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핵 고도화에 따른 한국의 총력대비 필요성과 실태 분석 = An Analysis on Total Preparedness of South Korea against the North Korean Advanced Nuclear Threa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심각해지고 있는 북한의 핵위협에 대하여 이제는 국민들까지 나서서 총력적으로 대비해야할 상황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총력전에 관한 이론을 핵전쟁...

      본 논문은 심각해지고 있는 북한의 핵위협에 대하여 이제는 국민들까지 나서서 총력적으로 대비해야할 상황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총력전에 관한 이론을 핵전쟁에 적용하여 정리한 다음에, 핵공격에 대한 북한의 실태와 이에 대한 한국의 방어태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 국민이 노력해야할 과제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볼 때 현재 북한의 핵위협은 심각한 수준이다. 북한은 한국을 공격할 능력은 이미 구비한 상태에서 미국을 위협하여 평화협정과 주한미군 철수를 추진한 후 강압적 통일을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비태세를 점검해본 결과 정부와 군의 대비태세도 충분하지 않지만, 특히 국민들의 대비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북핵 위협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자 한다면, 국민들은 북핵 위협의 심각성을 인식한 상태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겠다는 굳은 결의를 가져야 한다. 미국의 확장억제가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한미동맹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하고, 핵폭발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대피소를 구축하는 등 자발적인 대비조치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necessity for South Korean total preparedness against a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hich has been strengthened in a very rapid way. For this purpose, it introduces theories on a total war and compares North Korea...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necessity for South Korean total preparedness against a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hich has been strengthened in a very rapid way. For this purpose, it introduces theories on a total war and compares North Korean attacking posture with South Korean preparedness. It recommends a few tasks for South Korean people.
      As a result, this paper analyzed that North Korea has succeeded to have considerable nuclear capabilities including those to attack South Korea with nuclear missiles. It may try to reunify South Korea on its terms. It would try to make the U.S. forces withdraw from South Korea by threatening or attacking the U.S. with its nuclear weapons. In contrast, South Korean preparednes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including people's preparedness.
      If South Korea wants to establish total defense posture against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e South Korean people should have strong will to defend their democratic values. They should cooperate to strengthen ROK-U.S. alliance, as well. South Korean people should prepare nuclear blast or fall-out shelters for a worst scenari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안보실, "희망의 시대 국가안보전략" 국가안보실 2014

      2 김진호, "핵위협 없는 시대 성장한 세대가 핵위협과 함께 사는 법"

      3 박휘락, "핵공격 시 민방위(Civil Defense)에 대한 비교연구: 북한 핵대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81-106, 2014

      4 허광무,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제연구의 문제점" 한일민족문제학회 (6) : 93-122, 2004

      5 차재훈, "한-미 정부의 대북인식과 핵정책 상관성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1-30, 2014

      6 김민서, "태영호 '북핵, 한국군 무력화 노린 것'"

      7 김열수, "킬체인(Kill-Chain)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KAMD): 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20 (20): 112-136, 2013

      8 김태현,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에 대한 재인식-전쟁의 존재론적 해석과 ‘국민’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2) : 75-107, 2012

      9 박계호, "총력전의 이론과 실제" 북코리아 2012

      10 온창일, "초(超)총력전 그리고 제한전: 6.25 전쟁의 수행과정" 5 : 199-235, 1989

      1 국가안보실, "희망의 시대 국가안보전략" 국가안보실 2014

      2 김진호, "핵위협 없는 시대 성장한 세대가 핵위협과 함께 사는 법"

      3 박휘락, "핵공격 시 민방위(Civil Defense)에 대한 비교연구: 북한 핵대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81-106, 2014

      4 허광무,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제연구의 문제점" 한일민족문제학회 (6) : 93-122, 2004

      5 차재훈, "한-미 정부의 대북인식과 핵정책 상관성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1-30, 2014

      6 김민서, "태영호 '북핵, 한국군 무력화 노린 것'"

      7 김열수, "킬체인(Kill-Chain)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KAMD): 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20 (20): 112-136, 2013

      8 김태현,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에 대한 재인식-전쟁의 존재론적 해석과 ‘국민’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2) : 75-107, 2012

      9 박계호, "총력전의 이론과 실제" 북코리아 2012

      10 온창일, "초(超)총력전 그리고 제한전: 6.25 전쟁의 수행과정" 5 : 199-235, 1989

      11 정성장, "차기정부의 북핵 위협 관리 및 대북정책 방향정" 2017 : 173-194, 2017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 핵 대피시설 구축 방안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해양부 2008

      13 오경섭,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 분석(3): 통일전략과 남북관계" 통일연구원 2016

      14 윤기철, "전구미사일 방어" 평단문화사 2000

      15 조남규, "여우가 고슴도치를 길들이는 법"

      16 송호근, "수소폭탄 태풍 앞 ‘빈손’ 한국은 왜 이리 차분한가"

      17 정인성, "송영무 ‘북핵 개발, 적화통일 등 군사적 위협용’"

      18 육군사관학교 전사학과, "세계전쟁사" 황금알 2001

      19 우평균, "북핵의 정치적 효과와 대남전략: 비대칭적 상황에서의 전략 추진" 한국세계지역학회 34 (34): 193-220, 2016

      20 박휘락, "북핵의 군사적 활용 시 예상되는 북한의 핵전략 분석: “전략 = 목표 + 방법 + 수단”의 방정식 활용"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29-52, 2017

      21 조의준, "북핵, 한국은 ‘체제 유지 수단’이라는데, 백악관은 ‘남한 병합용’"

      22 뉴스팀, "북핵 위협에 생존 배낭 이어 '개인용 벙커'까지 등장"

      23 강동완, "북한주민의 통일의식 조사 연구: 북한주민 100명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3 (23): 1-31, 2014

      24 김인태, "북한의 핵위협 대비태세 분석 - 정부의 비군사분야 대비태세를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42) : 205-227, 2015

      25 이윤식, "북한의 대남 주도권 확보와 대남전략 행태" 통일연구원 22 (22): 211-237, 2013

      26 윤정원, "북한 핵위협에 대한 대응의 종합적 구상"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4 (14): 131-162, 2007

      27 박휘락, "북한 핵위협에 대한 국민들의 역할과 과제" (91) : 122-144, 2017

      28 권태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대응" 북코리아 2014

      29 부형욱, "북한 핵 위협의 고도화와 비상대비" 132-155, 2016

      30 김지훈, "북, 주한미군 철수 요구 노골화···남 배제 현실화 우려"

      31 문병기, "북 핵개발은 체제안전 보장 목적"

      32 유용원, "발사에 단 5분. 주일美기지 사정권···"

      33 국립방재연구원, "민방위실태 분석을 통한 제도개선 방안: 기획연구를 중심으로" 국립방재연구원 2012

      34 Summers, Harry G. Jr., "미국의 월남전 전략" 병학사 1983

      35 정경두, "미국의 동북아 위협인식 변화에 따른 한반도 내 전술핵무기의 역할 연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105-130, 2012

      36 Summers, Harry G. Jr., "미국의 걸프전 전략" 자작아카데미 1995

      37 강영도, "멀린 전 美합참의장 ‘김정은, 핵무기 갖고만 있지는 않을 것’"

      38 한국갤럽, "데일리 오피니언 제263호(6월 3주)"

      39 장철운, "남북한의 지대지 미사일 전력 비교: 효용성 및 대응·방어 능력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9 (19): 125-159, 2015

      40 이용재, "나폴레옹 전쟁: 총력전 시대의 서막인가" 한국프랑스사학회 (34) : 55-83, 2016

      41 강동완, "김정은 시대 북한사회 변화 실태 및 북한주민 의식조사: 제3국에서의 북한주민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39 (39): 110-151, 2014

      42 국방부, "국방백서 2016" 국방부 2016

      43 국방부, "국방백서 2006" 국방부 2006

      44 황성돈, "국력평가를 통한 국민 호국정신 함양 방안 연구" 한반도선진화재단 2017

      45 김진하, "격변기의 안보와 국방.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창설 30주년 기념 논문집" 301-344, 2017

      46 유용원, "北ICBM. 24일만에 3000㎞ 늘어··· 언제 어디서든 타격 능력"

      47 유재갑, "‘제한전쟁(制限戰爭)’의 현대적(現代的) 의의(意義)" 27 (27): 317-340, 1984

      48 Reporters without Borders, "World Press Freedom Index"

      49 Elleman, Michael, "The Secret to02 North Korea's ICBM success"

      50 Green, Brian, "The New Case for Civil Defense"

      51 Howard, Michae, "The Forgetten Dimensions of Strategy" (Summer) : 1979

      52 Warden, John A. III., "The Enemy As a System" 9 (9): 1995

      53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McGraw-Hill 1985

      54 Larsen, Jeffery A., "On Limited Nuclear War in the 21st Century" Standford Univ. Press 2014

      55 Clausewitz, Carl von, "O1124142n War" Princeton Univ. Press 1984

      56 Missile Defense Advocacy Alliance, "Making the World Safer Place"

      57 MBC, "MBC 추석특집 여론조사 결과 통계표"

      58 Osgood, Robert E., "Limited War: The Challenge to American Strategy" Univ. of Chicago Press 1957

      59 Halperin, Morton H., "Limited War in the Nuclear Age" John Wiley Publishing 1965

      60 Chickering, Roger, "Great War, Total War: Combat and Mobilization on the Western Front, 1914-19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61 Fund for Peace, "Fragile State Index"

      62 Homeland Security National Preparedness Task Force, "Civil Defense and Homeland Security: A short History of National Preparedness Effort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06

      63 Chickering, Roger, "A World at Total War: Global Conflict and the Politics of Destruction, 1937-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4 Zagurek, Michael J. Jr., "A Hypothetical Nuclear Attack on Seoul and Tokyo: The Human Cost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65 손경호, "6∙25전쟁에 나타난 미국의 제한전쟁 수행체계 분석: 중국군 개입 이후 국무부의 역할 확대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105-137, 2015

      66 김학민, "4차 북핵 실험과 우리의 대비 및 대응 방향: 국가적, 군사적 차원의 방호 및 사후관리를 중심으로" 한국국방연구원 32 (32): 31-61, 2016

      67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6 범국민 안보의식 조사" 국방대학교 2016

      68 유용원, "'한국내 미 민간인' 7년만에 일 대피 실전훈련"

      69 김정선, "'북한 방문 중단에서 일본인 수송까지'···일. 유사시 4단계 대피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