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는 지방정부가 그 지역을 육성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략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정부는 고유한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 인적·물적자원 등을 최대로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899793
대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학위논문(박사) --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353.7 판사항(21)
대전
(A) Research Study on The Factors of Invigoration for The Local Cultural Policy Governance and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The Participants
ⅸ,176 p: 삽도; 26 cm.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은구
참고문헌: p. 14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축제는 지방정부가 그 지역을 육성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략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정부는 고유한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 인적·물적자원 등을 최대로 활...
지역축제는 지방정부가 그 지역을 육성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략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정부는 고유한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 인적·물적자원 등을 최대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그 지역을 홍보, 판매하는 마케팅적 사고와 전략을 수립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정책거버넌스는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과 관련하여 종래 지방정부 혼자만의 힘으로 밀어붙이던 의사결정이 벽에 부딪히자 지역차원에서 지방정부와 문화시민단체, 기업 등이 지역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정책을 결정하기 위해서 형성된 협력적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는 종래 지방정부 중심의 의사결정과 집행구조에서 벗어나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작용과정을 거쳐 서비스결정과 집행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관리형태인 로컬 거버넌스와도 관련이 깊다.
충청남도의 계룡시는 세계 유일의 동일한 지역에 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가 한자리에 입지하고 있는 특별한 지역이다. 계룡시는 지난 2003년 시승격을 성사시킨 지 6년째로 접어들고 있으며, 지금까지 계룡시와 계룡대 간의 민·군협력을 이룩하기 위해 ‘계룡시민·관·군정책협의회’를 정례적으로 운영해 오는 등 나름대로 지속적인 노력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아직은 계룡시와 계룡대 간에는 만족할 만한 민군협력이 미흡했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계룡지역의 축제는 현재 2개 축제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하나는 계룡시가 주관하여 개최하는 ‘계룡축제’이고 다른 하나는 계룡대(3군본부)가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계룡군문화축제’가 그것이다. 계룡시는 ‘민간 지역축제’라고 한다면 ‘계룡군문화축제’는 국민을 대상으로 군의 홍보를 목적으로 전개하는 전국규모의 축제라는 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계룡지역축제가 개최되어 오면서 나타난 구조적 특징은 무엇이며, 특히 참여주체들(지역주민, 민간시민사회단체, 공무원) 간의 협력적인 네트워크와 통합적인 로컬 거버넌스를 구축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를 슬기롭게 넘어서서 지역축제를 성공적으로 기획,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방법은 무엇이며, 특히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에 입각한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사회와 군이 공존하는 조건에서 상호협력적 관계증진과 특히 계룡지역축제를 매개로 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민·관·군간 협력체계 구축의 조건과 운영기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계룡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축제인 ‘계룡축제’와 ‘계룡군문화축제’와 관련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문화정책 거버넌스 차원에서 민·관·군 간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요인(influential factors)을 도출해 보고, 앞으로 효율적인 민·관·군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에 본 조사를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거버넌스의 역량과 산출 간의 관계는 축제준비 요인이 운영기반 확보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축제준비 요인이 참여 소통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도 채택되었고, 축제준비 요인이 지원시스템 구축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축제준비 요인이 협력관계 유지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참여주체들간의 축제준비와 협력관계의 유지는 별개임을 보여준다.
둘째, ‘계룡축제’와‘계룡 군문화축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룡축제’는 공무원, 주민단체, 일반시민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룡 군문화축제’는 일반시민, 공무원, 주민단체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군가족 구성원들이 일반시민집단으로 포함되어 응답하였기 때문에 ‘계룡 군문화축제’는 지역주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룡축제’와‘계룡 군문화축제’의 통합운영은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나머지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지역의 문화적 조화와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증진 및 민·군간의 협력 필요에 대해서는 공무원이 가장 높게 응답했다. 한편, ‘계룡축제’와‘계룡 군문화축제’의 통합운영은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와 그 필요성이 계속하여 주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주체별로 지역축제 거버넌스 역량강화는 참여주체들의 자발적 참여가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축제 거버넌스 역량강화 차원에서 축제추진위원회의 구성·운영,‘계룡시민·관·군정책협의회'와의 연계운영, 소규모 포럼운영 및 사전평가, 중간평가, 사후평가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시민사회단체들과와 지속적 협력관계 구축은 지역축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이루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festivals are the importantstrategic activities for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and to develop thecommunity.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s fully utilize its unique history,culture, tourist resource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establish...
Local festivals are the importantstrategic activities for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and to develop thecommunity.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s fully utilize its unique history,culture, tourist resource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establish marketing ideas and strategies to publicize the community and strive to attract many tourists.
Cultural Policy Governance is a cooperative network, which was created since the traditional local governments had difficulties with decision-making for cultural industries. This cultural policy governance decides cultural policie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s such as local governments, cultural civil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This is similar to local governance, which goes beyond the traditional local government decision-making and enforcement structure, and this is a network created by various parties from local areas to decide services through an interactive process and to participate the executions together.
Gyeryong-si in Chungcheongnam-do is the world's only place where headquarters of Army, Navy, and Air Force are all located in the same area. Gyeryong-si has been officially a city for 6 years since 2003 and Gyeryong-si and Gyeryong Military is putting ongoing efforts to establish cooperation between civil and military by operating a regular 'Gyeryong Civil, government, military policy council'. However, there have been ongoing criticisms on the cooperation between Gyeryong-si and Gyeryong Military for unsatisfactory.
Currently, there are 2 different festivals in Gyeryong area. One is "Gyeryong Festival', hosted by Gyeryong-si, and the other one is 'Gyeryong Military Cultural Festival', hosted by Gyeryong militaries (3 military headquarte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estivals; Gyeryong-si is hosting a private local festival but 'Gyeryong Military Cultural Festival'is a nationwide festival to publicize the militaries.
As both festivals are held in Gyeryong a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structure characteristics were appeared and, especially, what has been done to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between the participants (local residents, private civil society organization, and government) and theintegrated local governance. Moreover, beyond these issue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find out what were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methods to plan and operate local festivals successfully and also the success key factors based on the local cultural policy governanc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derive conditions and operation mechanisms of establishing civil, military and 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which can be created through improvement of the mutual cooperation relationship and the mutual work through Gyeryong local festival, under conditions of coexistence of civil society and military. For this purposes, we've derived influential factors on collaborative governance between the civil, military and government, in terms of cultural policy governance,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lated to 'Gyeryong Festival' and 'Gyeryong Cultural Festival' and take this opportunity to build more effective civil, military and 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Results that we've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and production of local festival governance has selected hypothesis of how festival preparation factors influenced operation-based secure factor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factors, and support system establishment factors. However, a hypothesis ofhow festival preparation factor influenced coopera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factor was rejected. This proves that the festival preparation factor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maintenance of cooperation relationship are two different things.
Second, the result of awareness survey for 'Gyeryong Festival' and 'Gyeryong Military Festival' showed great differences. 'Gyeryong Festival'was highly influential to civil servants, social organization and local residents, in the order of greater response, and 'Gyeryong Military Festival'were highly influential to local residents, civil servants, and social organization, in the order of greater response. The families of military were counted as local residents and this have created a result of larger impact on the 'Gyeryong Military Festival'.
Third, statistically, the integrated operation of 'Gyeryong Festival' and 'Gyeryong Military Festival'had no significant meaning but the others showed significance. And among these, the civil servantshad highest response on a need for value increase on cultural harmony and tourism resources of the region and cooperation with civil and military. Even though the integrated operation of 'Gyeryong Festival' and 'Gyeryong Military Festival' had no significant meaning in statistically, the overall average was high, which continuously argue for the need of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the local festival governance should be done widely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participants. In the aspect of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the local festival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nd operate a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ssociate with 'Gyeryong civil, military, government policy council', operate a small forum and perform a pre-assessment, progress-assessment and post-implementation assessment.
Second, an establishment of ongoing partnership with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be done since the festival planning stage and must institutionalize responsibility and roles and it is important to generatepublic participation.
Third, since the hosts for 'Gyeryong Festival' and 'Gyeryong Military Festival' are different, it would be premature for integration as of now, however, joint facility and resource activities, sharing programs, joint venture bud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