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시론(試論)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69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문화라는 콘텐츠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지역 문화 산업과 관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획-제작-유통의 전체 분야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가공과 창출까지의 과정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제우 관련 역사 기록 및 문학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논한 후 이에 바탕하여 대구 소재 공간형 콘텐츠의 창출 과정이 진행된다. 영남지역은 한국 자생 문화 ‘동학’의 발상지이며 그중 특히 대구는 동학 교조 최제우(1824-1864)가 1864년 좌도난정(左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된 곳이다. 당시 최제우의 체포와 처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및 『천도교 창건사』에 기록되었다. 또한 이광수(李光秀)는 『개벽』수록소설 「거룩한 죽음」에서 최제우의 대구 처형 장면을 형상화하였다. 이들 세 자료들은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의 바탕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가 구상되었다. 즉 대*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년도 제1차 전국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에는 수용공간ㆍ공감공간ㆍ체험공간이 구성되고, 각 공간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소장 콘텐츠가 배치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에 대한 자긍심과 동학의 혁명 정신에 공감하는 대구 지역의 장(場)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Th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ssociated with the realistic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thout remaining in the content zone called culture. In relation to this,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is demanded a research available for uniting the process from understanding the whole field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p to processing and creating into one. This study is discussed a meaning and a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literary work relevant to Choe Je-u, and then is progressed the creation process of space-type contents placed in Daegu on the basis of this. The Yeongnam region is the cradle of ‘Donghak’ that is Korea’s homegrown culture. Among the rest, Daegu is especially a place where Choe Je-u(1824-1864) as the founder of Donghak was executed under the name of a crime dubbed Jwadonanjeong(左道亂政) in 1864. What Choe Je-u was arrested and executed at that time was recorded in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and 『Cheondogyo-changgeonsa(天道敎創建史)』. Also, Lee Gwang-su(李光秀) embodied Choe Je-u’s scene of the Daegu execution in 「The Holy Death」, which is a novel of being included in 『Gaebyeok(開闢)』. These three materials correspond to the background of Choe Je-u’s space-type content situated in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ill need to be operated properly for each spatial function with being secured the acceptance space, the empathy space and the experienc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being likely arranged a place of Daegu area that empathizes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of Donghak in addition to a pride of Donghak,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최제우의 역사적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과 천도교 교단 기록
      • 2-2. 최제우 순도에 관한 기존 논의
      • 국문초록
      • 1. 서론
      • 2. 최제우의 역사적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과 천도교 교단 기록
      • 2-2. 최제우 순도에 관한 기존 논의
      • 3. 최제우의 문학적 형상화
      • 3-1. 거룩한 사람의 탄생
      • 3-2. 거룩한 사람의 죽음
      • 4. 최제우 문화콘텐츠의 현황 및 활용 제언
      • 4-1. 최제우 관련 문화콘텐츠의 가치
      • 4-2. 공간형 콘텐츠의 활용 제언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수영, "한국 현대 동학소설 연구" 경북대 2019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3 박승희, "지역 역사 공간의 스토리텔링 방향과 실제 -대구 원도심 골목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3) : 403-429, 2013

      4 조병수, "종교와 문예" 20 : 1925

      5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1권"

      6 최제우, "용담유사" 癸巳刊

      7 윤석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6

      8 李昌林, "새삼스럽게 吟味되는 朝鮮의 崔水雲主義" 1923

      9 김기덕, "문화콘텐츠의 등장과 인문학의 역할" 인문콘텐츠학회 (28) : 9-31, 2013

      10 김만수, "문화콘텐츠 유형론" 글누림 2010

      1 우수영, "한국 현대 동학소설 연구" 경북대 2019

      2 이돈화, "천도교 창건사"

      3 박승희, "지역 역사 공간의 스토리텔링 방향과 실제 -대구 원도심 골목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3) : 403-429, 2013

      4 조병수, "종교와 문예" 20 : 1925

      5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1권"

      6 최제우, "용담유사" 癸巳刊

      7 윤석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6

      8 李昌林, "새삼스럽게 吟味되는 朝鮮의 崔水雲主義" 1923

      9 김기덕, "문화콘텐츠의 등장과 인문학의 역할" 인문콘텐츠학회 (28) : 9-31, 2013

      10 김만수, "문화콘텐츠 유형론" 글누림 2010

      11 양경모, "문화유적지 현지형 박물관을 위한 건축계획 연구" 홍익대 2017

      12 황선희, "동학ㆍ천도교 역사의 재조명" 모시는사람들 2011

      13 조극훈, "동학 문화 콘텐츠와 글로컬라이제이션" 동학학회 (35) : 203-236, 2015

      14 최강림, "도시정체성과 장소만들기-장소만들기를 통한 도시정체성 확립의 방향" 대한지방행정공제회 42 : 2007

      15 우대성, "도시 기념적 건축의 건립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16 대구 가톨릭대학교 영남교회연구소, "대구대교구 순교사 자료집Ⅰ" 2018

      17 김원, "꿈을 그리는 건축가" 태학사 2019

      18 태지호, "공간형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9 채길순, "경상북도 지역의 동학 활동 연구- 사적지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27) : 93-134, 2013

      20 이광수, "거륵한 죽음" 천도교중앙총부 1933

      21 황의돈, "民衆的叫號의 第一聲인 甲午의 革新運動" 1922

      22 최제우, "東經大全" 癸未仲夏 慶州開刊

      23 一記者, "東洋의 先聖後神(偉人의 獅子吼, 其三) (최제우)" 1921

      24 조산강, "東學黨" 23 : 1931

      25 현철, "宗敎와 文藝의 關係"

      26 "天道敎會月報 천도교 중앙총부, 1-296호, 1910.8.-1937.6."

      27 一記者, "人乃天主義의 唱導者 崔濟愚 先生(十大偉人紹介의 其七)" 1922

      28 一記者, "人乃天主義의 主唱者 崔水雲先生의 誕生百年紀念에 就하야" 1924

      29 "『開闢』, 천도교 중앙총부, 1-72호, 1920.6.-192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