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98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분야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강점 관점의 하나로서 임파워먼트를 공적부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직무특성, 조...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분야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강점 관점의 하나로서 임파워먼트를 공적부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직무특성, 조직풍토, 전문적 능력, 내외통제성 등의 요인들이 임파워먼트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체 임파워먼트 수준은 5점 만점에 3.4점 수준으로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별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임파워먼트 구성차원 중에서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취약하였다. 또한 전담공무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특성, 조직풍토 및 전문적 능력에 있어서도 중간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였다.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통제변수 가운데 주요 통제변수인 내외통제성을 통제하였을 때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나타났는데, 통제소재에 따라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직무특성, 조직풍토, 전문적 능력이 임파워먼트의 각 하위차원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다. 특히 대부분 외적통제집단에서 보다 내적통제집단에서 더 유의미한 여향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owerment and to examin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ho are dealing with public aid programs in pubic sector. It also tries to prov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me factors such as ...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owerment and to examin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ho are dealing with public aid programs in pubic sector. It also tries to prov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me factors such as job specification, organizational climate, professional capability and internal external control,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Major research findings ca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is 3.4 of 5 , which is nor that high but slightly over the mid-level. More specifically, while the level of self empowerment and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is 3.5, the level of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is 3.2 representing relative weakness on perceiving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positively.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about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are also a little bit over the mid-level. The level of job characteristics is 3.8, highest among them,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limate professional capability are 3.2 and 3.1 each.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 up influence with controlling of major control variable of internal external control but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us of control.
      Overall,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sub-levels of empowerment. With the controlling of locus of control, the individual variables in their sub areas show up some influences although it is differentiated by locus of contr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함의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함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