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tanus Orientalis by Growth Density Contr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8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버즘나무의 1 ㎡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묘고(tree height)와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높은 처리구는 근원직경과 간장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생육밀도가 묘목의 생 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엽록소함량에서도 생장이 우수한 49본구가 4.3 ㎎/gㆍw.t로 생장이 떨어지는 90본구의 2.9 mg/gㆍw.t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물질생산량은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 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다. 수목은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의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였다. 이는 생육에 필요한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엽록소 특성이나 생장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버즘나무의 1 ㎡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묘고(tree height)와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높은 처리구는 근원직경과 간장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

      버즘나무의 1 ㎡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묘고(tree height)와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높은 처리구는 근원직경과 간장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생육밀도가 묘목의 생 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엽록소함량에서도 생장이 우수한 49본구가 4.3 ㎎/gㆍw.t로 생장이 떨어지는 90본구의 2.9 mg/gㆍw.t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물질생산량은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 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다. 수목은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의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였다. 이는 생육에 필요한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엽록소 특성이나 생장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Unlike the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growth density per 1 ㎡ on Platanus orientalis demonstrated excellent increment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from 49 trees/㎡, the treatment of higher growth density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growth demonstrated decline tendency. This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at a growth density largely affects on seedling growth and 49 trees/㎡ that has excellent growth in chlorophyll contents at 4.3 mg/gㆍwt displayed higher level of contents compare to 90 trees/㎡ at 2.9 ㎎/gㆍwt which decline in growth. Biomass, in the same manner to the growth featur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49 trees/㎡ treatment, showing higher biomass compare to other treated sections at 3.12±0.80 g. The tree showed a physiologically stable pattern of growth while demonstrating ultimately higher biomass through retaining appropriate space under the growth environment condition. We suggested that an obstacle in the appropriate space lower the actual growth and showed decrease tendency i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feature which was the optimum stage of metabolism.
      번역하기

      Unlike the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growth density per 1 ㎡ on Platanus orientalis demonstrated excellent increment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from 49 trees/㎡, the treatment of higher growth density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

      Unlike the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growth density per 1 ㎡ on Platanus orientalis demonstrated excellent increment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from 49 trees/㎡, the treatment of higher growth density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growth demonstrated decline tendency. This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at a growth density largely affects on seedling growth and 49 trees/㎡ that has excellent growth in chlorophyll contents at 4.3 mg/gㆍwt displayed higher level of contents compare to 90 trees/㎡ at 2.9 ㎎/gㆍwt which decline in growth. Biomass, in the same manner to the growth featur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49 trees/㎡ treatment, showing higher biomass compare to other treated sections at 3.12±0.80 g. The tree showed a physiologically stable pattern of growth while demonstrating ultimately higher biomass through retaining appropriate space under the growth environment condition. We suggested that an obstacle in the appropriate space lower the actual growth and showed decrease tendency i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feature which was the optimum stage of metabo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MATERIALS AND METHODS
      • Ⅲ. RESULTS AND DISCUSSION
      • 요약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MATERIALS AND METHODS
      • Ⅲ. RESULTS AND DISCUSSION
      • Ⅳ. CONCLUSION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