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 관련 체력요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umanet Exercise Program on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0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in elderly people. Method: The study period was May 2-June 24, 2016.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elderly...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in elderly people.
      Method: The study period was May 2-June 24, 2016.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elderly persons (control group 10, experimental group 10) who registered at the day-care Center in G. Cit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hi-square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two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homogeneity.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and post-intervention cognitive function and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and a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ate of cognitive function and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changes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 The participants`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balance, gait, leg strength) increased and memory in the cognitive function sub-area improved in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The amount of change in ga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included gait training using the learn, remember and repeat phased step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using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elderly`s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fac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미, "후마네트 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보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 "후마네트"

      3 양지, "하지근력강화중심 낙상예방운동이 노인의 신체기능 및 근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904-1919, 2015

      4 채경주,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4 (4): 27-34, 2010

      5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최근 노인 손상의 발생기전별 특성" 질병관리본부 2012

      6 도현경, "초고령 노인의 신체기능장애와 재활 전략" 대한노인병학회 19 (19): 61-70, 2015

      7 "청미디어"

      8 송민옥, "인지운동치료에 관한 문헌고찰" 7 (7): 57-68, 2010

      9 이삼철, "여성노인의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신체조성, 기능성 체력, 그리고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4 (4): 67-76, 2016

      10 김윤지,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방문 및 전화 코칭이 허약노인의 체력,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10 : 234-, 2010

      1 이선미, "후마네트 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보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 "후마네트"

      3 양지, "하지근력강화중심 낙상예방운동이 노인의 신체기능 및 근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904-1919, 2015

      4 채경주,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4 (4): 27-34, 2010

      5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최근 노인 손상의 발생기전별 특성" 질병관리본부 2012

      6 도현경, "초고령 노인의 신체기능장애와 재활 전략" 대한노인병학회 19 (19): 61-70, 2015

      7 "청미디어"

      8 송민옥, "인지운동치료에 관한 문헌고찰" 7 (7): 57-68, 2010

      9 이삼철, "여성노인의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신체조성, 기능성 체력, 그리고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4 (4): 67-76, 2016

      10 김윤지,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방문 및 전화 코칭이 허약노인의 체력,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10 : 234-, 2010

      11 정복희, "복합재활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저하와 치매환자의 인지와 손기능에 미치는 연구" 대한통합의학회 4 (4): 49-59, 2016

      12 김희, "뇌졸중 성인의 낙상 감소를 위한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26-435, 2015

      13 이정화, "농촌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신체적 건강과 의료시설 이용" 한국가족관계학회 11 (11): 175-197, 2006

      14 유양경, "노인의 낙상 실태 및 낙상경험에 따른 신체기능의 차이" 노인간호학회 12 (12): 40-50, 2010

      15 권영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 제1편 : MMSE-K의 개발 – PartⅠ" 28 (28): 125-135, 1989

      16 김설향,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문헌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 (53) : 711-721, 2013

      17 손남정, "넘어짐 예방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자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7 (37): 237-250, 2017

      18 유명숙,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9 손보영, "낙상예방운동에 따른 신체기능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음악을 병행한 오타고 운동프로그램 적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113-125, 2016

      20 조성일, "낙상예방운동 프로그램이 후기고령자의 근력, 균형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21 유연주, "낙상공포와 인지적 과제 수행이 고령자의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63-72, 2014

      22 조재진, "Wii-Fit Plus를 이용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65세 이상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357-1368, 2016

      23 Verghese J, "Validity of divided attention tasks in predicting falls in older individuals : a preliminary study" 50 (50): 572-1576, 2002

      24 Podsiadlo D, "The timed"up & 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39 (39): 142-148, 1991

      25 Miller CA, "The connection between drugs and falls in elders" 23 (23): 109-110, 2002

      26 Csukal M, "Simple method for measuremen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78 (78): 77-81, 1985

      27 Aggarwal NT, "Motor dys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63 (63): 1763-1769, 2006

      28 Katz 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battery for brain-injured patients : reliability and validity" 43 (43): 184-192, 1989

      29 Schroter A, "Kinematic analysis of handwriting movement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nd healthy subjects" 15 (15): 132-142, 2003

      30 Haver D, "Health promotion and aging: practitional appli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2010

      31 Montero-Odasso M, "Gait and cognition : a complement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brain function and the risk of falling" 60 (60): 2127-2136, 2012

      32 Rubenstein LZ,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 what does the evidence show?" 90 (90): 807-824, 2006

      33 Jensen J, "Fall and injury prevention in residential care-effects in resident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cognition" 51 (51): 627-635, 2003

      34 Kovacs E, "Effects of a multimodal exercise program on balance, functional mobility and fall risk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 study" 49 (49): 639-648, 2013

      35 Kltazawa K, "Effect of a dual-task net-step exercise on cognitive and gait function in older adults" 38 (38): 133-140, 2015

      36 Katz N, "Construct validity of a geriatric version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Battery" 13 (13): 31-46, 1995

      37 Mathias S, "Balance in elderly patients : the"get-up and go"test" 67 (67): 387-389, 1986

      38 이경진, "BIORescue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과제균형훈련이 노인의 정적균형, 동적균형,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11-229, 2012

      39 Lauretani F, "Age-associated changes in skeletal muscles and their effect on mobility : an operational diagnosis of sarcopenia" 95 (95): 1851-1860, 2003

      40 Smith PJ, "Aerobic exercise and neurocognitive performance : a meta-analy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72 (72): 239-252, 2010

      41 Yaffe K, "A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decline in elderly women : women who walk" 161 (161): 1703-1708, 2001

      42 Holley S, "A look at the problem of falls among people with cancer" 6 (6): 193-197, 2002

      43 Rossiter-Fornoff JE, "A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of the FICSIT common data base static balance measures. Frailty and injuries : cooperative studies of intervention techniques" 50 (50): 291-297, 1995

      44 Folstein MF,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12 (12): 189-198,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