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진보적 연극운동과 조선문화 사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46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moyoshi Murayama(1901~1977) was a cultural artist, who had made great steps in diverse fields such as play, literature, film, and art. He was so famous enough to be called "Da Vinci in Japan". Having affection to Korea and Korean, he was a progressi...

      Tomoyoshi Murayama(1901~1977) was a cultural artist, who had made great steps in diverse fields such as play, literature, film, and art. He was so famous enough to be called "Da Vinci in Japan". Having affection to Korea and Korean, he was a progressive highly educated artist who had done everything he could do to keep traditional Korean culture with his own way. He had been so closely related to Korea that he visited Korea three times in 1938 and he stayed for almost a whole year in Seoul in 1945. Furthermore in 1938 he brought the traditional Korean classical play 〈Chunhyangjeon〉 into the st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omoyoshi Murayama's progressive play movement was a people. He directly went into Korean people and understood Korean culture and did his best to preserve the vanishing Korean culture under Japanese control. Through the literature works containing fondness of Korea, by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with Koreans, first and foremost with the performance of plays, he had looked for real solidarity between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Therefore he was not only a precious artist at that time but also he is precious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무라야마를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
      • 2. 무라야마의 삶과 진보적 연극운동
      • 3. 조선(인)과의 만남
      • 4. 조선문화와 일본문화의 접점을 찾아서
      • 5. 내적 망명으로서의 조선행
      • 1. 무라야마를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
      • 2. 무라야마의 삶과 진보적 연극운동
      • 3. 조선(인)과의 만남
      • 4. 조선문화와 일본문화의 접점을 찾아서
      • 5. 내적 망명으로서의 조선행
      • 6. 무라야마가 남긴 유산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광제, "「춘향의 개가」, 조선일보 1938. 7. 3~7. 7"

      2 村山知義, "金史良を憶う" 55-56, 1952

      3 민병욱, "한국 희곡사 연표" 국학자료원 333-334, 1994

      4 "신협 춘향전 좌담회" (52) : 1938

      5 서석배, "신뢰할 수 없는 번역: 1938년 일본어 연극 춘향전" 아세아문제연구소 51 (51): 43-71, 2008

      6 "동아일보 1936. 7. 24"

      7 일본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동맹해산에 관한 결의 in: 일본 프롤레타리아 연극론" 월인 129-, 1999

      8 정대성, "단청의 포스트 콜로니얼 비평적 되읽기" (5) : 2001

      9 조택원, "가사호접" 서문당 230-232, 1973

      10 村山知義, "赤いメガポン見だまま" 1932

      1 서광제, "「춘향의 개가」, 조선일보 1938. 7. 3~7. 7"

      2 村山知義, "金史良を憶う" 55-56, 1952

      3 민병욱, "한국 희곡사 연표" 국학자료원 333-334, 1994

      4 "신협 춘향전 좌담회" (52) : 1938

      5 서석배, "신뢰할 수 없는 번역: 1938년 일본어 연극 춘향전" 아세아문제연구소 51 (51): 43-71, 2008

      6 "동아일보 1936. 7. 24"

      7 일본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동맹해산에 관한 결의 in: 일본 프롤레타리아 연극론" 월인 129-, 1999

      8 정대성, "단청의 포스트 콜로니얼 비평적 되읽기" (5) : 2001

      9 조택원, "가사호접" 서문당 230-232, 1973

      10 村山知義, "赤いメガポン見だまま" 1932

      11 "讀賣新聞 1939. 12. 22"

      12 內務省警保局, "社會運動の狀況" 1529-, 1935

      13 村山知義, "演劇的自敍傳 3" 東邦出版社 133-135, 1974

      14 村山知義, "朝鮮の演劇のために" 1934

      15 村山知義, "朝鮮での8·15" 1950

      16 "朝日新聞"

      17 平田勳, "春香傳觀劇所感" 5 (5): 1938

      18 布施辰治, "春香を見て" 5 (5): 1938

      19 村山知義, "新劇の危機" 1934

      20 "京城日報"

      21 村山知義, "丹靑" 1939

      22 村山知義, "プロットの新方針と新組織の其後の展開" 1932

      23 村山知義, "プロットの新しい任務と新しい組織方針" 193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