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게임이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정보통신망의 발달과 코로나-19 등을 배경으로 하여 크게 발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79638
2021
Korean
본인인증 ; 동의확보 ; 헌법재판소 ; 온라인 게임 ; 기본권 ; Self-authentication ; Securing the Consent ; Constitutional Court ; Online Game ; Natural Rights
KCI등재
학술저널
61-80(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게임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게임이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정보통신망의 발달과 코로나-19 등을 배경으로 하여 크게 발달하...
온라인 게임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게임이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정보통신망의 발달과 코로나-19 등을 배경으로 하여 크게 발달하여 많은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변화 중의 하나가 게임산업의 발전이다. 그 러나 이러한 발전은 역기능으로서 온라인 게임 과몰입 내지 중독이라는 폐해도 가져오게 되 었다. 이러한 역기능을 규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규제책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관련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현행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12조의3에서는 게임임과몰입 및 중독 예방조치를 위해 게임물 관련사업자는 게임물 이용자의 게임과몰입과 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게임물 이용자 의 회원가입 시 실명ㆍ연령 확인 및 본인인증, 청소년의 회원가입 시 친권자 등 법정대리인의 동의 확보를 포함하여 과도한 게임물 이용 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본인인증과 동의확보 조항의 헌법적 쟁점을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게임은 문화국가의 원리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게임의 영역은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잉금지원칙과 관련하여 당해 판결에서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절성 및 침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인정하기가 어렵 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 산업의 발전과 이용자들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자율규제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온 라인 게임 분야의 정책적 변화와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line games are games that involve a large number of users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Internet. These online games have developed significantl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rona-19, bringing about many social cha...
Online games are games that involve a large number of users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Internet. These online games have developed significantl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rona-19, bringing about many social changes. One of the changes is the development of the game industry. However, this development has also led to the harmful effects of online game overindulgence or addiction as an adverse function. With various regulatory measures in place to regulate these adverse functions, the study focused on the ruling of the relevant Constitutional Court. Article 12-3 of the Game Industry Promotion Act stipulates that: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immersion in or addiction to games by users of game products, game products related business entities shall take measures to prevent an excessive use of game products including the following 1. Verification of real names and ages of users of game products when they join as members and self-authentication; 2. Securing the consent of legal representatives, such as persons having parental authority, when juveniles join as members The results of discussing the constitutional issues of these self-authentication and Securing the consent are as follows. First, online games will have to be approached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the cultural state. Second, the domain of online games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freedom of expression. Finally,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was derived from the judgment that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egitimacy of purpose, the adequacy of means, and the minimality of infringement, and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game industry and the introduction of self-regulation methods will be necessary to minimize violations of users' basic right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related to future policy changes in the field of online gaming were mad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체화와 헌법재판에서의 적용 - 헌재 2014.4.24. 2011헌마659등 결정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 한국헌법학회 21 (21): 527-568, 2015
2 성낙인,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적 기본권" 유럽헌법학회 (30) : 1-53, 2019
3 오세연, "청소년 보호 책임자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0 (10): 77-95, 2020
4 박경애, "온라인게임의 자율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20
5 김학범, "온라인 성매매 규제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온라인 성매매 방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 9 (9): 27-47, 2019
6 양철진, "온라인 게임에 나타난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385-408, 2006
7 김효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자본에 따른 게임 이용 특성 연구 : 20·30대의 경제·문화·사회자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8 김학범, "온라인 게임 범죄에 관한 연구 - 판례에서 나타난 범죄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소년정책학회 29 (29): 75-96, 2016
9 정호경, "온라인 게임 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위 고포류 게임의 사행성 논란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 (4): 7-40, 2011
10 정필운, "사이버공간에서 공익에 근거한 표현의 자유의 제한의 한계: 전기통신기본법 제47조 제1항 위헌론" 한국토지공법학회 49 : 501-530, 2010
1 박종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구체화와 헌법재판에서의 적용 - 헌재 2014.4.24. 2011헌마659등 결정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 한국헌법학회 21 (21): 527-568, 2015
2 성낙인,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문화적 기본권" 유럽헌법학회 (30) : 1-53, 2019
3 오세연, "청소년 보호 책임자 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0 (10): 77-95, 2020
4 박경애, "온라인게임의 자율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20
5 김학범, "온라인 성매매 규제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온라인 성매매 방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 9 (9): 27-47, 2019
6 양철진, "온라인 게임에 나타난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385-408, 2006
7 김효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자본에 따른 게임 이용 특성 연구 : 20·30대의 경제·문화·사회자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8 김학범, "온라인 게임 범죄에 관한 연구 - 판례에서 나타난 범죄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소년정책학회 29 (29): 75-96, 2016
9 정호경, "온라인 게임 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위 고포류 게임의 사행성 논란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 (4): 7-40, 2011
10 정필운, "사이버공간에서 공익에 근거한 표현의 자유의 제한의 한계: 전기통신기본법 제47조 제1항 위헌론" 한국토지공법학회 49 : 501-530, 2010
11 김종세, "문화산업으로서 인터넷게임에 관한 헌법적 쟁점 - 강제적 셧다운제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17 (17): 109-129, 2017
12 김현수, "게임중독에 관한 법제의 변화" 한국중독범죄학회 4 (4): 40-57, 2014
13 김영수, "放送通信審議에서 自律規制와 表現의 自由" 미국헌법학회 22 (22): 497-530, 2011
최근 미국과 캐나다에서 대마사용의 비범죄화 추세에 따른 한국의 대마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의료용 대마성분의 해외수입 허용 및 관리체계와 관련하여
마약류 범죄자의 효율적 처우방안을 위한 유형 및 특성 분석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변화와 자존감, 인터넷 중독의 관계 : 20, 30대 청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1.15 | 1.80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