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사업특성에 따른 보건의료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00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related effect o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by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job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the purpose to participate and program type. Using Senuri system databas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participants’survey(2010, 2012), and sample patient research data, we made a panel data with 2,441 sample from 2009 to 2013. For measuring health promotion effect, we set medical care cost, number of days for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number of days for treatment, unit cost of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and unit cost of treatment as proxy variables.
      The finding was that.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for earning cost has the largest effect among any other subgroups. Second, the participants to join public program has more effect and personnel dispatch group may have no effect from the program. So to select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o assign program types,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purpose to participat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related effect o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by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job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the purpose to participate and program type. Using Senuri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related effect o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by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job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the purpose to participate and program type. Using Senuri system database, Job Creation Projects for Elderly participants’survey(2010, 2012), and sample patient research data, we made a panel data with 2,441 sample from 2009 to 2013. For measuring health promotion effect, we set medical care cost, number of days for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number of days for treatment, unit cost of hospitalization and visiting, and unit cost of treatment as proxy variables.
      The finding was that.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for earning cost has the largest effect among any other subgroups. Second, the participants to join public program has more effect and personnel dispatch group may have no effect from the program. So to select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o assign program types,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purpose to particip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성호, "취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1103-1118, 2011

      2 권유림, "도시지역 일하는 노인의 건강관리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정책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1

      4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323-349, 2009

      5 김은혜,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울행정학회 22 (22): 363-378, 2011

      6 박영미,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243-264, 2015

      7 임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4 (14): 75-102, 2008

      8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연차별 의료비 절감효과" 한국행정학회 41 (41): 421-424, 2007

      9 김영선, "노인일자리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19-435, 2011

      10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 건강증진효과 및 의료비 절감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1 허성호, "취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1103-1118, 2011

      2 권유림, "도시지역 일하는 노인의 건강관리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정책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1

      4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323-349, 2009

      5 김은혜,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울행정학회 22 (22): 363-378, 2011

      6 박영미,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243-264, 2015

      7 임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4 (14): 75-102, 2008

      8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연차별 의료비 절감효과" 한국행정학회 41 (41): 421-424, 2007

      9 김영선, "노인일자리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19-435, 2011

      10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 건강증진효과 및 의료비 절감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11 고재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209-1228, 2011

      12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403-430, 2015

      13 이성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7 (7): 57-68, 2015

      14 배지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특성" 2012

      15 김수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사회적 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371-393, 2014

      16 김준환, "노인일자리사업 사업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노인일자리사업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20 : 147-194, 2011

      17 이석원,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보건의료 효과분석"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2014

      18 정세희,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14 (14): 59-79, 2014

      19 권구영, "노인일자리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8) : 51-78, 2007

      20 박부연, "노인의 직업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 8 (8): 941-947, 2013

      21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5-42, 2009

      22 임중철,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9-50, 2012

      23 윤현숙,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03-324, 2009

      24 정연자, "노인 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에 따른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193-223, 2014

      25 황미구,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인 특성이 삶.직무.사회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137-156, 2008

      26 기영화,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현장사례연구: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5-48, 2011

      27 Waddell, G., "is work good for your health and well-being?" The Stationery Office 2006

      28 Wheeler, J. A., "The Beneficial Effects of Volunteering for Older Volunteeers and the People They Serve: a Meta-Analysis" 47 (47): 69-79, 1998

      29 Parmore, E., "Predicting of Life Span" Lexington Press 237-248, 1971

      30 Stephen B., "Perceived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in Urban Elderly: A Controlled Study of the Impact of Part-Time Work" 39 (39): 356-362, 1983

      31 Forssén, A. S.k., "Health Promoting Aspects of a Paid Job: Findings in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With Elderly Women in Sweden" 28 : 909-929, 2007

      32 Ross, Catherine E., "Hardship and Depression" 26 : 312-327, 1985

      33 Bird, Chloe E., "Gender, Time Use, and Health" 32 : 114-129, 1991

      34 Conger, Rand D., "Families in Troubled Times" Aldine de Gruyter 1994

      35 Wagner, E. H.,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a Senior Health Promotion Program" 31 (31): 598-602, 1991

      36 Ross, Catherine E., "Does employment affect health?" 36 (36): 230-243, 1995

      37 Blazer, D. G., "Depression in Lter Lfe: Review and Commentary" 58A (58A): 249-265, 2003

      38 Baillargeon, Jacques.,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survivor effect among male and female Hanford workers" 35 : 343-347, 1999

      39 Li, C-Y., "A review of the healthy worker effect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49 (49): 225-229, 1999

      40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4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4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42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노인일자리 통계동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6 2.02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