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ath Attitud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on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36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중재 방안 마련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I 광역시 요양병원 간호사로서 경력 1년 이상, 최근 6개월이내 임종간호를 1회 이상 수행한 간호사를 편의 표출한 127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Thorson & Powell(1988)의 Death Orientation 측정 도구를 박춘성(1991)이 번안하고 전재수(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이은자 호스피스 인식 도구를 김명숙 등(2007)이 수정 보안한 도구로 사용하였고 이연옥(2004)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한 설문지를 통한 자기보고식 서술적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죽음에 대한 태도는 4점 중 평균 2.36점 이었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4점 중 평균 3.25점 이었으며 대상자의 호스피스 필요성에 따라(t=-4.72, p=.000) 차이가 있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5점 중 평균 3.83점 이었으며 호스피스 필요 (t=2.62,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 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r=.33,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호스피스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r=.34,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다중 회귀분석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죽음에 대한 태도(β=.27, p=.000),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β=.25, p=.003)이었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16.332,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 Square, Adj R2)는 0.284로 설명력은 28.4%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임종간호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부정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점수가 높을 경우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죽음의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유의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사가 임종간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요양병원 간호사 대상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인문학 강좌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을 고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us, this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geriatric nurse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terminal care stress interventions.
      This study is based on a descriptive research and study of 127 geriatric nurses who were exposed to terminal care more than once.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July 1st 2020 to August 31st 2020. This study use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method. This questionnaire was intended to provide measurement of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rough a format adjusted, revised and further developed from existing literature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egative attitude toward death was 2.36 out of 4 points. Differences do not exi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2) The averag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was 3.25 out of 4 point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need of hospice care(t=-4.72, p=.000).
      3) Terminal care stress was 3.83 points out of 5,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need of hospice care(t=2.62, p=.010).
      4) Death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stress(r=.33, p=.000).
      5) Terminal care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r=.31, p=.000), and the need of hospice care(r=-.23, p=.010).
      6)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erminal care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Adj.R2) was 28.4%. Attitude of death((β=.27, p=.000),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β=.25, p=.003)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erminal car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ress experienced by geriatric nurses in terminal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ath attitud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addition, negative attitude about death and high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increased the degree of terminal care stress. Thus,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hospice⋅palliative care for dying patient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tinuously manage th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for geriatric nurses as well as the management program for terminal care stress. I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nurses’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hence further researches in this regard would b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5
      • 1.3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8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 목적 5
      • 1.3 용어의 정의 6
      • Ⅱ. 문헌고찰 8
      • 2.1 죽음에 대한 태도 8
      • 2.2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12
      • 2.3 임종간호스트레스 15
      • Ⅲ.연구방법 18
      • 4.1 연구설계 18
      • 4.2 연구대상 18
      • 4.3 연구도구 18
      • 4.4 자료 수집 방법 20
      • 4.5 자료 분석 방법 21
      • 4.6 윤리적 고려 22
      • Ⅳ. 연구결과 23
      • 5.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 5.2 대상자의 임종관련특성 25
      • 5.3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27
      • 5.4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28
      • 5.5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30
      • 5.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종관련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의차이 33
      • 5.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호스피스 필요성,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35
      • 5.8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36
      • Ⅴ. 논의 38
      • Ⅵ. 결론 및 제언 47
      • 참고문헌 49
      • 부록 61
      • 국문초록 75
      • Abstract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