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임경찰관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 사이에 대한 인과성 분석 =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a New Police Officer and the Motive of Public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26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찰이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적·행태적 노력과 실제 많은 개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인식하는 치안서비스의 양과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존재한다. 경...

      경찰이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적·행태적 노력과 실제 많은 개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인식하는 치안서비스의 양과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존재한다. 경찰과 시민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인식차이요인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는 경찰 개인인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와의 인과성을 분석하여 치안서비스라는 공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임경찰관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경찰이 되고 중앙경찰학교에서 일정기간동안 교육훈련과 조직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찰관이 된다. 그리고 교육훈련을 통해 공공조직에서 추구하는 공직가치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뒷받침해주는 공공봉사동기의 세가지 차원 중 정서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나타났다. 특히 신임경찰관은 입직동기에서 대시민 서비스가 정서적 차원에서 “희생”과 “동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권력성은 “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이 조직사회화 과정 이전에 나타난 입직동기가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앙경찰학교 교육훈련과정에서 권력적 작용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향후 공공봉사동기 발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교과목에 대하여 공공봉사동기에 기반이 되는 공공성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하고 합리적인 균형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consensus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that citizens perceive are still insufficient, despite the ongoing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efforts to improve police services and many improvemen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

      There is a consensus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that citizens perceive are still insufficient, despite the ongoing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efforts to improve police services and many improvemen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olice and citizen policing services, but in this study, the police service approach is call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an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 new police officer becomes a police officer with varying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dividual, and becomes a police officer while undergoing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public service values pursu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re formed in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ree 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particular, new police officers showed positive impacts on "sacrifice" and "sympathy" in emotional dimensions of motivations for “recruitment”, while “power” has a negative effect on "sacrifi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before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ffecte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the subject of the power action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was neg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and reasonable equilibrium to form the publicity based on public service motiv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subject for the new police offic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럴드경제"

      2 최정묵, "행정학 전공 대학생들의 공직과 공직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253-277, 2016

      3 강동철,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81-418, 2016

      4 이하영, "조직적 요인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의 욕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6 (16): 53-91, 2017

      5 한에스더, "조직경험과 업무특성이 PSM(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0 (50): 89-112, 2012

      6 김소희, "일선관료의 서비스 지향과 행동에 대한 분석: 공공봉사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7 (17): 25-58, 2018

      7 박재풍,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에 관한 연구" 2009 (2009): 27-40, 2009

      8 박정호, "목표명확성이 공공봉사동기(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7 (17): 195-219, 2018

      9 조규형, "국가공무원 지원자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7급 및 9급 공무원 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97-118, 2016

      10 김서용, "공직동기(PSM)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44 (44): 147-177, 2010

      1 "헤럴드경제"

      2 최정묵, "행정학 전공 대학생들의 공직과 공직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253-277, 2016

      3 강동철,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81-418, 2016

      4 이하영, "조직적 요인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의 욕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6 (16): 53-91, 2017

      5 한에스더, "조직경험과 업무특성이 PSM(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0 (50): 89-112, 2012

      6 김소희, "일선관료의 서비스 지향과 행동에 대한 분석: 공공봉사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7 (17): 25-58, 2018

      7 박재풍,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에 관한 연구" 2009 (2009): 27-40, 2009

      8 박정호, "목표명확성이 공공봉사동기(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7 (17): 195-219, 2018

      9 조규형, "국가공무원 지원자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7급 및 9급 공무원 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97-118, 2016

      10 김서용, "공직동기(PSM)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44 (44): 147-177, 2010

      11 최낙범,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69-198, 2016

      12 정연순, "공무원 채용 시험 준비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13): 123-146, 2010

      13 이혜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기관유형에 따른 조절효과와 공정성인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349-388, 2017

      14 임의영,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정부학연구소 9 (9): 2-50, 2003

      15 김상묵, "공공성 및 공공봉사동기 증진을 위한 교육방안"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181-204, 2016

      16 박순환,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정부출연기관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81-207, 2017

      17 박순애, "공공봉사동기와 성과중심 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직봉사동기의 구축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조직학회 14 (14): 97-128, 2017

      18 박주원,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2 (22): 195-233, 2016

      19 정세종,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Q 방법론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39-650, 2014

      20 장철영, "경찰지구대의 치안서비스가 시민의 안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103-114, 2018

      21 주재진, "경찰공무원의 입직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0 (10): 223-243, 2008

      22 이영균, "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211-238, 2014

      23 "경상매일신문"

      24 Milton, C., "Women in policing" The Police Foundation 1972

      25 Lester, D., "Why do people become police officers : A study of reasons and their predictions of success" 11 : 170-174, 1983

      26 Houston, D. J., "Walking the walk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ublic employees and charitable gifts of time, blood, and money" 16 (16): 67-86, 2006

      27 Rainey, H. G.,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Jossey Bass 2014

      28 Camilleri, E., "Towards Developing an Organizational Commitment-Public Service Motivation Model for Maltese Public Service Employees" 21 (21): 63-83, 2006

      29 RAND, "Today’s Police and Sheriff Recruits: Insight from the Newest Members of America’s Law Enforcement Community"

      30 McNamara, J. H., "The police: Six sociological essays" John Wiley 163-252, 1967

      31 Perry, J. L., "The motivational bases of Public Service" 50 (50): 367-373, 1990

      32 Clerkin, R. M., "The 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sector work preferences" 32 (32): 209-235, 2012

      33 Moynihan, D. P., "The Role of Organizations in Foster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67 : 40-53, 2007

      34 Wittmer, D., "Serving the People or Serving for Pay : Reward Preferences Among Government, Hybrid Sector, and Business Managers" 14 (14): 369-383, 1991

      35 Rainey, H. G., "Reward preferences among public and private managers : In search of the service ethic" 16 (16): 288-302, 1982

      36 Andersen, L. B., "Public service motivation, user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 A question of employment sector?" 16 (16): 252-274, 2013

      37 Rankin, J. H., "Preventive psychiatry in the Los Angeles Police Department" 28 : 24-29, 1957

      38 Cumming, E., "Policemen as philosopher, guide and friend" 12 : 266-268, 1965

      39 Lester, D., "Police roles : Discretion and danger" 51 : 318-, 1980

      40 Fekjaer, B. S., "Police Students’ Social Background, Attitudes and Career Plans, Policing" 37 (37): 467-483, 2014

      41 이근주, "PSM과 공무원의 업무 성과" 서울행정학회 16 (16): 81-104, 2005

      42 Chao, G. 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Its Content and Consequence" 79 (79): 730-743, 1994

      43 White, M. D., "Motivations for becoming a police officer : Re-assessing officer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after six years on the street" 38 (38): 520-530, 2010

      44 Perry, J. L., "Motivation in public management. The call of public serv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5 Perry, J. L., "Measur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 An assessment of construct reliability and validity" 6 (6): 5-22, 1996

      46 Knoke, D., "Individual motives and organizational incentive systems" 1 (1): 209-254, 1982

      47 Meagher, S., "Choosing a career in policing: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perceptions" 14 : 320-327, 1986

      48 Niederhoffer, A., "Behind the shield: The police in urban society" Anchor Books 1967

      49 Kim, Sangmook., "A Country-Specific Measur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Democratic Countr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