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아동의 만성질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 = Family Factors Affecting Children`s Chronic Illness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과 혈당측정 등의 복잡한 치료지침을 따라야 하는 가족전체의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 질병 초기에 부모에 의해서 주로 질병...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과 혈당측정 등의 복잡한 치료지침을 따라야 하는 가족전체의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 질병 초기에 부모에 의해서 주로 질병관리가 이루어지다가 아동의 성장에 따라 점차적으로 질병관리의 책임이 아동에게로 이전되기 때문에 가족요인이 질병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가족갈등, 가족응집력 등의 일반적인 가족특성 외에도 당뇨병관리와 좀더 밀접하게 관련된 가족변인, 즉 모-아동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아동의 당뇨관리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미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당뇨환아 가족 134 가구에 대해서 이러한 가족요인과 아동의 순응도 및 건강상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환경, 즉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은 모-아동간 당뇨관리 인식차이 및 순응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환경과 순응도간의 관계는 모-아동 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통제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가족환경과 질병관리의 관계를 질병관리자간의 인식차이가 매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결과는 가족환경이나 의사소통과 아동의 질병관리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결과들과 유사하며, 일선 사회사업가들이 아동의 당뇨병 관리 향상을 위해 가족에 대하여 적극적인 사정과 개입을 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agement of a chronic illness such as diabetes is a challenge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patient. Children of young age present additional challenges in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illness management gets transitioned from parents to the i...

      Management of a chronic illness such as diabetes is a challenge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patient. Children of young age present additional challenges in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illness management gets transitioned from parents to the ill child as she grows up.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diabetes has shown that family functioning is associated with the child`s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as Well as their metabolic control. This study proposes another family factor that could possib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and illness management: the discordance between parent and child`s perception of adherence. A sample of 134 mother-child dyads was extracted from a secondary data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the parent`s perceptions in adherence are discordant from those of the child. and whether this discordance is associated with family environment. adherence level, and metabolic control.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and children`s reports of adh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group level comparisons. However. at the dyadic level, parent-child discordance was observed in more than one third of the adherence items measured. Family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ent-child discordance in perceptions of adherence as well as adh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adh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effect of discordance in perceptions was controlled. suggesting possible mediat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document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childhood chronic illnes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태연,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2 이복남, "일부 농촌지역 당뇨병 환자에서 지각된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역량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2003

      3 임승규, "소아당뇨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0

      4 한지영, "소아당뇨인의 자기관리에 대한 연구 : 또래관계와 주장행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4

      5 김덕희, "소아당뇨병 환자의 관리" 53-69, 1997

      6 권은경, "소아당뇨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개념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김원철, "사회적 지지가 소아당뇨 아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1

      8 석부현, "당뇨환자의 치료지시이행과 가족지지 및 자존감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1992

      9 유문숙, "당뇨환자와 가족의 식이요법에 관한 지식 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식이요법 이행연구" 연세대학교 1988

      10 김진희, "당뇨환아들의 단기 영양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10 (10): 21-36, 2000

      1 권태연,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2 이복남, "일부 농촌지역 당뇨병 환자에서 지각된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역량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2003

      3 임승규, "소아당뇨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0

      4 한지영, "소아당뇨인의 자기관리에 대한 연구 : 또래관계와 주장행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4

      5 김덕희, "소아당뇨병 환자의 관리" 53-69, 1997

      6 권은경, "소아당뇨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개념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김원철, "사회적 지지가 소아당뇨 아동,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1

      8 석부현, "당뇨환자의 치료지시이행과 가족지지 및 자존감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1992

      9 유문숙, "당뇨환자와 가족의 식이요법에 관한 지식 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식이요법 이행연구" 연세대학교 1988

      10 김진희, "당뇨환아들의 단기 영양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10 (10): 21-36, 2000

      11 양세원 외, "당뇨캠프에서 조사한 당뇨병 자기관기 기술의 터득 연령" 56-64, 1994

      12 강병임,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간의 관계연구" 순천향대학교 2002

      13 이용규,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 수행 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2000

      14 Kurtz, "and metabolic control in IDDM" 1984

      15 Harris, M.A, "Validation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the assessment of diabetes self-management" 23 : 1301-1304, 2000

      16 Florian, V, "The impact of mothers' sense of empowerment on the metabolic control of their children with juvenile diabetes" 23 (23): 239-247, 1998

      17 Trostle, J.A, "The ideology of Adherence: An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Promoting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in chronic childhood illness: Concepts, methods, and interven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0

      18 McCubbin, H.I, "The dymanics of resilient families" Sage Publications Ltd 1999

      19 Wake, M, "The Child Health Questionnaire in children with diabetes: cross-sectional survey of parent and adolescent-reported functional health status" 17 : 700-707, 2000

      20 Boardway, "Stress management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45, 1993

      21 Kaplan, "Social learning intervention to promote metabolic control in type 1 diabetes mellitus" 152-155, 1985

      22 Rea, "Situational obstacles to adherence for adolescents with diabetes" 207-211, 1994

      23 Anderson, "Research on diabetes management and the family" 696-702, 1980

      24 Thomas, A.M, "Problem solving and diabetes regimen adherenc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DDM in social pressure situations: A reflection of normal development" 22 (22): 541-561, 1997

      25 Emery,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management of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3-610, 1994

      26 Bobrow, "Mother-daughter interaction and adherence to diabetes regimen" 146-151, 1985

      27 Hanson, "Model of the associations between psychsocial variables and health outcome measures in adolescents with IDDM" 752-758, 1987

      28 Anderson, "Miscarried helping in the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Advances in child health psychology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67-177, 1991

      29 McNabb, "Increasing childrens responsibility for diabetes self-care the In Control study" 121-124, 1994

      30 Anderson, B.J, "Family conflict, adherence, and glycaemic control in youth with short duration type 1 diabetes" 19 : 635-642, 2002

      31 Anderson, "Family characteristics of diabetic adolescents Relationship to metabolic control" 586-591, 1981

      32 Anderson, "Effects of peer-group intervention on metabolic control of adolescents with IDDM" 179-183, 1989

      33 Asch, S, "Diabetes mellitus, Quality of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selected clinical conditions and quality indicators" RAND Health 169-181, 2000

      34 Delamater, A.M, "Crit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regimen adherence in children with diabetes, Promoting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in chronic childhood illness: Concepts, methods, and interventions, Promoting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in chronic childhood illness: Concepts, methods, and interven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3-195, 2000

      35 Reid, "Contribution of coping to medical adjustment and treatment responsibil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327-335, 1994

      36 Von Korff, M, "Collaborative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 127 : 1097-1102, 1997

      37 Anderson, "Assessing family sharing of diabetes responsibiliti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477-492, 1990

      38 Anderson, B, "An office-based intervention to maintain parent-adolescent teamwork in diabetes management" 22 : 713-721, 1999

      39 Schafer, "Adherence to IDDM regimens Relationship to psychosocial variables and metabolic control" 493-498, 1983

      40 Bloomfield, "A project in diabetes education for children" 137-142, 1990

      41 Ruggiero, "A new measure for assessing diabetes self-management responsibility in pediatric populations" 233-234, 19911991

      42 Silverman, A.H, "A cognitive behavioral adherence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type1 diabetes" 10 (10): 119-12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