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상적 국민-만들기에 활용된 시각 이미지에 대한 연구 : 위생관련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 Images Applied to Nation-Building : Focusing on the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5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는 국민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재시기로 일컬어졌던 제3공화국부터 아직은 군사정권의 특징이 강했던 제6공화국까지 바람직한 국민을 만드는 것은 국가의 주요 과제였다. 사회 성원으로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국민을 만들기 위해서는 근면, 성실, 근검, 절약, 준법, 위생 등의 특정한 덕목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었다. 특히 국가는 위생과 관련하여 청결한 상태의 국민을 만들기 위해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를 배포했다. 본 연구는 청결한 국민-만들기에 사용된 시각 이미지의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독재나 식민지와 같이 비교적 당위성이 부족한 국가가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가 주장했던 '일반의지'를 만들어 가는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본문 2장에서는 각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들을 다루고 있다. 먼저 이 연구의 주제가 되는 '국민-만들기' 이론을 소개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국민-만들기의 정확한 뜻을 확인했다. 또한 지도, 센서스, 박물관, 학교 등을 통해서 국가가 어떻게 국민의 역할을 교육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이 주장하고 있는 국민-만들기를 위한 시각 이미지의 의의를 히틀러가 주장했던 미술을 통한 정치를 기반으로 하여 찾을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국민-만들기를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의 각각 사례를 근거로 확인했다. 시간적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시대에 따른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4장은 3장에서 제시한 각 사례를 통합하여 전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도록 분석했다. 분석은 매체, 표현 전략, 내용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시간의 흐름과 함께 매체는 다양화됐다. 책자, 신문과 포스터 등의 평면 이미지에 국한 되었던 위생 관련 이미지는 점차 라디오나 TV 등 새로운 미디어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다차원적으로 위생 관련 캠페인과 정책의 내용을 받아들이게 됐다. 4.2. 표현 전략의 변화에서는 직유와 은유의 화법을 사용했던 시각 이미지의 표현 방식과 그 화자가 국가에서 민간 기업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4.3 내용의 변화에서는 위생 범위가 '개인'이나 '특정 공간'이라는 국한된 영역에서 '가정'이나 자연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론틀의 확립, 사례 조사, 분석이라는 과정을 통해 국가가 주장했던 바람직한 국민상을 만들어가는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가 국민-만들기를 실현해갔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국가는 국민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재시기로 일컬어졌던 제3공화국부터 아직은 군사정권의 특징이 강했던 제6공화국까지 바람직한 국민을 만드는 것은 국가의 ...

      국가는 국민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재시기로 일컬어졌던 제3공화국부터 아직은 군사정권의 특징이 강했던 제6공화국까지 바람직한 국민을 만드는 것은 국가의 주요 과제였다. 사회 성원으로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국민을 만들기 위해서는 근면, 성실, 근검, 절약, 준법, 위생 등의 특정한 덕목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었다. 특히 국가는 위생과 관련하여 청결한 상태의 국민을 만들기 위해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를 배포했다. 본 연구는 청결한 국민-만들기에 사용된 시각 이미지의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독재나 식민지와 같이 비교적 당위성이 부족한 국가가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가 주장했던 '일반의지'를 만들어 가는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본문 2장에서는 각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들을 다루고 있다. 먼저 이 연구의 주제가 되는 '국민-만들기' 이론을 소개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국민-만들기의 정확한 뜻을 확인했다. 또한 지도, 센서스, 박물관, 학교 등을 통해서 국가가 어떻게 국민의 역할을 교육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이 주장하고 있는 국민-만들기를 위한 시각 이미지의 의의를 히틀러가 주장했던 미술을 통한 정치를 기반으로 하여 찾을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국민-만들기를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의 각각 사례를 근거로 확인했다. 시간적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시대에 따른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4장은 3장에서 제시한 각 사례를 통합하여 전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도록 분석했다. 분석은 매체, 표현 전략, 내용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시간의 흐름과 함께 매체는 다양화됐다. 책자, 신문과 포스터 등의 평면 이미지에 국한 되었던 위생 관련 이미지는 점차 라디오나 TV 등 새로운 미디어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다차원적으로 위생 관련 캠페인과 정책의 내용을 받아들이게 됐다. 4.2. 표현 전략의 변화에서는 직유와 은유의 화법을 사용했던 시각 이미지의 표현 방식과 그 화자가 국가에서 민간 기업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4.3 내용의 변화에서는 위생 범위가 '개인'이나 '특정 공간'이라는 국한된 영역에서 '가정'이나 자연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론틀의 확립, 사례 조사, 분석이라는 과정을 통해 국가가 주장했던 바람직한 국민상을 만들어가는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가 국민-만들기를 실현해갔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clear that the nation exists for the people. The crucial concern of our nation was making ideal people for the nation since Third Republic of South Korea, also known as a dictatorial rule, until the Sixth one, a period of rule by the military junta. Therefore, as Nation-building, it was the duty of the government to educate the people about basic values such as diligence, saving, obeying the law and sanitation to help them to take certain roles in society. Especially for improving sanitation, the government had distributed visual images related sanitation through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ng method and the strategy of persuasion through visual images used for improving sanitation of the people. The research showed the way of making 'General Will' of Jean-Jacques Rousseau even in countries without justice due to despotic states or colonization.
      In Chapter NO. 2, the study introduces the theory about sanitaion and Nation-building. First of all, it shows theory of Nation-Building and pre-study about it. Additionally it explains how the government teaches people to be a great nation with map, census, museum and school and so on. In Chapter NO. 3, it presents each examples of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for Nation-Building.
      In Chapter NO. 4, it analyzes main characters from whole examples. The analysis includes three parts 'the changd of media'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the change of contents'. As time goes by, media has become various. So then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has moved from on books, newpapers, posters to on radio and TV. This change makes people accept campaigns or law that government insists. The small chapter 4.2. is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It concentrates on how to show the images with a straight talk or a metaphorical way to persuade. Also it says changes of the narraters in the images from Korean government to private corporations. Finally, in 4.3. 'the change of contents', it teaches that the definition of sanitation became expended toward a home or nature.
      번역하기

      It is clear that the nation exists for the people. The crucial concern of our nation was making ideal people for the nation since Third Republic of South Korea, also known as a dictatorial rule, until the Sixth one, a period of rule by the military ju...

      It is clear that the nation exists for the people. The crucial concern of our nation was making ideal people for the nation since Third Republic of South Korea, also known as a dictatorial rule, until the Sixth one, a period of rule by the military junta. Therefore, as Nation-building, it was the duty of the government to educate the people about basic values such as diligence, saving, obeying the law and sanitation to help them to take certain roles in society. Especially for improving sanitation, the government had distributed visual images related sanitation through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ng method and the strategy of persuasion through visual images used for improving sanitation of the people. The research showed the way of making 'General Will' of Jean-Jacques Rousseau even in countries without justice due to despotic states or colonization.
      In Chapter NO. 2, the study introduces the theory about sanitaion and Nation-building. First of all, it shows theory of Nation-Building and pre-study about it. Additionally it explains how the government teaches people to be a great nation with map, census, museum and school and so on. In Chapter NO. 3, it presents each examples of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for Nation-Building.
      In Chapter NO. 4, it analyzes main characters from whole examples. The analysis includes three parts 'the changd of media'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the change of contents'. As time goes by, media has become various. So then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has moved from on books, newpapers, posters to on radio and TV. This change makes people accept campaigns or law that government insists. The small chapter 4.2. is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It concentrates on how to show the images with a straight talk or a metaphorical way to persuade. Also it says changes of the narraters in the images from Korean government to private corporations. Finally, in 4.3. 'the change of contents', it teaches that the definition of sanitation became expended toward a home or n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문제 정의 = 1
      • 1.2. 연구 배경 = 1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 3
      • 2. 국민-만들기와 시각 이미지 = 9
      • 1. 서론
      • 1.1. 문제 정의 = 1
      • 1.2. 연구 배경 = 1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 3
      • 2. 국민-만들기와 시각 이미지 = 9
      • 2.1. 국가와 이상적 국민 = 9
      • 2.2. 국민-만들기와 장치 = 21
      • 2.2.1. 국민-만들기 = 21
      • 2.2.2. 국민-만들기의 장치 = 27
      • 2.3. 시각 이미지와 국민-만들기 = 39
      • 2.3.1. 정치에 사용된 시각 이미지 = 40
      • 2.3.2. 국가가 전달하는 공익 포스터 = 42
      • 3. 한국 사회에서 국민-만들기 = 45
      • 3.1. 제3, 4공화국 = 47
      • 3.1.1. 제3, 4공화국 특징 = 47
      • 3.1.2. 제3, 4공화국의 위생 이미지 = 52
      • 3.2. 제5공화국 = 101
      • 3.2.1. 제5공화국 특징 = 101
      • 3.2.2. 제5공화국의 위생 이미지 = 104
      • 3.3. 제6공화국 = 134
      • 3.3.1. 제6공화국 특징 = 134
      • 3.3.2. 제6공화국의 위생 이미지 = 136
      • 4. 시각 이미지의 표현 특성 = 155
      • 4.1. 매체의 변화 = 156
      • 4.1.1. 포스터의 변화 = 157
      • 4.1.2. 잡지와 신문의 평면 시각 이미지 흡수 = 159
      • 4.1.3. TV매체의 적극 활용 = 161
      • 4.1.4. 기타 사물의 축소 = 165
      • 4.2. 표현 전략의 변화 = 166
      • 4.2.1. 화자의 변화 = 168
      • 4.2.2. 이미지와 텍스트 변화 = 169
      • 4.2.3. 기술 방식의 도입 = 172
      • 4.3. 내용의 변화 = 173
      • 4.3.1. 비유적인 방식과 직접적인 설득 방식 = 174
      • 4.3.2. 위생 범위의 변화 = 177
      • 4.3.3. 국가의 시선이 향하는 시점 = 181
      • 5. 결론 = 182
      • 참고문헌 = 185
      • 영문초록 = 1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