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현사략(東賢事略)」의 자료 가치와 특성 = The Value of 「Dong hyeon Sa ryak/東賢事略」as a Historical material, and its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6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hyeon Sa’ryak」, compiled by Gweon Geun, is a history book which contains the chronicled lives of 24 people, who lived through a time period when Goryeo was under the Mongol Yuan empire’s political influence and intervention. Its overal...

      「Dong‘hyeon Sa’ryak」, compiled by Gweon Geun, is a history book which contains the chronicled lives of 24 people, who lived through a time period when Goryeo was under the Mongol Yuan empire’s political influence and intervention. Its overall format resembles that of the Biography section of Goryeo-sa , which was the offici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t seems like this 「Dong‘hyeon Sa’ryak」was published in order to supplement and assist another history book which was being compiled at the same time, which was named Goryeo Guksa and was in dire need of more sections dedicated to the people’s biographies.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Gweon Geun was one of the most renowned and representative historians and Neo-Confucian scholars, and quite naturally had a strict Neo-Confucian historical view. Then again, interestingly enough Gweon Geun tried to decorate his own house and the social class he belonged to through this 「Dong‘hyeon Sa’ryak」. Therefore, the historical view and attitude in 「Dong‘hyeon Sa’ryak」’s writing reveals another aspect of the early Joseon historical writing, in which we have generally believed that the Neo-Confucian historical perspective was the only thing that was emphasized and pursued. It urges us to reexamine Gweon Geun’s historical perspective and writing, and open up new studies concerning the early Joseon historical compi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자료 소개
      • 2. 「동현사략」편찬에 이용된 자료
      • 3. 「동현사략」의 편찬 목적과 자료 가치
      • 맺음말
      • 머리말
      • 1. 자료 소개
      • 2. 「동현사략」편찬에 이용된 자료
      • 3. 「동현사략」의 편찬 목적과 자료 가치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 1999

      2 박종기, "원 간섭기 역사학의 새 경향-當代史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31) : 371-406, 2011

      3 김남일, "역사의식과 역사서술, In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경인문화사 2005

      4 강문식, "역사관과 역사서술, In 권근의 경학사상 연구" 일지사 2008

      5 정구복, "동국사략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68 : 1975

      6 정구복, "동국사략 해제, In 한국사서총간 1" 여강출판사 1986

      7 문철영, "권근의 동국사략" 단국대학교 20 : 1986

      8 변태섭, "高麗史의 硏究" 삼영사 1982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 1999

      2 박종기, "원 간섭기 역사학의 새 경향-當代史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31) : 371-406, 2011

      3 김남일, "역사의식과 역사서술, In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세계관과 역사의식" 경인문화사 2005

      4 강문식, "역사관과 역사서술, In 권근의 경학사상 연구" 일지사 2008

      5 정구복, "동국사략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68 : 1975

      6 정구복, "동국사략 해제, In 한국사서총간 1" 여강출판사 1986

      7 문철영, "권근의 동국사략" 단국대학교 20 : 1986

      8 변태섭, "高麗史의 硏究" 삼영사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
      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