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수업 이외에 문화예술경험의 기회가 적은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연계를 기반으로 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9835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인천
vii, 82 p . 26 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 in Culturally Alienated Areas: focused on the Hadong Local Educational Community
지도교수:정현
참고문헌: p.76-78
I804:23009-20000029343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수업 이외에 문화예술경험의 기회가 적은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연계를 기반으로 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
본 연구는 학교수업 이외에 문화예술경험의 기회가 적은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연계를 기반으로 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지역연계 미술의 교육적 기능을
살펴보고 하동군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오늘날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문화예술교육은 누구나 평등하게 문화
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환경적 요인
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이 무수히 많다. 따라서 이곳
의 학생들은 또래에 비해 문화예술을 경험할 기회가 부족해 시간이 지날수
록 문화격차는 점 커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문화소외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술프로그램 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나 실제 이러한 지
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
으로 본 연구는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미술교육의 실제적인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고, 학교미술교육과정과 지역연계를 통하여 삶 속에서 미술
을 찾고 내재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
은 목적을 가진 마을교육공동체에서 문화소외지역에 적합한 미술교육과정
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는 민, 관, 학의 협
력 사업으로 물적, 인적 지원을 활성화하여 문화소외지역에서 학생들의 다
양한 문화예술경험에 도움을 준다. 이는 문화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궁극적
으로 학생들이 또래집단과 공동체를 형성하는 장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게 판단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연계하는 과정을 구체화하
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중심 공동체 미술의 프로
그램을 적절하게 연계하기 위하여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현황을 분석하
여 긍정적인 교육적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2015 개정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과 학습모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해 및 감상, 표현활
동으로 구성된 통합적인 체험활동을 토대로 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
었다. 셋째, 실제 문화소외지역에 해당하는 하동군 마을교육공동체를 대상
으로 참여관찰 연구를 실행한 결과 사교육의 영향력이 전무하여 기초적인
미술문화 지식이 부족했던 학생들이 미술에 대한 인식개선에 도움이 주는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 또한 미술이 실생활과 가까운 교과라는 점을 인지
하고 학교와 나, 주변 환경을 연결 지어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태도 함양
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소외지역의 소외현상은 비단 미술프로그램 뿐
만 아니라 다른 교과목에서도 함께 나타나는 문제로서 모두가 함께 해결
해 나가야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마을교육공동체가
추구하는 목적인 공교육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어린 시절의 다양한 경험은 삶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 기회를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들에게 제공하
기위해 미술 전문가, 교사와 학부모, 지역단체는 협력해야 한다. 마을이
학교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소외지역에서의 미술 프로그램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