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Sex Education upon Middle School Students' Sex-Knowledge, Sex-Attitude, and Sex-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60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전북 K시의 2개 중학교 1학년 학생 실험군 62명, 대조군 62명으로 총 124명의 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03년 1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였다.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2003년 3월 7일부터 3월 8일까지 일반적 특성, 성관련 특성,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후 실험군에게 10주간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2003년 6월 13일부터 6월 14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을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지식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8.070,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태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7.216,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행동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6.475,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성지식을 증가시키고,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올바른 성행동을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 성건강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전북 K시의 2개 중학교 1학�...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전북 K시의 2개 중학교 1학년 학생 실험군 62명, 대조군 62명으로 총 124명의 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03년 1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였다.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2003년 3월 7일부터 3월 8일까지 일반적 특성, 성관련 특성,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후 실험군에게 10주간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2003년 6월 13일부터 6월 14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을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지식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8.070,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태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7.216,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행동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6.475, p=.000).
      그러므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성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성지식을 증가시키고,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올바른 성행동을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 성건강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implemented a sex-education program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its effects.
      The study pla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study subjects were 124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f 2 middle schools, K-city, Jeonra but-do; 62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2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2003 to June 14, 2003.
      The study procedure was as follows; a pre-test was implemented toward both groups, from March 7 to March 8, 2003, concerning general characters, sex-related characters, sex-knowledge, and sex-behaviors. Then, arbitr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Next, post-test was implemented toward both groups from June 13 to June 14, 2003,
      The study tool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paper measuring sex-knowledge, sex-attitude, and sex-behavior,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real number, percentag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x^(2)-test, and t-test, with use of SPSS Win 10.0.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t=-8.070,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knowled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ccordance,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knowled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2) Significant differences(t=-7.216,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attitud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attitud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3) Significant differences(t=-6.475,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behavio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behavio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As seen in the above, it was proved that the sex-education program increased middle school students' sex-knowledge, changed their sex-attitude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and showed good effects to do correct sex-behaviors. The sex-education program is thought to be applied to increase sex-health in middle school educational places.
      번역하기

      This paper implemented a sex-education program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its effects. The study pla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study subjects were 124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f 2 middle scho...

      This paper implemented a sex-education program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its effects.
      The study pla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study subjects were 124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of 2 middle schools, K-city, Jeonra but-do; 62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2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2003 to June 14, 2003.
      The study procedure was as follows; a pre-test was implemented toward both groups, from March 7 to March 8, 2003, concerning general characters, sex-related characters, sex-knowledge, and sex-behaviors. Then, arbitr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Next, post-test was implemented toward both groups from June 13 to June 14, 2003,
      The study tool wa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paper measuring sex-knowledge, sex-attitude, and sex-behavior,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real number, percentag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x^(2)-test, and t-test, with use of SPSS Win 10.0.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t=-8.070,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knowledg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ccordance,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knowled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2) Significant differences(t=-7.216,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attitud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attitud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3) Significant differences(t=-6.475, p=.000)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sex-education program, and sex-behavio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ho will take sex-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ex-behavio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won't take sex-education program" was approved.
      As seen in the above, it was proved that the sex-education program increased middle school students' sex-knowledge, changed their sex-attitude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and showed good effects to do correct sex-behaviors. The sex-education program is thought to be applied to increase sex-health in middle school educational pla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Abstract>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목차 = ⅰ
      • <Abstract>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3. 연구가설 = 4
      • 4. 용어정의 = 4
      • Ⅱ. 문헌고찰 = 6
      • 1. 성교육 프로그램 = 6
      • 2. 성지식 = 9
      • 3. 성태도 = 12
      • 4. 성행동 = 13
      • Ⅲ. 연구방법 = 15
      • 1. 연구설계 = 15
      • 2. 연구대상 = 16
      • 3. 연구도구 = 16
      • 4. 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 17
      • 5. 자료수집방법 = 19
      • 6. 자료분석 방법 = 19
      • 7. 연구 제한점 = 20
      • Ⅳ. 연구결과 = 21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 21
      • 2. 대상자의 성관련 특성 및 동질성 검증 = 24
      • 3.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동질성 검증 = 29
      • 4. 가설검증 = 30
      • Ⅴ. 논의 = 33
      • 1. 성관련 특성 = 33
      • 2.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 34
      • 3. 연구의 의의 = 37
      • Ⅵ. 결론 및 제언 = 39
      • 1. 결론 = 39
      • 2. 제언 = 40
      • 참고문헌 = 42
      • <부록 1> 설문지 = 46
      • 국문요약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