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교사의 교내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091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s and to promote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by analyzing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ts management, pr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s and to promote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by analyzing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ts management, problems, and needs, as well as measures for revital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A survey on autonomous supervision of 7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Data analysis 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ir perceptions was carried out through Chi-square test (χ²-test)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e following.
      First,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s mostly instructional supervision. However, peer supervision of the same grade was favored by teachers. In bigger schools, systematic plans are set up and peer supervision is well implemented.
      Second, when it comes to problems and needs for autonomous supervision, teachers have perceived that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basically is aimed a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st teachers needed help finding information on textbook analysis in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cerning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teachers have thought that reducing school chores and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was needed more than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and effective methods of supervision. And teachers' own initiative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were required in order to manage autonomous supervision smoothly.
      Third, as for the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eachers have favored making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fter discussions with research-teachers or teachers of the same grade. They have strong perceptions regarding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eaching demonstrations by teachers of superior ability and have favored autonomous supervision with a more open and democratic atmosphere for the activ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he operations of research committees for the same subject were found to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y have perceived that formal result-oriented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avo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내 자율장학 운영실태, 문제점과 요구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여 교내자율장...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내 자율장학 운영실태, 문제점과 요구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여 교내자율장학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7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설문지이며, 자료 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를 χ²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내 자율장학은 수업장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학년 단위의 동료장학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학교규모가 클수록 체계적으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장학의 문제점과 요구에 대한 인식을 보면, 교내 자율장학의 기본 방향은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내 자율장학에서 수업장학 시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점은 교재연구를 위한 정보로 나타났다. 교내 자율장학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장학의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기법 및 방법에 대한 보급이나 개발보다 수업부담 및 잡무감소이라고 인식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요구되거나 필요한 것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적 자발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바람직한 교수․학습안의 작성 방법은 동학년 또는 연구교사와 협의 후 작성하는 것을 선호하고, 수업장학이 이루어지는 형태는 수업우수자의 시범수업을 많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에 높은 인식을 나타났다.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 자율적이고 민주적 분위기에서 자율 장학이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했으며, 교내 자율장학에서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는 동교과 연구회 운영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내 자율장학의 평가 방안은 형식적 성과 위주의 평가를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2
      • 3. 용어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2
      • 3. 용어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교내 자율장학의 개념과 특성 5
      • 2. 교내 자율장학의 개념과 기본형태 7
      • 3. 교내 자율장학의 평가 14
      • 4. 선행연구의 고찰 16
      • Ⅲ. 연구방법 19
      • 1. 연구대상 19
      • 2. 측정도구 19
      • 3. 연구의 절차 21
      • 4. 자료의 처리 21
      • Ⅳ. 연구결과 해석 22
      • 1. 교내 자율 장학의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 22
      • 2. 자율장학의 필요성과 요구에 대한 인식 30
      • 3.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 37
      • Ⅴ. 논의 53
      • Ⅵ. 요약 및 결론 56
      • 1. 요약 56
      • 2. 결론 59
      • 참고문헌 61
      • 부 록 63
      • 영문초록 70
      • 국문초록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