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미투운동 이후 기독여성들이 경험하는 여성혐오현상에 대해 그 본질과 의미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라는 개인적인 경험 세계와 그 본질을 탐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51396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2019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 기독교학과 가족상담전공 , 2019
2019
한국어
186.3 판사항(6)
616.89 판사항(23)
서울
iii, 91장 ; 26 cm
지도교수: 정연득
참고문헌: 장 84-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미투운동 이후 기독여성들이 경험하는 여성혐오현상에 대해 그 본질과 의미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라는 개인적인 경험 세계와 그 본질을 탐구...
본 연구의 목적은 미투운동 이후 기독여성들이 경험하는 여성혐오현상에 대해 그 본질과 의미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라는 개인적인 경험 세계와 그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지오르지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교회 내 여성혐오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20·30 기독여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의미단위를 요약하고 모으는 과정을 거쳐 50개의 의미단위 개념화로 묶은 후, 의미단위를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21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를 구성요소로 범주화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투운동 이후 기독여성들이 경험하는 여성혐오현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투운동의 의미’로 참여자들은 미투운동을 통해 피해자인 자신과 친구들의 피해경험을 확인하며 삶의 전환점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개인으로 경험했던 피해들을 여성으로의 공감과 연대로 경험했다.
둘째, ‘미투운동이 불러온 변화’로 참여자들은 미투운동 이후 여성으로서의 차별과 억압을 직면함과 동시에 교회 내 여성혐오를 직면하며 내적 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인 혼란은 기독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게 하며 관계에서의 갈등과 하나님과의 관계 또한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페미니즘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와 여성혐오에 대해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미투운동 이후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 불러온 생각’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을 의심하며 검열하고 부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회 공동체에서의 성역할과 전통적인 현숙하고 정숙한 여인상에 대한 요구를 의심하며 불편함을 드러냈다. 나아가 보수적이고 성차별적인 교회 문화와 변화에 민감하지 못하고 여성의 경험에 공감하지 못하는 지체들의 태도에 실망과 함께 의문을 갖게 되었다.
넷째, ‘미투운동 이후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 불러온 감정’으로 참여자들은 기대했던 교회 공동체에 대한 실망과 분노, 남성중심적인 교회 공동체에서 여성으로서의 한계로 인해 슬픔을 경험했다. 또한 공감 받지 못하고 수용 받지 못함에 상처와 불안 등 심리적 갈등과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했다.
다섯째, ‘미투운동 이후 교회 내 여성혐오 경험이 불러온 반응’으로 참여자들은 대체적으로 여성혐오표현과 상황에 보다 능동적으로 반응하며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미투운동이라는 연대의 경험이 힘이 되어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교회 공동체에서의 갈등을 만들고 싶지 않아 순응하거나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반응하기도 했다.
여섯째, ‘여성혐오로부터 자유로운 교회 공동체를 위한 요청’으로 참여자들은 사역자들의 인식의 변화와 교회 공동체 차원이 여성 연대 및 젠더감수성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나아가 교단차원에서 여성안수 금지 조항 폐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미투운동 이후 기독여성들은 여성혐오현상으로 인해 내적 혼란과 관계의 갈등, 일시적으로 하나님과 멀어지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한 과정들을 통해 피해자의 정체성에서 주체자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자신의 정체성이 보다 확고해지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교회 공동체의 여성혐오 문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주체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살펴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투운동 이후 한국 개신교 교회 내 평신도인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생생한 주관적 경험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기독여성들에게 미투운동이 갖는 의미와 그것이 교회 내 여성혐오의 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더하는지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sogyny that women experience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personal experience of female in the church was used to explore the world by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eorgi. In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sogyny that women experience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personal experience of female in the church was used to explore the world by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eorgi. In response,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20s to 30s Christian women who thought there was a misogyny inside the chu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me meaningful units were summarized and collected into 50 concept units, and the 21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were categorized into components after the structural integration of the meaningful uni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thought “#MeToo” movement has been a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with the victim's own and their friends' experiences. The victims’ own experiences have changed into empathy and solidarity with women.
Second, the 'change brought by #MeToo movement' has shown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rnal confusion as they face discrimination after the movement, while facing misogyny in the church. Internal confusion causes the confusion of identity as a Christian woman, makes conflicts in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God. These were able to voice their motivation for feminist study and female aversion.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censored and denied themselves because of the idea that abhorrence in the church after the “#MeToo” movement. However, the church community expressed doubts about the sex role required for women and the need for a traditional, modest and quiet woman. Furthermore, they became frustrated with the attitude to the members who are not sensitive to conservative and can not sympathize with the experiences.
Fourth, with 'feeling inspired by the experience of misogyny in the church after the “#MeToo” movement,' participants were saddened by the anger that they had expected about the church community and the limitation of women in the male-centered church community.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conflict and emotional difficulties since they couldn’t be understood and accepted.
Fifth, the 'reaction of the experience by “#MeToo” movement in church' has shown that participants generally respond more actively to misogyny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experiences of the movement. However, they still did not accept or express their feelings because they did not want to create conflict in the church community.
Sixth, with the ‘request for a free church community from misogyny,’ the participants want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ministers and the women's solidarity and education in the church community. Furthermore, it appears that they want to abolish the ban on women ordination.
Thus, after the “#MeToo” movement, Christian women were found to have internal confusion, conflicts of relativity, and temporary experience of being separated from God. Through such processes, it became clear that the identities of the victims changed into the true identities, and their identities became more firmed.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church is coping with the changes of the church community in a active w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in-depth study with the experience of single women in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movement. Second, it reveals to women the meaning of the movement and what it means to the experience of misogyny in the church.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and experiences with qualitative research about misogyny phenomena by women, so we limited women’s ages and participants. It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misogyny phenomenon experienced by Christian women after the “#MeToo” movement.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 is that prior studies were not enough about misogyny in the church. Enough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female abhorrence in the church are also needed.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unmarried Christian women aged 20 to 39. Therefore, further study will require detailed ag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married wome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