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소비자와 밀접한 이해관계자인 기업의 사회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73310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소비자가족학과 , 2019. 2
2019
한국어
윤리적 소비 ; 윤리적 소비행동 ; 소비가치 ; 기업의 사회적 책임 ; CSR
서울
The effect of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 of consumer on the CSR requirement
ix, 97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이성림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76-85
I804:11040-0000001503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 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소비자와 밀접한 이해관계자인 기업의 사회적 ...
오늘 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소비자와 밀접한 이해관계자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CSR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CSR 활동은 이전처럼 기업의 입장에서 보는 경제적 책임만이 아닌 소비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윤리적 소비자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의 경우 CSR 활동 중 환경보호활동, 지역문화사업 활동,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책임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소비가치가 다양해짐에 따라 CSR 활동이 소비자의 가치 또한 추구하는 것으로 바뀌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소비가치, 윤리적 소비행동, CSR 요구도 수준과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가치, 윤리적 소비행동, CSR 요구도 수준을 각각 알아보고 소비가치 수준에 따른 윤리적 소비행동 차이, 소비가치 수준에 따른 CSR 요구도 차이,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에 따른 CSR 요구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가치가 윤리적 소비행동과 CSR 요구도에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와 윤리적 소비행동이 CSR 요구도에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활동을 하고 있는 일반적인 소비자 2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소비가치를 3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품속성 가치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윤리적 소비행동은 7가지 하위차원 중 절제와 간소가 가장 높은 수준이며 반대로 기부와 나눔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는 곧 소비자는 남에게 베푸는 행동이 충분치 않을뿐더러 본인의 지출 또한 절제하며 소비한다고 볼 수 있다. CSR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차원 중 환경에 대한 요구도 수준이 가장 높고 소비자 이슈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상품속성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윤리적 소비행동 중 절제와 간소에 가장 높은 행동수준을, 기부와 나눔은 가장 낮은 행동수준을 보였으며 윤리적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공정무역에는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상품구매시 상품을 통해 얻는 주관적 가치보다는 물리적 속성을 더 중요시하는 소비자이므로 같은 속성의 상품이 있을시 조금 더 비싼 공정무역 보다는 절제, 간소와 같은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소비행동을 하는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상품속성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CSR 요구도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소비자이슈, 지역사회 참여 개발 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품경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상품속성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절제와 간소에 높은 행동수준을 보였으며 공정무역과 기부와 나눔에 영향을 미쳤다. 집단 수준으로 보았을 때 상집단의 소비자들보다 하집단의 소비자들의 모든 CSR 요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인 CSR 요구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공동체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윤리적 소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행동수준을 보였고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윤리적 상거래만이 부적영향을 미쳤다. 집단 수준으로 보았을 때 하집단의 소비자들의 CSR 요구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CSR 요구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상집단의 소비자들이 윤리적 소비행동 중 절제와 간소에 가장 높은 행동수준을 나타내었다. 상품의 물리적 속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보다 비교적 상품을 통해 주관적 경험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 또한 절제와 간소에서는 높은 행동수준을 나타내었지만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이것을 통해 절제와 간소와 같은 소비 지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윤리적 소비행동은 가치속성과는 관계없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CSR 요구도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은 윤리적 소비행동을 하는 것에 비해 10대 대기업에게 바라는 CSR 요구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에서 윤리적 소비행동을 소비자들이 더 많이 추구하도록 소비자교육에 이용되면 좋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의 전체를 설명하기에는 설명력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소비행동이라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개념을 몇 가지 하위요인으로만 나누어 분석하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소비가치 연구는 상품에 근거한 소비가치로 초점을 맞추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비생활의 가장 중요한 주체가 되는 소비자로부터 도출되는 가치인 소비공동체적 가치라는 새로운 가치를 근거로 연구를 진행함에 의의가 있고 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CSR 연구가 아닌 소비자의 요구도를 측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소비가치 측정문항과 윤리적 소비행동 측정문항들이 의미적으로 중복되어 있는 문항들이 다소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세밀한 분석도구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척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CSR 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해 10대 기업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설문 응답은 제시된 기업의 범위 내에서 응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석대상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기업의 규모, 제품 군 등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로 다양한 결과를 도출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