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 = Osteochondritis Dissencans of the Tal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103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은 연골과 연골하골이 균열되고 관절 면으로부터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분리되는 병변으로 흔치 않은 병변이다.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은 연골과 연골하골이 균열되고 관절 면으로부터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분리되는 병변으로 흔치 않은 병변이다.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에 대한 지식은 적은 편이다.
      저자들은 1998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만 5년간 16명, 16례의 거골 박리성 골연 골염 환자를 평균 29개월 추시관찰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분포는 최소 15세에서 최장 58세 였으며 평균 30세 였다.
      2) 16명의 환자중 남자가 14례 여자가 2례였고 우측 거골이 10례, 좌측 거골이 6례 였다.
      3) 외상과 관계있는 환자는 16례중 15례였으며 거골의 내측에 병변이 있는 경우가 10례, 외측이 6례 였으며 양측인 경우는 없었다.
      4) 증상 발현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최단 3개월에서 최장 7년이 였으며 평균 25.9개월 이었다. 16명 전례에서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6명에서 강직 및 불안정성을 각각 호소하였다.
      5) Berndt와 Harty에 의한 병변 분류는 stage Ⅰ은 없었으며 stage Ⅱ는 4례, stage Ⅲ가 7례, stage Ⅳ는 5례로 stage Ⅲ이 가장 많았다.
      6) 치료는 관절 개방술에 의한 절제술(1례), 절제술과 소파술 및 다발성 천공술(8례), 절제술 및 소파술 (3례), 소파술 및 bone peg(1례), 관절경적 소파술 및 다발성 천공술 (3례) 시행하였으며 치료결과는 O'Farrell 등이 사용한 평가 방법에 의하면 우수 13례 (81%), 양호 2례(12.5%), 불량 1례 (6.5%)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is defined as a subchondral bony lesion of small fragment of bone, usually under two centimetres in diameter, with overlying intact articular cartilage. This fragment then becomes separated from its bed and under...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is defined as a subchondral bony lesion of small fragment of bone, usually under two centimetres in diameter, with overlying intact articular cartilage. This fragment then becomes separated from its bed and undergoes necrosis.
      Although the lesion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is well known, there is little information in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Sixteen cases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operated on between January 1988 and December 1992, were studied.
      All were available for follow-up an average 29 months later and clin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1. Age incidence was distributed from 15 years to 58 years (average 28)
      2. 16 patients (14 male, 2 female) were examined and followed-up ; in ten the right ankle was involved and six the left ankle.
      3. Of the 16 patients, 14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trauma and 10 patients had medial lesions and 6 patients, lateral lesions.
      4. The duration of symptom on these cases ranged from 3 months to 7 years, with an average of 25.9 months. All patients complain of pain when using the ankle and 6 patients complain of stiffness of the ankle and sensation of Berndt and Harty, four ankles had a stage Ⅱ lesion, nine had a stage Ⅲ lesion and five had a stage Ⅳ lesion.
      6. The methods of treatment were excision (1 case), excision, curettage and drilling (8 cases), excision and curettage (3 cases), curettage with bone pegging (1 case) and arthroscopic curettage and drilling (3 cases). According to O'Farrell grading system which combined subjective with the objective assessment, 13 patients (81%) had good results, 2 patients (12.5%) had fair results, and 1 patient (6.5%) had a poor resul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