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험칙 가계를 고려한 새케인지안 DSGE 모형의 추정을 통한 재정승수효과의 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Fiscal Multiplier Effects of a New Keynesian DSGE Model with Rule-of-Thumb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72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케인지안 DSGE 모형의 하나인 Smets and Wouters(2007) 모형에 재정부문을 구체화하여 재정정책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유동성제약하의 경험칙 가계의 존재를 고려함으로써 리카...

      본 연구는 새케인지안 DSGE 모형의 하나인 Smets and Wouters(2007) 모형에 재정부문을 구체화하여 재정정책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유동성제약하의 경험칙 가계의 존재를 고려함으로써 리카디안 등가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현실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경험칙 가계의 비중을 추정하기 위해 Campbell and Mankiw(1991)의 항상소득가설을 검증하는 추정식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30%의 가계가 유동성제약하의 경험칙 가계로 밝혀졌다. 그리고 DSGE 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정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나머지 모수들을 추정하고 정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정지출의 승수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지출승수는 1.1로 추정되었다. 즉, 정부지출을 GDP대비 1% 증가시킬 때 GDP를 1.1%p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2~3년으로 정부지출을 다년간 확대할 때 재정지출승수는 하락하였다. 둘째, 최적화 가계만으로 구성된 모형의 재정지출승수는 기본모형에 비해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최적화 가계들은 유동성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리카디안 등가원리가 적용되고, 정부지출 확대에 따른 부정적인 자산효과가 소비지출의 증가를 저해하기 때문이다. 셋째, 명목경직성을 완화하는 모형의 재정지출승수는 기본모형에 비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과 임금이 보다 신축적이면, 정부지출 확대에 따른 총수요 증가 효과가 상당부분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고 소득증가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in a New Keynesian DSGE model based on Smets and Wouters(2007). However, it extends the fiscal part of their model and considers the rule-of thumb consumers under liquidity constraints. In order to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in a New Keynesian DSGE model based on Smets and Wouters(2007). However, it extends the fiscal part of their model and considers the rule-of thumb consumers under liquidity constraints. In order to estimate the weight of the rule-of-thumb consumers in the economy, we utilized the estimation equation of Campbell and Mankiw(1991) who tested the Permanent-Income Hypothesis. From the GMM estimation, we find that 30% of consumers are under liquidity constraints. In addition, from Bayesian estimated DSGE model, we find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government spending multiplier is estimated to be 1.1, but its multiplier decreases as government spending expands to 2 or 3 years. Second, its multiplier decreases in the model economy if it consists of only the optimal consumers. Ricardian equivalence applies to optimal consumers, so that a negative wealth effect due to government spending discourages optimal consumers to spend their consumption. Third, its
      multiplier decreases as the nominal, or real rigidities are relaxed because the spending effect erases to some extent as the prices adju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모 형
      • Ⅲ. 모형의 추정
      • Ⅳ. 정책 시뮬레이션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모 형
      • Ⅲ. 모형의 추정
      • Ⅳ. 정책 시뮬레이션
      • Ⅴ. 결 론
      • < 참 고 문 헌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수, "재정정책의 승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In 재정지출과 거시경제정책" 2013

      2 지정구, "재정정책 분석을 위한 신케인지안 모형 구축 결과" 한국은행 70 (70): 16-36, 2016

      3 김우철, "세입과 세출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123) : 2006

      4 김혜선, "비-리카르디안 가계의 존재와 소규모개방경제의 재정정책효과" 한국재정학회 8 (8): 59-109, 2015

      5 이준희, "담보 차입 제약 금융가속기가 부가된 명목가격 경직성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187-216, 2011

      6 김성태, "금융위기에 대응한 확장적 재정정책의 효과성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34 (34): 27-68, 2012

      7 백웅기,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재정정책의 유효성 분석" 한국재정학회 3 (3): 131-175, 2010

      8 배병호, "거시금융연계 DSGE 모형을 이용한 경기변동 요인 및 통화정책효과 분석" BOK 2013

      9 Uhlig, H., "Understanding the Impact of Fiscal Policy: Some Fiscal Calculus" 100 : 30-34, 2010

      10 Galí, J.,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on Consumption" 5 : 227-270, 2007

      1 박형수, "재정정책의 승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In 재정지출과 거시경제정책" 2013

      2 지정구, "재정정책 분석을 위한 신케인지안 모형 구축 결과" 한국은행 70 (70): 16-36, 2016

      3 김우철, "세입과 세출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123) : 2006

      4 김혜선, "비-리카르디안 가계의 존재와 소규모개방경제의 재정정책효과" 한국재정학회 8 (8): 59-109, 2015

      5 이준희, "담보 차입 제약 금융가속기가 부가된 명목가격 경직성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187-216, 2011

      6 김성태, "금융위기에 대응한 확장적 재정정책의 효과성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34 (34): 27-68, 2012

      7 백웅기,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재정정책의 유효성 분석" 한국재정학회 3 (3): 131-175, 2010

      8 배병호, "거시금융연계 DSGE 모형을 이용한 경기변동 요인 및 통화정책효과 분석" BOK 2013

      9 Uhlig, H., "Understanding the Impact of Fiscal Policy: Some Fiscal Calculus" 100 : 30-34, 2010

      10 Galí, J.,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on Consumption" 5 : 227-270, 2007

      11 Campbell, J. Y., "The Response of Consumption to Income: A Cross-Country Investigation" 35 : 723-767, 1991

      12 Hall, R. E., "Stochastic Implications of the Life Cycle-Permanent Income Hypothesis: Theory and Evidence" 86 : 971-987, 1978

      13 Smets, F., "Shocks and Frictions in the US Business Cycles: A Bayesian DSGE Approach" 97 : 586-606, 2007

      14 김성순, "SVAR모형을 이용한 정부지출과 조세 변화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22 (22): 3-33, 2007

      15 Erceg, C., "Optimal Monetary Policy with Staggered Wages and Price Contracts" 46 : 281-313, 2000

      16 Christiano, L., "Nominal Rigidities and the Dynamic Effects of a Shock to Monetary Policy" 113 : 1-45, 2005

      17 Cogan, J. F., "New Keynesian versus Old Keynesian Government Spending Multipliers" European Central Bank 2010

      18 Cole, H. L., "New Deal Policies and the Persistence of the Great Depression: A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112 (112): 779-816, 2004

      19 Eggertsson, G. B., "NBER Macroeconomic Annual 2010, Vol. 2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20 Auerbach, A., "Measuring the Output Responses to Fiscal Policy" 4 (4): 1-27, 2012

      21 Justiniano, A., "Investment Shocks and Business Cycles" 57 : 132-145, 2010

      22 Ilzetzki E., "How Big (Small?) Are Fiscal Multipliers?" 60 : 239-254, 2013

      23 Coenen, G., "Gauging the Effects of Fiscal Stimulus Packages in the Euro Area" European Central Bank 2012

      24 Drautzburg, T., "Fiscal Stimulus and Distortionary Taxation" Federal Reserve Bank of Philadelphia 2013

      25 OECD, "Fiscal Consolidation: Part 2. Fiscal Multipliers and Fiscal Consolidations" 2012

      26 Born, B., "Exchange Rate Regimes and Fiscal Multipliers" 37 (37): 446-465, 2013

      27 Coenen, G., "Effects of Fiscal Stimulus in Structural Models" 4 (4): 22-68, 2012

      28 Coenen, G., "Does Government Spending Crowd In Private Consumption?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for the Euro Area" IMF 2005

      29 Campbell, J. Y., "Consumption, Income, and Interest Rates: Reinterpreting the Time Series Evidence" 1989

      30 Ramey, V. A., "Can Government Purchases Stimulate the Economy?" 49 (49): 673-685, 2011

      31 Herbst, E. P., "Bayesian Estimation of DSGE Model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32 Dolls, M., "Automatic Stabilizers and Economic Crisis: US vs. Europe" 96 : 279-294, 2012

      33 Smets, F., "An Estimated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the Euro Area" 1 : 1123-1175, 2003

      34 Blanchard, O., "An Empirical Characterization of the Dynamic Effects of Changes in Government Spending and Taxes on Output" 117 (117): 1329-1368, 2002

      35 김혜선, "2국가 DSGE 모형을 활용한 개방경제에서의 재정지출효과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 (2): 209-24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재정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2008-01-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한국재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Economic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 1.58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