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2일 전북 익산시 북쪽 지역에서 규모 3.85로 발생한 익산지진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KMA)에서 운영하는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NECIS)의 지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15716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4.45 판사항(6)
550.71 판사항(23)
충청북도
vii, 81 p. :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 26 cm
지도교수: 경재복
권말부록: 익산지진 본진 및 2개 여진에 대한 단층면해 분석에 이용한 관측소별 P파 극성(polarity), 방위각(azimuth), 사출각(take-off angle) 등
참고문헌: p. 54-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12월 22일 전북 익산시 북쪽 지역에서 규모 3.85로 발생한 익산지진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KMA)에서 운영하는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NECIS)의 지진...
2015년 12월 22일 전북 익산시 북쪽 지역에서 규모 3.85로 발생한 익산지진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KMA)에서 운영하는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NECIS)의 지진파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익산지진의 진앙으로부터 반경 100km 이내에 위치한 관측소의 2015년 12월 15일부터 2016년 01월 22일까지 기간에 해당하는 연속 지진파형 자료를 PQL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미소지진이벤트를 검출하였고, Hypoinverse-2000 프로그램으로 진원지를 결정하였다. 옥천대 내에 위치한 익산지진의 진앙 주변에서는 미소지진이 꾸준히 발생했으며, 미소지진의 진앙 분포는 단층선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주로 단층선 인근에 나타났다. 익산지진 본진 및 2개 여진에 대해 FOCMEC(FOCal MEChanism determin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층면해를 구하였다. 본진의 단층면해는 북북동-남남서 또는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단층면을 가지는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운동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반도 지진의 대부분이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을 가진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운동의 특성을 보이는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주 응력축의 방향은 동-서 방향에 가까운 서북서-동남동 방향을 보였다. 익산지진의 진도는 전화 문의 및 피해 접수 자료를 수집하여 수정 메르칼리(MM) 진도(Richter, 1956)등급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PGA(Peak Ground Acceleration)를 이용하여 계기진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익산지진의 MMI등급은 최대 Ⅴ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지진동에 의해 물체의 흔들림을 감지하거나 새벽에 잠에서 깬 사람들이 많은 수준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