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라시아 서부지역 인물문양 동양계 동경 검토 = A Study on Bronze Mirrors with Human-Figure from the West of Eurasi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Even though Korea is located at the east end of Eurasia,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ical flow of great Eurasian continent.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y and culture of our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point of view of world history, author of this essay introduces four bronze mirrors with human-figure from the west of eurasian continent. They are classified as bronze mirror with playing-children-figure and bronze mirror with human-figure on the wave in Jin Dynasty. The type of bronze mirror with playing-children-figure includes mirrors from Stavropol(Russia) and Kryzpolsk( Ukraine). This type of mirrors are very similar on placement of pattern, human position, flower pattern and so on. But depends on dynamic and delicacy of pattern it may devide into two sub-types. Unfortunately, it's difficult to know the in-situ and exact date.
      The type of bronze mirror with human-figure on the wave includes the mirrors from Mihailovka of Volgograd(Russia), and Kherson(Ukraine). In comparison with Chinese and Korean analogies, West of Eurasian examples are to rough in pattern. Even though there is a sign for inspection, so rough mirror from Kherson also had made in Jin Dynasty.
      The same types of western eurasian mirrors have been found around Khakasia, Minusinsk, Krasnoyarsk, Kyrygistan and Kazahstan, these areas were been a part of territory of Kipchak and Chagata Khanates of Mongolian Empire. The lack of materials doesn't allow to make decision about Mongolian influence on the problem, though accumulation of data with time it is expected to future investigation on movement of people and materials in Eurasia.
      번역하기

      Even though Korea is located at the east end of Eurasia,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ical flow of great Eurasian continent.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y and culture of our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point of view of world history, author...

      Even though Korea is located at the east end of Eurasia,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ical flow of great Eurasian continent.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y and culture of our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point of view of world history, author of this essay introduces four bronze mirrors with human-figure from the west of eurasian continent. They are classified as bronze mirror with playing-children-figure and bronze mirror with human-figure on the wave in Jin Dynasty. The type of bronze mirror with playing-children-figure includes mirrors from Stavropol(Russia) and Kryzpolsk( Ukraine). This type of mirrors are very similar on placement of pattern, human position, flower pattern and so on. But depends on dynamic and delicacy of pattern it may devide into two sub-types. Unfortunately, it's difficult to know the in-situ and exact date.
      The type of bronze mirror with human-figure on the wave includes the mirrors from Mihailovka of Volgograd(Russia), and Kherson(Ukraine). In comparison with Chinese and Korean analogies, West of Eurasian examples are to rough in pattern. Even though there is a sign for inspection, so rough mirror from Kherson also had made in Jin Dynasty.
      The same types of western eurasian mirrors have been found around Khakasia, Minusinsk, Krasnoyarsk, Kyrygistan and Kazahstan, these areas were been a part of territory of Kipchak and Chagata Khanates of Mongolian Empire. The lack of materials doesn't allow to make decision about Mongolian influence on the problem, though accumulation of data with time it is expected to future investigation on movement of people and materials in Eur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우리나라는 유라시아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나 거대한 유라시아의 역사적 흐름과 분리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유라시아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 세계사적 시각에서 이해하기 위해 유라시아 서부지역 발견 인물문양 동양계 동경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다루는 동경은 유라시아 서부지역, 즉 러시아 서부와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되었던 동경 4점으로, 형식상 금대 동자연지유희문경과 파상인물문경에 해당한다. 동자연지유희문경으로는 러시아 국립스타브로폴 박물관에 소장품 1점, 우크라이나 비니츠크 크르조폴스크 발견 동경 1점이고 이 동경은 인물문형태, 복식, 화문의 형태와 배치, 여백 정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유사도를 가지고 있다. 이와 동일한 형식에 속하는 것은 러시아 극동지역 하바로프스크, 중국 지린성과 허베이성 출토동경, 그리고 개경 등지에서 발견된 고려경이 있다. 동자연지유희문경은 문양에 따라 2분되는데, 인물상에서 역동성이 드러나는 것, 문양이 조밀한 것이 세트를 이루고, 정적이면서 여백이 많은 것이 역시 세트를 이룬다. 이 두 가지 모두 중국 허베이성 일대에서 출토되고 있고, 현재 자료의 부족으로 선후관계 및 출토상황을 알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유라시아 서부지역 파상인물문경으로는 러시아 볼고그라드 미하일로브카 발견 동경, 우크라이나 헤르손 발견 동경이 알려져 있다. 이 두 동경은 중국 허베이성, 시안, 한국 개경 출토의 것과 비교했을 때, 주문양인 인물상의 크기가 작고 안면이나 옷주름 등이 간략하며, 배경문양인 파상문은 굵고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다른 문양 생략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안, 허베이, 한국 개경 출토품과 마찬가지로 험기가 있어, 금대 동금정책이 행해졌을 시기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라시아 서부 발견 인물문경은 극동지역을 제외한 유라시아 동부지역에서는 하카시아, 미누신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와 키르기즈스탄, 카자흐스탄에서 동일한 형식의 것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 영역은 킵차크한국, 차가타이한국을 포함한 몽골제국의 범위에 포함되고 있다. 물론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칭기즈칸의 원정과 몽골의 서진을 직접 원인으로 단정지을 수 없지만, 향후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면 유라시아 사람과 물질의 이동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유라시아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나 거대한 유라시아의 역사적 흐름과 분리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유라시아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 세계사적 ...

      우리나라는 유라시아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나 거대한 유라시아의 역사적 흐름과 분리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유라시아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면서 세계사적 시각에서 이해하기 위해 유라시아 서부지역 발견 인물문양 동양계 동경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다루는 동경은 유라시아 서부지역, 즉 러시아 서부와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되었던 동경 4점으로, 형식상 금대 동자연지유희문경과 파상인물문경에 해당한다. 동자연지유희문경으로는 러시아 국립스타브로폴 박물관에 소장품 1점, 우크라이나 비니츠크 크르조폴스크 발견 동경 1점이고 이 동경은 인물문형태, 복식, 화문의 형태와 배치, 여백 정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유사도를 가지고 있다. 이와 동일한 형식에 속하는 것은 러시아 극동지역 하바로프스크, 중국 지린성과 허베이성 출토동경, 그리고 개경 등지에서 발견된 고려경이 있다. 동자연지유희문경은 문양에 따라 2분되는데, 인물상에서 역동성이 드러나는 것, 문양이 조밀한 것이 세트를 이루고, 정적이면서 여백이 많은 것이 역시 세트를 이룬다. 이 두 가지 모두 중국 허베이성 일대에서 출토되고 있고, 현재 자료의 부족으로 선후관계 및 출토상황을 알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유라시아 서부지역 파상인물문경으로는 러시아 볼고그라드 미하일로브카 발견 동경, 우크라이나 헤르손 발견 동경이 알려져 있다. 이 두 동경은 중국 허베이성, 시안, 한국 개경 출토의 것과 비교했을 때, 주문양인 인물상의 크기가 작고 안면이나 옷주름 등이 간략하며, 배경문양인 파상문은 굵고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다른 문양 생략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안, 허베이, 한국 개경 출토품과 마찬가지로 험기가 있어, 금대 동금정책이 행해졌을 시기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라시아 서부 발견 인물문경은 극동지역을 제외한 유라시아 동부지역에서는 하카시아, 미누신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와 키르기즈스탄, 카자흐스탄에서 동일한 형식의 것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 영역은 킵차크한국, 차가타이한국을 포함한 몽골제국의 범위에 포함되고 있다. 물론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칭기즈칸의 원정과 몽골의 서진을 직접 원인으로 단정지을 수 없지만, 향후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면 유라시아 사람과 물질의 이동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르도토스, "헤르도토스의 역사" 동서문화사 2008

      2 권오영,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48 (48): 166-185, 2015

      3 최인화, "카자흐스탄의 발굴과 보고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0) : 189-216, 2017

      4 정수일,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창비 2010

      5 이지은, "초기철기시대 유라시아 서부 스텝지구 출토 국자형 동기 시론"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5 (15): 23-51, 2009

      6 오보린 Yu.V, "중국동경" 크라스노냐르스크 2017

      7 나로즈느이 Ye. I, "유라시아의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 노보시비르스크 2009

      8 예술의 전당,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9 강인욱, "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 동북아역사재단 (57) : 34-75, 2017

      10 한정숙, "유라시아 남부 초원에서 펼쳐진 슬라브인과 유목민의 상호관계 : 키에프 루스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

      1 헤르도토스, "헤르도토스의 역사" 동서문화사 2008

      2 권오영,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48 (48): 166-185, 2015

      3 최인화, "카자흐스탄의 발굴과 보고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0) : 189-216, 2017

      4 정수일,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창비 2010

      5 이지은, "초기철기시대 유라시아 서부 스텝지구 출토 국자형 동기 시론"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5 (15): 23-51, 2009

      6 오보린 Yu.V, "중국동경" 크라스노냐르스크 2017

      7 나로즈느이 Ye. I, "유라시아의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 노보시비르스크 2009

      8 예술의 전당,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9 강인욱, "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 동북아역사재단 (57) : 34-75, 2017

      10 한정숙, "유라시아 남부 초원에서 펼쳐진 슬라브인과 유목민의 상호관계 : 키에프 루스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

      11 루리예, S. V, "유라시아 : 문화 작용과 문화 연계에 관한 과제" 1 (1):

      12 주브코프 K. I, "역사적 현실로써의 유라시아" 예카테린부르그 4 (4): 2009

      13 블라지미르 꾸바레프, "알타이의 제사유적" 학연문화사 1999

      14 강인욱,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의 기원과 러시아 투바의 아르잔 1호 고분" 중앙아시아학회 20 (20): 127-151, 2015

      15 뻬레보드치코바, "스키타이 동물양식" 학연문화사 1999

      16 이해주, "불교 조형물에 구현된 동물화생도생 고찰" 동양학연구원 (66) : 179-204, 2017

      17 중앙문화재연구원,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8 강인욱, "북방 유라시아 초원지역과 한반도 교류의 고고학" 한국상고사학회 100 (100): 51-76, 2018

      19 국립전주박물관,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주류성 2018

      20 이문영, "몽골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요소: 러⋅몽 관계사를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3 (33): 29-64, 2018

      21 국립제주박물관, "몽골의 역사와 문화" 2006

      22 부산박물관, "몽골, 초원에 핀 고대문화" 2009

      23 서울대학교박물관, "몽골 에르드네 판석묘 유적" 2008

      24 오부호프 Yu. D, "마좌르 취락 출토 중국 동전"

      25 이지은, "러시아 유럽지구 남부스텝지역 하자르시기 매장유구 출토유물에 보이는 세계수 형상에 관한 검토"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33 (33): 1-26, 2018

      26 이지은, "러시아 국립 스타브로폴 역사․문화 및 자연․경관박물관(국립 스타브로폴 G.N. 프로즈리텔레프, G.K. 프라바 박물관) 소장 동경 검토" 석당학술원 (71) : 81-110, 2018

      27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동경 : 거울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삶" 72-, 2010

      28 이난영, "고려경연구"

      29 "고대 문화와 고대 공예품 도몽골 포럼"

      30 최주연, "高麗時代 ‘煌丕昌天’銘 銅鏡 考察" 한국고대학회 (48) : 89-124, 2016

      31 "金史 卷48, 志第29 食貨3 錢幣"

      32 최주연, "杯度禪師紋 銅鏡의 圖像과 製作背景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波上人物’紋鏡(德壽2997)을 中心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47) : 31-59, 2017

      33 장석오, "古代 佛典에 나타난 마카라 문양의系統과 意味" 불교미술사학회 16 : 39-72, 2013

      34 나로지느이 Ye. I, "13세기 북코카서스 출토 중국 동전에 관하여"

      35 나로지느이 Ye. I, "13-14세기그로즈느이 주 수습품에 관하여(그로즈느이 향토사학자 M.P. 세보스탸노프 개인 소장품을 중심으로" 5 :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