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草溪鄕案을 기초로 한 초계지역 유력가문의 연구 = A study on the Yangban of Chogye region, focus on the Chogye hyang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8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시대 각 고을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력 사족들의 명단이라고 할 수 있는 鄕案이 작성되고 있었다. 여기에 입록된 인물들은 鄕會를 열어 공론을 형성하고 留鄕所의 임...

      선시대 각 고을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력 사족들의 명단이라고 할 수 있는 鄕案이 작성되고 있었다. 여기에 입록된 인물들은 鄕會를 열어 공론을 형성하고 留鄕所의 임원들을 선출하여 이들을 통해 수령의 지방통치에 자문하고 향리와 주민들을 통제해 나갈 수 있었다. 향안은 일종의 鄕紳錄으로 鄕錄儒案·鄕座目·鄕目·鄕籍·靑襟錄이라고도 하였는데, 대개 世族·顯族·右族 등의 재지사족들만이 입록되었다. 향촌의 양반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향안의 작성과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향안을 다룬 연구는 향안의 사회사적 측면과 지역사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향안에 대한 최초의 논문으로는 田川孝三의 「鄕案에 대하여」가 존재하는데, 이 논문은 향안의 최초 작성시기, 입록문제, 유향소와의 관계, 향임의 선출, 서얼허통 후의 문제 등에 걸쳐 광범위하게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 김용덕은 향안이 조선시대 지방의 세족이 입록된 명부로서, 조선초기 지방자치 기구로 존재했던 유향소와 경재소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였고, 김인걸은 조선사회의 변동관계를 설명하면서 향안과 수령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정희는 향안의 체제와 특성, 입록관계 및 이로 인한 폐단관계를 중심으로 재지사족의 향안 입록 자격 및 절차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이후 향촌에 대한 영향력 행사와 유지, 그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지역사적 측면에서는 각 지역의 향안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들이 대다수이다. 향안의 성격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들로서, 그 지역의 재지사족의 형성과 유지, 지역적 특색과 사회발전과정을 엿볼 수 있다.
      『尙山鄕彦錄』을 바탕으로 상주향안의 구조와 입록현황, 상주 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시기별 변화 등을 살펴본 연구, 영남학파의 성립과 발전을 상주지역의 재지사족과 연관하여 분석한 연구, 양안을 통해 재지사족의 경제적 기반을 분석한 연구, 임란시 의병활동과 관련하여 재지사족의 동향을 파악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상주 지역 외에도 경주·제주·회덕·안동·고령· 순천 등 여러 지역에서 향안이 분석되어 많은 성과들을 이루었다.
      경남 서부지역에서도 단성·함안·의령·진주의 향안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 함양·삼가·하동·초계에 대한 향안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경남 서부 지역 고을의 하나였던 초계군의 향안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초계향안의 분석을 통해 입안자의 출신성분·가문·관직 등을 살펴보고, 초계지역의 유력 성씨와 가문을 바탕으로 재지사족으로서의 영향력과 권력을 파악해 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looked over the times of the making of the hyangans(鄕案) and the family spread of entrants into them in Chogye(草溪), in the late Chosun dynasty. Entering hyangans had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end of...

      The paper looked over the times of the making of the hyangans(鄕案) and the family spread of entrants into them in Chogye(草溪), in the late Chosun dynasty. Entering hyangans had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the hyangan, 21 families made an appearance. However, the big change did not show up as for each period.
      Originally, there were the native families of Jung·Joo·Byun in Chogye, but Joo disappeared, while from the end of Koryo dynasty to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other families immigrated into Chogye. The one's family entered in Chogye Hyangan is 21 families including Kang·kong·Kwon·Kim·Nahm·Noh·Doh·Moon·Park·Bai·Sung·Anh·Yoo·Yoon·Lee·Chang·Jun·Jung·Cho·Hong, and etc. These families had produced a number of hyangans, these families were Noh(Gwangju)·Anh(Tamjin)·Jun(Wansan)·Lee(Hapcheon)·Yoo(Munhwa)·Cho(Changneyong)·kang(Jinju)·Kim(Eonyang and Sunsan)· Jung(Chogye and Dongrae). Noh(Gwangju)·Anh(Tamjin)·Jun(Wansan)·Lee(Hapcheon)·Yoo(Munhwa)·Cho(Changneyong)·kang(Jinju)of the families had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first Buroan(父老案) to the last Gyemian(癸未案).
      The members of these families kept their authorities as the Sajok(士族) families by becoming the public servant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passing the minor civil examination(生進科) in Chogye. They also strengthened their standings by raising the loyal armies in imjinweran(1592 War).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dominant positions by keeping the matrimonial relations overlaped each other and these families associated with the famous figure including the Josik(Nammyeong), Lee Huian(Hwanggang), Jun Chiweon (Takgye), Lee Daegi(Seolhak), and they looked up to them as their teac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초계향안 자료의 소개 4
      • 1. 초계군의 내력 4
      • 2. 초계향안의 구성 7
      • Ⅲ. 초계향안의 입록자 분석 11
      • Ⅰ. 서론 1
      • Ⅱ. 초계향안 자료의 소개 4
      • 1. 초계군의 내력 4
      • 2. 초계향안의 구성 7
      • Ⅲ. 초계향안의 입록자 분석 11
      • 1. 초계향안의 입록 현황 11
      • 2. 초계향안의 성씨별 입록 현황 13
      • Ⅳ. 주요 성씨의 초계 이주와 초계향안 등재 인물 18
      • Ⅴ. 향안입록 주요 가문 인물의 행적 34
      • 1. 의병활동 34
      • 2. 과거급제 및 사우관계 38
      • 3. 혼인관계 46
      • Ⅵ. 결론 52
      • 부록 54
      • 참고문헌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