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형도가 희망을 말하는 방법 = Gihyeongdo's Way to Say Ho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4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ihyeongdo, one of the most despairing poets, persistently pursued hope. To him, the hope was not the antonym of despair. The reason that he utterly despaired was because he never forgot hope, and he awoke the existence of hope through the most serious despair.
      This paper gives attention to ‘window’ ‘office’ and ‘street’ as the most important scenes and poetic motifs in Gihyeongdo's works. In his poems, ‘street’ and ‘office’ are very special spaces which he gives his own symbolic meaning by highlighting the contrasting aspects of them. The desire on the street and the order in the office become the most powerful images when contrasted with each other. The office and the street,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penetrated through the window,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poetic motif in terms of evoking his unique poetic desire and imagination. This paper observes Gihyeongdo's poetic desire and practice concentrating on ‘window’ ‘office’ and ‘street’, which are the core poetic spaces in his poems. As a result, this paper figures out Gihyeongdo's distinctive aesthetic quality of ‘hope’ that he earnestly quested in hi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claims that the scars of despair and failure in his poems are not the denial of the existence of hope but, paradoxically enough, his poetic motive to consistently seek hope.
      번역하기

      Gihyeongdo, one of the most despairing poets, persistently pursued hope. To him, the hope was not the antonym of despair. The reason that he utterly despaired was because he never forgot hope, and he awoke the existence of hope through the most seriou...

      Gihyeongdo, one of the most despairing poets, persistently pursued hope. To him, the hope was not the antonym of despair. The reason that he utterly despaired was because he never forgot hope, and he awoke the existence of hope through the most serious despair.
      This paper gives attention to ‘window’ ‘office’ and ‘street’ as the most important scenes and poetic motifs in Gihyeongdo's works. In his poems, ‘street’ and ‘office’ are very special spaces which he gives his own symbolic meaning by highlighting the contrasting aspects of them. The desire on the street and the order in the office become the most powerful images when contrasted with each other. The office and the street,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penetrated through the window,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poetic motif in terms of evoking his unique poetic desire and imagination. This paper observes Gihyeongdo's poetic desire and practice concentrating on ‘window’ ‘office’ and ‘street’, which are the core poetic spaces in his poems. As a result, this paper figures out Gihyeongdo's distinctive aesthetic quality of ‘hope’ that he earnestly quested in hi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claims that the scars of despair and failure in his poems are not the denial of the existence of hope but, paradoxically enough, his poetic motive to consistently seek h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기형도 시의 핵심적인 공간이자 모티프로 ‘사무실’과 ‘거리(길)’에 주목하여 기형도의 시적 욕망들과 실천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무실’이라는 공간에서는 특히 ‘유리창’의 존재와 기능을 유의미하게 살폈다. 이를 통해 기형도가 문학적으로 찾아 헤맸던 ‘희망’이 어떻게 기억되고 시작되고 지속되는지 탐색할 수 있었다. 기형도 시에서 ‘길’과 ‘사무실’은 대조적인 면모를 드러내면서 특유의 상징성을 획득하게 된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길의 욕망’과 ‘사무실의 일상성’은 서로 대비될 때 더욱 강렬한 이미지를 얻는다.
      사무실이 환기하는 반복적인 일상성, 그 익숙함이 문득, 한 존재에게 참을 수 없는 끔찍한 동일성의 지옥으로 드러나는 순간, 그 존재는 발작적인 울음을 터뜨리거나 내적 붕괴를 경험하게 된다. 그 절망의 몸짓으로 희망을 기억하고 그리워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무실의 바깥, 다시 말해 일상의 바깥에는 ‘길 위를 떠도는 존재’들이 있다. 이들은 “어디론가 가기 위해 걷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내적 욕망과 희망을 쫒아 오류를 거듭하면서 지칠 때까지 어디로든 계속해서 가고 있는 존재들이다. 기형도 시에서 이들은 일상의 진부한 행복과 결별하고 불안한 방랑의 발걸음을 지속하면서 ‘지칠 때까지 희망을 꿈꾸며’ 미학적인 삶을 살아내는 비극적 형상들이었다.
      기형도의 희망은 도저한 부정성을 통하여 기억되고 지속된다. 그는 희망을 망각하지 않았기에 가장 깊이 절망할 수 있었고, 또한 가장 심각하게 절망함으로써 희망의 존재를 희미하게 환기시킬 수 있었다. 기형도 시에 남겨진 좌절과 실패의 흔적들은 희망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희망을 계속하게 하는 시적 계기들이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기형도 시의 핵심적인 공간이자 모티프로 ‘사무실’과 ‘거리(길)’에 주목하여 기형도의 시적 욕망들과 실천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무실’이라는 공간에서는 특히 ‘...

      이 글에서는 기형도 시의 핵심적인 공간이자 모티프로 ‘사무실’과 ‘거리(길)’에 주목하여 기형도의 시적 욕망들과 실천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무실’이라는 공간에서는 특히 ‘유리창’의 존재와 기능을 유의미하게 살폈다. 이를 통해 기형도가 문학적으로 찾아 헤맸던 ‘희망’이 어떻게 기억되고 시작되고 지속되는지 탐색할 수 있었다. 기형도 시에서 ‘길’과 ‘사무실’은 대조적인 면모를 드러내면서 특유의 상징성을 획득하게 된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길의 욕망’과 ‘사무실의 일상성’은 서로 대비될 때 더욱 강렬한 이미지를 얻는다.
      사무실이 환기하는 반복적인 일상성, 그 익숙함이 문득, 한 존재에게 참을 수 없는 끔찍한 동일성의 지옥으로 드러나는 순간, 그 존재는 발작적인 울음을 터뜨리거나 내적 붕괴를 경험하게 된다. 그 절망의 몸짓으로 희망을 기억하고 그리워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무실의 바깥, 다시 말해 일상의 바깥에는 ‘길 위를 떠도는 존재’들이 있다. 이들은 “어디론가 가기 위해 걷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내적 욕망과 희망을 쫒아 오류를 거듭하면서 지칠 때까지 어디로든 계속해서 가고 있는 존재들이다. 기형도 시에서 이들은 일상의 진부한 행복과 결별하고 불안한 방랑의 발걸음을 지속하면서 ‘지칠 때까지 희망을 꿈꾸며’ 미학적인 삶을 살아내는 비극적 형상들이었다.
      기형도의 희망은 도저한 부정성을 통하여 기억되고 지속된다. 그는 희망을 망각하지 않았기에 가장 깊이 절망할 수 있었고, 또한 가장 심각하게 절망함으로써 희망의 존재를 희미하게 환기시킬 수 있었다. 기형도 시에 남겨진 좌절과 실패의 흔적들은 희망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희망을 계속하게 하는 시적 계기들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호, "환멸의 신화" 민음사 93-112, 1995

      2 슬라보예 지젝, "진짜 눈물의 공포" 울력 1-360, 2004

      3 박해현, "정거장에서의 추억" 문학과지성사 1-488, 2009

      4 기형도, "입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159, 1989

      5 수전 손택, "우울한 열정" 시울 1-262, 2005

      6 T. W. 아도르노, "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405, 1984

      7 모리스 블랑쇼, "미래의 책" 세계사 1-410, 1993

      8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1-503, 2009

      9 조효원, "단 한 줄을 꿈꾸어야 한다 -행복의 시인 기형도에게, 그리고 발레리 김현에게" 낯선청춘 (가을) : 311-331, 2009

      10 테리 이글턴, "낙관하지 않는 희망" 우물이있는집 1-288, 2016

      1 이광호, "환멸의 신화" 민음사 93-112, 1995

      2 슬라보예 지젝, "진짜 눈물의 공포" 울력 1-360, 2004

      3 박해현, "정거장에서의 추억" 문학과지성사 1-488, 2009

      4 기형도, "입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1-159, 1989

      5 수전 손택, "우울한 열정" 시울 1-262, 2005

      6 T. W. 아도르노, "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405, 1984

      7 모리스 블랑쇼, "미래의 책" 세계사 1-410, 1993

      8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1-503, 2009

      9 조효원, "단 한 줄을 꿈꾸어야 한다 -행복의 시인 기형도에게, 그리고 발레리 김현에게" 낯선청춘 (가을) : 311-331, 2009

      10 테리 이글턴, "낙관하지 않는 희망" 우물이있는집 1-288, 2016

      11 기형도, "기형도 전집" 문학과지성사 1-355, 1999

      12 발터 벤야민, "괴테의 친화력" 길 1-280, 2012

      13 금은돌, "거울 밖으로 나온 기형도" 국학자료원 1-298, 2013

      14 문광훈, "가면들의 병기창 -발터 벤야민의 문제의식" 한길사 1-110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