Longitudinal measurement models in evaluation research : Examining stability and change" 19 (19): 333-350, 1996

      67 Easterbrooks, M. A., "Infancy predictors of emotional availability in middle childhood : The role of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2 (2): 170-187, 2000

      68 Thomas, A., "Genesis and evolution of behavioral disorders : From infancy to early adult life" 141 (141): 1-9, 1984

      69 Edhborg, M., "Fussy child-difficult parenthood? Comparisons between families with a ‘depressed’ mother and non-depressed mother 2 months postpartum" 18 (18): 225-238, 2000

      70 Mehall, K. G., "Examining the relations of infant temperament and couples’ martial satisfaction to mother and father involvement : A longitudinal study" 7 (7): 23-48, 2009

      71 Chung, G. W.,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9 (9): 233-255, 2002

      72 Kiernan, K., "Economic deprivation, maternal depression, parenting and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59 (59): 783-806, 2008

      73 Milgrom, J., "Do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cry more than other infants?" 31 (31): 218-221, 1995

      74 Dodge, K.,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26 : 3-6, 1990

      75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76 Sanson, A., "Connection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 A review" 13 (13): 142-170, 2004

      77 Billing, A. G., "Complain of children of depressed and nondepressed parents : A social environmental perspective" 11 : 483-486, 1993

      78 Downey, G.,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 An integrative review" 108 : 50-76, 1990

      79 Garber, J.,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1-153, 2002

      80 Schumm, W.,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53 : 567-572, 1983

      81 Finkel, S. E., "Causal analysis with panel data" Sage 1995

      82 허균,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한진로경험활동과 진로성숙도의 종단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57-170, 2010

      83 Blatny, M., "Assertive toddler, self-efficacious adult : Child temperament predicts personality over forty years" 43 (43): 2127-2136, 2007

      84 Chung, H.,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95 : 1015-1022, 2004

      85 Russell, D.,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86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07

      87 배병렬, "AMOS 17. 0 구조방정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09

      88 Oestberg, M.,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29 (29): 615-625, 2000

      89 Reitman, D.,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in a head start population" 31 (31): 384-392,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