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우자의 신경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내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Neuroticism and Marital Well-Be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2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혼인관계에 있어 배우자의 신경증과 관계만족도의 부적 관계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원인이 되는 구체적 심리 기제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배우자의 신...

      혼인관계에 있어 배우자의 신경증과 관계만족도의 부적 관계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원인이 되는 구체적 심리 기제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배우자의 신경증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를 정서억제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기혼자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연구 1, 한국, N=1,179; 연구 2, 한국과 미국, N=2,992). 결과적으로, 인지된 배우자의 신경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정서억제 수준이 상승하며 종국에 낮은 결혼만족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억제의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이는 신경증적 기질의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이 불만족스러운 이유가관계 내 정서억제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억제의 매개효과에 대한 성별, 정서가, 정서 발생 맥락의 조절효과에 대해 탐색하였으나, 오직 성별의 조절효과만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 표본에 제한하여 남성에비해 여성의 정서억제 수준이 배우자의 신경증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배우자의 신경증과 자신의 결혼만족도 간 부적 관계를 강화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a neurotic spouse has been widely known to have deleterious effects on one’s marital well-being, few have examin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causes the effect. Th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

      Although a neurotic spouse has been widely known to have deleterious effects on one’s marital well-being, few have examin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causes the effect. Th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uroticism of one’s spouse and one’s own marital satisfaction. Two online surveys were done on married individuals from two cultures (Study 1, South Korea, N=1,179; Study 2, South Korea & U.S., N=2,992).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neuroticism and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neuroticism of one’s spouse significantly predicted one’s emotion suppression which, in turn, led to lowered marital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in marriage with a spouse of neurotic personality may be attributed to strong emotional inhibition in the relationship. Moreover,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emotional valence, and emotion generation context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yet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only among Korean participants, emotional suppression more strongly predicted spouse’s neuroticism in women (vs. men), thereby intensify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use’s neuroticism and one’s own marital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모형 Ⅲ. 연구 1 Ⅳ. 연구 2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모형 Ⅲ. 연구 1 Ⅳ. 연구 2 Ⅴ. 결론 및 논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