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식민도시화 정책과 오일장 변화과정 -광주 양동시장을 중심으로- = The Colonial Urbanization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hange Process of Korea`s Traditional 5-day Interval Markets -Focused on the History of Yang-Dong Market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3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광주 양동시장의 사례를 통해 일제강점기 식민도시화 정책과 오일장의 변화 과정의 연계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양동시장은 3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두 개의 오일장이 일제강점기 ...

      이 글은 광주 양동시장의 사례를 통해 일제강점기 식민도시화 정책과 오일장의 변화 과정의 연계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양동시장은 3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두 개의 오일장이 일제강점기 때 병합됨으로써 만들어진 시장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양동시장은 두 번의 공간 이전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는 조선총독부의 < 시장규칙 >과 관련된 재래시장 통제와 관리제도, 광주의 식민도시화 정책, 시장 사용료, 광주신사 부지와 관련된 종교경관 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먼저, 광주천을 거점으로 열렸던 두 개의 오일장(큰 장, 작은 장)은 1920년대 중반 ‘대광주건설계획(면삼대계획)’에 의해 하천이 정리되면서, 1931년 사정(社町)으로 병합·이전한다. 이를 통해 비정주적 시장에서 정주적 시장이자 공영시장으로 성격이 변화된다. 이때 광주읍은 사정시장을 표적으로 한 < 광주읍 시장사용규칙 > 고시를 통해, 광주 지역 내시장세입의 70%가 넘는 사용료를 사정시장으로부터 걷어 들이게 된다. 그런데 사정시장은 1940년대 초반 또 다시 천정(泉町)으로 이전하게 된다. 이는 사정시장과 인접해 있던 ‘광주신사’가 전남도사로 승격하게 되면서, 신사의 부지확장 및 경관 정리의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 그렇지만, 천정시장은 개포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폐시되고 만다. 태평양전쟁에 돌입했던 일제의 전시체제가 강화되면서 전국의 상업행위가 통제된 때문이었다. 이렇듯 양동시장사례는 일제의 식민도시화 정책에 따른 강제 이동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이 사례를 통해 시장 부지 특혜분양사건에 대처하는 조선 상인들의 주체적 투쟁, 일제의 강제력으로도 끝내 바뀌지 않았던 오일장의 관습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ial urbanization policy carried out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hange process of Korea’s traditional 5-day interval markets. Yang-Dong Market was made by the me...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ial urbanization policy carried out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hange process of Korea’s traditional 5-day interval markets. Yang-Dong Market was made by the merging of two 5-day interval markets with about 300 years of history. The market relocated twice during the occupation, which involves various complicated circumstances: the regul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raditional markets in accordance with the Market Rul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colonial urbanization policy rolled out in Gwangju, the imposing of market usage fees, the religious landscape related to Gwangju Shrine and politics. First, the two 5-day interval markets (larger market and smaller market) were merged into Sa-Jung Market and relocated in 1931 when the river maintenance business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Great Gwangju Construction Plan. With this, the market turned from non-permanent one to permanent and public one. At that time, Gwangju-eup Town started to collect market usage fees that amounted to 70 percents of the revenues from merchants in the reg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notification of the < Gwangju-eup Market Rule > targeting Sa-Jung Market. However, the market moved again to Cheonjeong in the early 1940s as Gwangju Shrine near the market was elevated to the provincial shrine of Jeollanam-do, giving rise to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site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But the Cheon-Jung Market was closed in a short time after the opening. It was because Japan started to curb commercial activities all over Korea, as it plunged into the Pacific War and strengthened the war base. The case of Yang-Dong Market reveals the history of the forced relocations due to the colonial urbanization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autonomous struggles of Joseon’s merchants against the unfair distribution of the market land and the tradition and custom of the 5-day interval markets which survived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병찬, "한국시장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2 허영란, "조선총독부의 오일장에 대한 통제 및 활용과 그 한계-일제 식민통치에 대한 사회적 제약의 구체적 검토" 한국사학회 (82) : 121-157, 2006

      3 허영란, "일제시기의 장시 변동과 지역주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허영란, "일제시기 ‘시장’정책과 재래시장상업의 변화" 서울대국사학과 3 : 261-327, 1994

      5 광주민속박물관, "일제강점기 광주문헌집" 2004

      6 조정규, "일제 강점기 光州面의 景觀變化에 관한 연구 : 광주면 鄕社里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519-530, 2004

      7 "신설된 3부의 확장안 광주부편 2"

      8 김대길,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가람기획 2000

      9 "시장 이전 문제로 광주부회 공방전 전개"

      10 "시민대회는 금지 상민회는 중도 중지"

      1 조병찬, "한국시장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2 허영란, "조선총독부의 오일장에 대한 통제 및 활용과 그 한계-일제 식민통치에 대한 사회적 제약의 구체적 검토" 한국사학회 (82) : 121-157, 2006

      3 허영란, "일제시기의 장시 변동과 지역주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허영란, "일제시기 ‘시장’정책과 재래시장상업의 변화" 서울대국사학과 3 : 261-327, 1994

      5 광주민속박물관, "일제강점기 광주문헌집" 2004

      6 조정규, "일제 강점기 光州面의 景觀變化에 관한 연구 : 광주면 鄕社里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519-530, 2004

      7 "신설된 3부의 확장안 광주부편 2"

      8 김대길,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가람기획 2000

      9 "시장 이전 문제로 광주부회 공방전 전개"

      10 "시민대회는 금지 상민회는 중도 중지"

      11 "삼인검속"

      12 "불원간 신설될 광주시장, 개시는 매일"

      13 "부면장도 모르게 요지를 죽중(竹中)에 대부-창품면장의 독단이라고 시민대회준비"

      14 "국폐소사 어열격 강원, 광주의 양 신사"

      15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국가기록원 소장자료로 본 일제강점기 광주의 도시변천"

      16 "광주읍영시장 25일 준공"

      17 "광주에 공설운동장 기념사업으로"

      18 "광주시장 정리와 창품면장의 횡포 처단"

      19 "광주시장 이전 중심-악덕중개인 발호, 부근 토지가 일약 5,6배 폭등"

      20 "광주시장 면목이 일신"

      21 "광주시장 기지 문제로 광주시민 분개 궐기"

      22 "광주시장 기지 문제로 광주시민 분개 궐기"

      23 "광주시장 기지 문제, 필경 원만 해결"

      24 광주직할시사편찬위원회, "광주시사 제2권" 1992

      25 "광주부회도 개막"

      26 "광주면 조선인 의원 총 사직"

      27 광주직할시, "광주도시계획연혁"

      28 박선홍, "광주1백년(1)" 금호문화 1994

      29 "광주, 강원 양 신사 국폐소사로 어승격"

      30 최진성, "日帝强占期 朝鮮神社의 場所와 權力: 全州神社를 事例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44-58, 2006

      31 김대호,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조선신궁 건립과 운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