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복(求福)여행 설화의 불교적 의미 고찰 = A study for the Buddhist meaning of ‘The Travel for Searching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3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aims to analyze the Buddhist meaning of ‘The Travel for Searching Happiness.’ Although in the folktale ‘the transcendental who manages the blessing’ and ‘the designa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as the d...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aims to analyze the Buddhist meaning of ‘The Travel for Searching Happiness.’ Although in the folktale ‘the transcendental who manages the blessing’ and ‘the designa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as the destination of travel’, etc. strongly represent Buddhist features, the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perspective has only partially existed. The motive for the traveling is interpreted not as ‘penury’ but as ‘a state of suffering’, that is, not obtained even when trying hard to get something. As the characters whom the protagonist met while traveling are united into one, ‘the idea of equality’ of Buddhism and ‘yeon-gi-beop’ could be found. Regardless of class, gender, or age, all beings are experiencing the suffering, and the travel of the protagonist is interpreted as experiencing the whole world. ‘Chintamani’ is interpreted not as ‘property’ but as implementing that the protagonist became ‘a different level of existence.’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ravel is understood as ‘go-jib’ being ‘myeol-do’, and the protagonist becoming from ‘beom-bu-jung-saeng’ to a ‘bosal.’ Also, as the protagonist conveys the Buddha s lessons to others in the state of absence of ego and solves everyone s suffering , the true meaning of bok(blessing) is interpreted as ‘mu-wi-bok’ from Geumganggye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유화(類話) 검토 및 텍스트 읽기 4. 여행동기 5. 여행의 과정 6. 여행의 의미 7. 나오며
      •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유화(類話) 검토 및 텍스트 읽기 4. 여행동기 5. 여행의 과정 6. 여행의 의미 7. 나오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인덕, "한중인 ‘求福旅行’ 설화의 비교적 고찰" 비교민속학회 (31) : 243-286, 2006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적연구" 한국연구원 132-167, 1983

      3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74-210, 2009

      4 장덕순, "한국구비문학선집" 일조각 53-53, 1977

      5 정재민, "한국 운명설화에 나타난 운명관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 조국형, "한국 민담 텍스트(구복여행)의 서술-담화구조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언어과학회 20 (20): 181-198, 2013

      7 박명숙, "한.중 구복여행설화 비교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2) : 371-407, 2006

      8 성운스님, "팔정도-열반에 이르는 여덟가지 바른 길"

      9 전재성, "초기불교의 계급평등론 연구-빠알리어"아쌀라야나경"의 분석 및 한글역과 함께" 한국불교연구원 8 : 153-194, 1992

      10 정재민, "차복설화의 구조와 복에 과한 인식" 한국구비문학회 4 : 183-214, 1997

      1 황인덕, "한중인 ‘求福旅行’ 설화의 비교적 고찰" 비교민속학회 (31) : 243-286, 2006

      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적연구" 한국연구원 132-167, 1983

      3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74-210, 2009

      4 장덕순, "한국구비문학선집" 일조각 53-53, 1977

      5 정재민, "한국 운명설화에 나타난 운명관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 조국형, "한국 민담 텍스트(구복여행)의 서술-담화구조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언어과학회 20 (20): 181-198, 2013

      7 박명숙, "한.중 구복여행설화 비교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2) : 371-407, 2006

      8 성운스님, "팔정도-열반에 이르는 여덟가지 바른 길"

      9 전재성, "초기불교의 계급평등론 연구-빠알리어"아쌀라야나경"의 분석 및 한글역과 함께" 한국불교연구원 8 : 153-194, 1992

      10 정재민, "차복설화의 구조와 복에 과한 인식" 한국구비문학회 4 : 183-214, 1997

      11 지안, "조계종 표준 금강경 바로읽기" 조계종출판사 2010

      12 최래옥, "전북민담" 형설출판사 338-343, 1979

      13 곽철환, "이것이 불교의 핵심이다" 불광출판 41-86, 2014

      14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15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광륵사 83-87, 2015

      16 곽철환, "불교의 길라잡이" 시공사 1995

      17 불교성전편찬회, "불교성전" 문예마당출판사 279-284, 2008

      18 이기영, "불교개론 강의 下" 한국불교연구원 110-, 1998

      19 "동국한글대장경"

      20 진성기, "남국의 전설" 일지사 118-124, 1970

      21 신원봉, "금강경 강의" 부키 267-, 2008

      22 배도식, "구복여행 설화의 구조와 의미" 동아대국어국문학과 22 : 93-130, 2003

      23 "『한국구전설화』 (임석재전집) 2권, 4권, 7권, 10권" 평민사 1993

      24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린 ‘구복여행’ 관련 43편의 설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25 "「여의주의 덕」, 『마하반야바라밀경』 10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26 김남정, "「求福旅行說話」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27 金旺植, "‘求福 旅行’譚 硏究 : 空間移動樣相과 敍事巫歌와의 對比를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8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4&cp_code=cp0433&index_id=cp04331644&content_id=cp043316440001&search_left_menu=2"

      29 최운식, "[단행본] 충청남도 민담" 집문당 176-180, 1980

      30 류정월, "<원천강본풀이>의 운명관 연구-<구복여행> 설화와 대비를 통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42) : 245-27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