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개토왕의 遼西 공략과 後燕 관계 = King Gwanggaeto’s Conquest of the Liaoxi(遼西) Reg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高句麗) and Later Yan(後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4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uryo had occupied gradually the Liaodong(遼東) region of China over a long period time from King Michyun(美川王) to King Gwanggaeto period. King Gwanggaeto(廣開土王) in 402 seized the Sookun(宿軍) fortress at the Liaoxi region in Later Y...

      Goguryo had occupied gradually the Liaodong(遼東) region of China over a long period time from King Michyun(美川王) to King Gwanggaeto period. King Gwanggaeto(廣開土王) in 402 seized the Sookun(宿軍) fortress at the Liaoxi region in Later Yan. This means Goruryo completely conquered Pingquo(平郭), the counties and prefectures of Later Yan that still remained in the Liaodong(遼東).
      Liaodong and Xuantu Commandery(玄菟郡) which Later Yan recovered to have been deprived Goguryo of in 385 made a difference to the actual facts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is, and Xiangping and Pingquo of Liaodong Commandery was divided up between Goguryo and Later Yan. So Later Yan moved the provincial capital of Pingzhoucishi(平州刺史: provincial governor) to Pingquo. The place was a strategic foothold. Meanwhile, there was no record to appoint provincial governors of Xuantu Commandery under the rule of Later Yan. Maybe I think Goguryo occupied it in 385 or before long.
      Goguryo pressed near its capital having continued to attack Later Yan 402 year after. In contrast, Later Yan demoralized their troops because several Goguryo expedition were attempted but in the end, they were failures. Moreover Murong Xi(慕容熙), the king of Later Yan made series of maladministration cases, Feng Ba(馮跋) staged a coup. But he crowned Gao Yun(高雲) as king because he was Goguryo royal family. On the on hand, I think this reflected the influence of Goguryo in Later Yan at that time. Since then, bilater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to be Northern yan(北燕) under Goguryo by the Royal li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호규,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06

      2 임기환, "광개토왕비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3 林起煥,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民’의 성격" (2,) : 1996

      4 임기환, "고구려의 요동 진출과 영역" 고구려발해학회 45 : 77-110, 2013

      5 田中俊明, "高句麗의 北方進出과 『廣開土王碑文』 -北方領域形成史에 있어서 廣開土王時代-」" (2) : 1996

      6 강선, "高句麗와 五胡十六國의 關係" 고구려발해학회 14 : 2002

      7 篠原啓方, "高句麗的 天의 構造" (117) : 2004

      8 武田幸南,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1989

      9 강재광, "高句麗 廣開土王의 遼東確保에 관한 新考察- 廣開土王碑 ‘丁未年條’의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 : 5-52, 2009

      10 박세이,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백산학회 (86) : 119-149, 2010

      1 여호규,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06

      2 임기환, "광개토왕비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3 林起煥,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民’의 성격" (2,) : 1996

      4 임기환, "고구려의 요동 진출과 영역" 고구려발해학회 45 : 77-110, 2013

      5 田中俊明, "高句麗의 北方進出과 『廣開土王碑文』 -北方領域形成史에 있어서 廣開土王時代-」" (2) : 1996

      6 강선, "高句麗와 五胡十六國의 關係" 고구려발해학회 14 : 2002

      7 篠原啓方, "高句麗的 天의 構造" (117) : 2004

      8 武田幸南,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1989

      9 강재광, "高句麗 廣開土王의 遼東確保에 관한 新考察- 廣開土王碑 ‘丁未年條’의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 : 5-52, 2009

      10 박세이,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백산학회 (86) : 119-149, 2010

      11 盧泰敦,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2 箭內亙, "滿洲歷史地理 1" 丸善株式會社 1913

      13 孫進己, "東北歷史地理 2"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14 공석구, "廣開土王의 遼西地方 進出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67) : 125-158, 2012

      15 井上直樹, "廣開土王의 對外關係와 永樂 5年의 對稗麗戰" 한국고대사학회 (67) : 201-245, 2012

      16 文祥種, "廣開土王陵碑 永樂 17年條 기사에 대한 검토" 4⋅5 : 2001

      17 徐榮洙, "廣開土大王陵碑文」의 정복기사 재검토" (119) : 1988

      18 王建群, "好太王碑硏究" 吉林人民出版社 1984

      19 李龍範, "大陸關係史 古代篇(上)" (18) : 1975

      20 池培善, "北燕에 대하여(Ⅰ) -高句麗王族 後裔 高雲과 그 在位時를 중심으로-" 54⋅55⋅56 : 1987

      21 地培善, "中世東北亞史硏究-慕容王國史-" 一潮閣 1986

      22 "『北史』, 『三國史記』, 『宋書』, 『十六國疆域志』, 『十六國春秋輯補』, 『梁書』, 『魏書』, 『資治通鑑』, 『周書』, 『晉書』, 『册府元龜』"

      23 여호규,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對中認識)과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55) : 25-60, 2005

      24 이성제, "4世紀 末 高句麗와 後燕의 關係- 396년 後燕의 廣開土王 冊封 問題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35-66, 2012

      25 여호규,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 (91) :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4 1.55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