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adipocytokines in obese men of 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3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만균, 성순창, 이신언, 정원상.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05-41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저항성...

      이만균, 성순창, 이신언, 정원상.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05-41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체지방률 25% 이상의 남성 28명으로서, 이들을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n=14)과 통제 집단(n=14)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대상자는 12주간, 주당 3~4회, 회당 40~60분씩, 8 RM의 강도로 2~3 세트씩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한 반면, 통제 집단의 대상자는 같은 기간 동안 평소 생활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MI와 체지방률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2) 1-RM과 관련된 모든 변인은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RMR은 단위와 상관없이 모든 변인이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통제 집단의 경우 RMR(KJ·kg-1 FW·h-1)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4) TT4와 norepinephrine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의 경우 norepinephrine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5) Adiponectin과 IL-6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adiponectin과 IL-6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은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체중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저항성운동이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TT4, FFA, 그리고 norepinephrine 이외의 변인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저항성운동이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M. G., Sung, S. C., Lee, S. E., Jung, W. S.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adipocytokines in obese men of 20s. Exercise Science, 20(4): 405-416. 2011. Twenty-eight obese men, aged 23.7±1....

      Lee, M. G., Sung, S. C., Lee, S. E., Jung, W. S.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adipocytokines in obese men of 20s. Exercise Science, 20(4): 405-416. 2011. Twenty-eight obese men, aged 23.7±1.18 y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4) and control group (CON: n=14). Participants in TR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40~60 min/session, 3~4 sessions/week, for 12 weeks, whereas participan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during same intervention period. Resistance exercise included bench press, shoulder press, biceps curl, triceps extension, lat pull down, leg press, leg curl, leg extension, sit up, standing calf raise, and squat, and performed at 8 RM for 2~3 se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05). 2) All variables regarding 1-RM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3) RM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regardless of unit expressing the RMR. 4)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T4 and FFA, whereas NOR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01) and CON (p<.01). 5) Adiponectin and IL-6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1),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TNF-α. Leptin was unaltered in TR,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beneficial for long-term body weight management by enhancing metabolic rate in resting state. Research investigating the mechanism explaining the enhancement, besides to TT4, FFA, and NOR, would be needed. Investigation elucidating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adipocytokines would be also warra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민화, "저항운동이 폐경 전·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골밀도 및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 (20): 693-703, 2009

      2 강대관, "저항성운동 처방이 고도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과 복부지방 및 대사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613-622, 2004

      3 홍승우, "저항성 트레이닝 시퀀스 방법이 체지방, 최대근력, 안정시 대사량 및 갑상선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6 (16): 1-11, 2005

      4 윤혜연, "장기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이 체지방 개선과 기초대사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9 (9): 105-110, 2005

      5 김석주, "인체형태학적 변인, 신체구성, 최대근력 및 혈청지질과 지단백 수준에 대한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의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1273-1288, 2003

      6 허만동,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남자대학생의 폐기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617-630, 2008

      7 김태연, "실시방법에 따른 weight training이 남자고교생의 1-RM․신체조성․젖산탈수소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11-520, 2009

      8 전혜린,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과체중 남자대학생의 혈중 ghrelin 및 peptide-YY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045-1052, 2009

      9 김태운,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자청소년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9 (9): 281-289, 2005

      10 신윤아, "비만여성들의 C-Reactive Protein과염증반응지표에 미치는 유산소훈련의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0 (30): 571-581, 2007

      1 석민화, "저항운동이 폐경 전·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골밀도 및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 (20): 693-703, 2009

      2 강대관, "저항성운동 처방이 고도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과 복부지방 및 대사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613-622, 2004

      3 홍승우, "저항성 트레이닝 시퀀스 방법이 체지방, 최대근력, 안정시 대사량 및 갑상선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6 (16): 1-11, 2005

      4 윤혜연, "장기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이 체지방 개선과 기초대사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9 (9): 105-110, 2005

      5 김석주, "인체형태학적 변인, 신체구성, 최대근력 및 혈청지질과 지단백 수준에 대한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의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1273-1288, 2003

      6 허만동,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남자대학생의 폐기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617-630, 2008

      7 김태연, "실시방법에 따른 weight training이 남자고교생의 1-RM․신체조성․젖산탈수소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11-520, 2009

      8 전혜린,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과체중 남자대학생의 혈중 ghrelin 및 peptide-YY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045-1052, 2009

      9 김태운,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자청소년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9 (9): 281-289, 2005

      10 신윤아, "비만여성들의 C-Reactive Protein과염증반응지표에 미치는 유산소훈련의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0 (30): 571-581, 2007

      11 임강일, "비만과 당뇨비만 여성들의 아디포사이토카인, 인슐린 저항성 및인슐린 분비능에 대한 복합운동 트레이닝의 효과" 한국운동생리학회 15 (15): 229-240, 2006

      12 박기덕, "비만고령여성의 12주간 근저항트레이닝시 운동강도별에 따른 체조성과 최대근력의 변화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567-576, 2009

      13 김시영, "복합트레이닝 시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의 순서 차이가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421-432, 2009

      14 김유섭, "복합운동과 물리치료 수중운동 요법 병행이중년 비만여성의 내장지방 및 아디포넥틴과 레지스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417-428, 2005

      15 Poehlman,E.T, "exercise and its influence on resting energy metabolism in man" 21 (21): 515-525, 1989

      16 Morio, B., "Time-cours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fat oxidation in sedentary elderly people" 23 (23): 706-714, 1999

      17 Sjödin, A. M.,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n BMR" 28 (28): 85-91, 1996

      18 Parately, R., "Strrength training increases resting metabolism and norepinephrine level in healthy 50-t0 65-yr-old men" 76 (76): 133-137, 1994

      19 Brzycki,M, "Strength testing-Predicting a one-rep max from a reps-to-fatigue" 64 (64): 88-90, 1993

      20 Toth, M. J., "Resting metabolic rat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resistance- and aerobic-trained middle-aged women" 19 (19): 691-698, 1995

      21 Lee, M. G., "Resting Metabolic Rate after Endurance Exercise Training"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41 (41): 1444-1451, 2009

      22 Braith, R. W.,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ts role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113 (113): 2642-2650, 2006

      23 Greiwe, J. S., "Resistance exercise decreases skeletal muscl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frail elderly humans" 15 (15): 475-482, 2001

      24 Bruun, J. M., "Regulation of adiponectin by adipose tissue-derived cytokines: in vivo and in vitro investigations in humans" 285 (285): E527-533, 2003

      25 Hill, J. O.,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requirements" 62 (62): 1059-1066, 1995

      26 Earle, R. E., "NSCA`s Essentials of Personal Training" Human Kinetics 2004

      27 Astrup, A., "Low resting metabolic rate in subjects predisposed to obesity: a role for thyroid status" 63 (63): 879-883, 1996

      28 Fatouros, I. G., "Leptin and adiponectin responses in overweight inactive elderly following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are intensity related" 90 (90): 5970-5977, 2005

      29 Toru, K.,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levels increase in response to maximal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87 (87): 83-90, 2002

      30 Fatouros, I. G., "Intensity of resistance exercise determines adipocytokine and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sponses in overweight elderly individuals" 32 (32): 2161-2167, 2009

      31 Kelly, A. S., "In the absence of weight loss, exercise training does not improve adipocytokines or oxidative stress in overweight children" 56 (56): 1005-1009, 2007

      32 Molé,P.A, "Impact of energy intake and exercise on resting metabolic rate" 10 (10): 72-87, 1990

      33 Tremblay, A., "Endurance training with constant energy intake in identical twins: changes over time in energy expenditure and related hormones" 46 (46): 499-503, 1997

      34 Poehlman, E. T., "Endurance training increases metabolic rate and norepinephrine appearance rate in older individuals" 261 (261): E233-239, 1991

      35 Ahmadizad, S., "Effects of resistance versus endurance training on serum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index" 157 (157): 625-631, 2007

      36 Prestes, J.,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resistin, leptin, cytokines, and muscle force in elderly post-menopausal women" 27 (27): 1607-1615, 2009

      37 Donges, C. E., "Effects of resistance or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interleukin-6, C-reactive protein, and body composition" 2 (2): 304-313, 2010

      38 Lemmer, J. T., "Effect of strength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and physical activity: age and gender comparisons" 33 (33): 532-541, 2001

      39 Vaisman, N., "Effect of refeeding on the energy metabolism of adolescent girls who have anorexia nervosa" 45 (45): 527-537, 1991

      40 Horton, T. J., "Effect of habitual exercise on daily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rate during standardized activity" 59 (59): 13-19, 1994

      41 Uchida, M. C., "Effect of bench press exercise intensity on muscle soreness and inflammatory mediators" 27 (27): 499-507, 2009

      42 Melby, C., "Effect of acute resistance exercise on postexercise energy expenditure and resting metabolic rate" 75 (75): 1847-1853, 1993

      43 Park Hye Soon,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bese Patients" 대한의학회 19 (19): 202-208, 2004

      44 Klimcakova, E., "Dynamic strength traini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without altering plasma levels and gene expression of adipocytokines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 in obese men" 91 (91): 5107-5112, 2006

      45 Poehlman, E. T., "Determinants of decline in resting metabolic rate in aging females" 264 (264): E450-455, 1993

      46 Thompson, J. L., "Daily energy expenditure in male endurance athletes with differing energy intakes" 27 (27): 347-354, 1995

      47 Arner,P, "Control of lipolysis and its relevance to development of obesity in man" 4 (4): 507-515, 1988

      48 Potteiger, J. A., "Changes in resting metabolic rate and substrate oxidation after 16 months of exercise training in overweight adults" 18 (18): 79-95, 2008

      49 Adam, S., "Cerebrospinal fluid IL-6, HSP72, and TNF-α in exercising humans" 20 (20): 585-589, 2006

      50 Schoeller,D.A, "Balancing energy expendilture and body weight" 68 (68): 956S-961S, 1998

      51 Masuzaki, H., "Augmented expression of the obese gene in the adipose tissue from rats fed high-fat diet" 216 (216): 355-358, 1995

      52 Dekker, M. J., "An exercise intervention without weight loss decreases circulating interleukin-6 in lean and obese men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56 (56): 332-338, 2007

      53 Souza, M. S., "Aerobic endurance, energy expenditure, and serum leptin response in obese, sedentary, prepubert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short-term treadmill protocol" 20 (20): 900-904, 2004

      54 Heyward,V.H, "Advanced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Human Kinetics 2005

      55 Cetinalp-Demircan, P., "Adiponectin is a link among inflammation, insulin resistance,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but is not associated with paraoxonase activity in premenopausal women" 11 (11): 672-677, 2009

      56 최상호, "8주간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성의 신체 성분, 혈청 호르몬 및 섭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7 (37): 888-89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1 0.674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