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 The effects of job-person fit on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6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만 35세 미만의 청년 재직자 중에서 근로시간 형태가 전일제이고, 상용직 근로자라고 응답한 임금근로자 9,640명(여자 4,092명, 남자 5,5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 적응 이론(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적성, 교육수준, 기술수준과 현재 직무수준과의 일치 정도를 활용하였고, 추가적으로 주전공과 복수전공이 직무와 일치하는 정도도 고려하였다. 객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임금 데이터를 사용했고, 주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 만족도를 사용했다. 결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 분석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남여 집단 모두 적성 일치 정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교육수준 일치 정도는 여자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기술수준 일치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남자 집단에서는 복수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전공 일치 정도는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으나 여자 집단에서는 주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 재직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해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son f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youth employees. Methods Using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son f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youth employees. Methods Using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9,640 wage workers (4,092 women, 5,548 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utilized aptitude, education level, skill level, and major fit as job-person fit. Wage data were used to measur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career success. Results Multi-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aptitude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while education level fit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only in the female group. Skill level f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in the male group, the double major fit was related to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ajor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career development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현, "한국 공무원의 주관적 경력성공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7 (47): 311-338, 2009

      2 김지석, "청소년지도자의 자기주도성,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개발지원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263-287, 2017

      3 최문석, "청년층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가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6 (26): 85-102, 2019

      4 노언경,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113-144, 2011

      5 박성재, "청년 취업자의 저임금근로 진입과 탈출에 관한 연구: 노동이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63-190, 2012

      6 이재은, "청년 취업자의 객관적 경력성공과주관적 경력성공의 종단적 관계: 경력성공 상호작용 관계의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47-68, 2016

      7 오민홍, "청년 신규취업자의 노동시장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7 (17): 119-140, 2014

      8 김동윤,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31-53, 2018

      9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77-104, 2004

      10 윤하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325-347, 2006

      1 조창현, "한국 공무원의 주관적 경력성공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7 (47): 311-338, 2009

      2 김지석, "청소년지도자의 자기주도성,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개발지원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263-287, 2017

      3 최문석, "청년층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가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6 (26): 85-102, 2019

      4 노언경,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113-144, 2011

      5 박성재, "청년 취업자의 저임금근로 진입과 탈출에 관한 연구: 노동이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63-190, 2012

      6 이재은, "청년 취업자의 객관적 경력성공과주관적 경력성공의 종단적 관계: 경력성공 상호작용 관계의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47-68, 2016

      7 오민홍, "청년 신규취업자의 노동시장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7 (17): 119-140, 2014

      8 김동윤,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31-53, 2018

      9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77-104, 2004

      10 윤하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325-347, 2006

      11 이윤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21 (21): 121-141, 2019

      12 어윤경,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한국상담학회 11 (11): 721-738, 2010

      13 최영순, "전공-업무 불일치 재직자 특성: GOM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1-21, 2008

      14 박혜영, "신체적 매력이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13-334, 2020

      15 채구묵,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61, 2007

      16 윤지혜, "비서직종사자가 인지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서학회 29 (29): 77-100, 2020

      17 김훈호, "복수전공 이수가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37-70, 2015

      18 박재민, "대학 졸업생의 직업선택과 임금 수준"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22-39, 2011

      19 이필남, "대학 복수전공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5-164, 2013

      20 김지연, "대졸 청년층의 전공-직무 일치와 일자리만족 수준에 따른 집단특성 분석: 전공선택 이유, 취업 시 우선순위, 이직의도,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41-164, 2019

      21 김나정, "다차원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 성별 및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42 (42): 81-111, 2018

      22 이지영, "내용과 상징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국내 경력성공 연구동향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19 (19): 1-29, 2016

      23 홍경선, "남녀 고등학생들의 취업관련 인식 및 대학 전공 선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5-44, 2016

      24 김보경,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요인 및 성별조절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 메타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3-148, 2013

      25 최명빈, "기업 근로자의 경력성공에 관한 메타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1 (21): 1-22, 2019

      26 김미경, "국내 학술지의 경력성공 연구 동향과 연구방향 제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221-261, 2018

      27 이윤수, "관리자 코칭 행동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횡단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225-247, 2018

      28 김성남, "경력계획, 직무적합성 및 직장·가정 갈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1419-1438, 2012

      29 이인석, "개인-환경적합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3 (23): 1951-1968, 2010

      30 안종대,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관련 변수들과의 관계: 메타분석(Meta-Analysis)"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32 (32): 107-134, 2019

      31 최보인,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5 (35): 199-232, 2011

      32 류종은, "“평생 직장? 그게 뭐죠” 신입사원 10명중 7명이 이직 경험" 한국일보

      33 Seibert, S. E., "What do proactive people do? A longitudinal model linking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4 (54): 845-874, 2001

      34 Lee, S., "The relationship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with work attitudes : A moderating effect of person-supervisor fit" 12 (12): 3767-3778, 2017

      35 Seibert, S. E.,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8 (58): 1-21, 2001

      36 Lin, Y. C.,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person-job fit, and well-being on job performance" 42 (42): 1537-1547, 2014

      37 Cable, D. M.,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fit perceptions" 87 (87): 875-884, 2002

      38 Arthur, M. B., "The boundaryless career : A new perspective for organizational inquiry" 15 (15): 295-306, 1994

      39 Gattiker, U. E.,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study of managers and support personnel" 1 (1): 78-94, 1986

      40 Tak, J.,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erson-environment fit types and employee withdrawal behavior : A longitudinal study" 78 (78): 315-320, 2011

      41 De 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42 Seibert, S. 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84 (84): 416-427, 1999

      43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6

      44 Ng, T. W. H., "Predictor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meta-analysis" 58 : 367-408, 2005

      45 Judge, T. A.,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 Implications for satisfaction, tenure, and career success" 44 (44): 32-54, 1994

      46 Edwards, J. R., "Person-job fit :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6 : 283-357, 1991

      47 O'Reilly III, C. A.,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34 (34): 487-516, 1991

      48 Gottfredson, L. S., "Occupational aptitude patterns map :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job aptitude requirements" 29 (29): 254-291, 1986

      49 Shatto, B., "Moving on from millennials : Preparing for generation Z" 47 (47): 253-254, 2016

      50 Lee, Y., "Mediating effects of the meaningfulness of work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19 (19): 151-172, 2019

      51 Hughes, E. C., "Institutional office and the person" 43 (43): 404-413, 1937

      52 Dyke, L. S., "How we define success: A qualitative study of what matters most to women and men" 55 (55): 357-371, 2006

      53 Xie, B., "Hierarchical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at the career establishment stage" 21 (21): 518-533, 2016

      54 Iorgulescu, M. C., "Generation Z and its perception of work" 18 (18): 47-54, 2016

      55 Maxwell, G. A., "Generation Y graduates and career transition : Perspectives by gender" 32 (32): 547-553, 2014

      56 Orser, B., "Gender influences on career success outcomes" 25 (25): 386-407, 2010

      57 Jung, Y.,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planning and success" 31 (31): 603-623, 2016

      58 Lauver, K. J.,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59 (59): 454-470, 2001

      59 Millicent, E. P., "Contrasting subjective and objective criteria as determinants of perceived career success; A longitudinal study" 66 (66): 39-54, 1993

      60 Jeong, S., "Consequences of not conducting measurement invariance tests in cross-cultural studies :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21 (21): 466-483, 2019

      61 Heslin, P. A.,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26 : 113-211, 2005

      62 Hall, D. T., "Careers in organizations" Goodyear 1976

      63 Arthur, M. B., "Career success in a boundaryless career world" 26 (26): 177-202, 2005

      64 Melamed, T., "Career succ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47 (47): 35-60, 1995

      65 Cox, T. H., "Career paths and career success in the early career stages of male and female MBAs" 39 (39): 54-75, 1991

      66 Dawis, R. V.,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John Wiley & Sons 3-23, 2005

      67 McDonald, K., "Career development : A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 Routledge 2016

      68 Kuijpers, M. A., "Career competencies for career success" 55 (55): 168-178, 2006

      69 Gerli, F., "Boundaryless career and career success : the impact of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ies" 6 (6): 1-17, 2015

      70 Schroth, H., "Are you ready for Gen Z in the workplace?" 61 (61): 5-18, 2019

      71 Judge, T. 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48 (48): 485-519, 1995

      72 Lohman, D. F., "An aptitude perspective on talent:Implications for identification of academically gifted minority students" 28 (28): 333-360, 2005

      73 Lee, Y., "An application of work engagement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career development : Assessing gender differences" 29 (29): 143-161, 2018

      74 Dawis, R. V.,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75 Chi, N. W., "A multilevel investigation of missing link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27 (27): 43-56, 2012

      76 Lee, Y., "A multilevel analysi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job-performance improvement" 42 (42): 286-304, 2018

      77 Sekiguchi, T., "A contingency perspective of the importance of PJ fit and PO fit in employee selection" 22 (22): 118-13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