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병헌(李炳憲)의 금문경학적 『역경(易經)』 이해 -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를 중심으로 - = Lee Byung-hun 李炳憲’s Understanding of the Yijing 易經 Based on New Text Classical Learning-Focusing on Tai Hexagram 泰卦 and Pi Hexagram 否卦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0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일제강점기 유학자로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측면에서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비롯하여, 『시경(詩經)...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일제강점기 유학자로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측면에서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비롯하여,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經)』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생애 만년에 『역경』 연구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병헌이 금문에 기초한 『역경』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역경』 연구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역경』 관련 저작인 『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 『수화개벽설(水火開闢說)』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이병헌전집(李炳憲全集)』에 실린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경』에 공자의 미언대의(微言大義)가 담겨 있다는 이병헌의 기본 전제에 기초하여, 『역경』 상경(上經)의 괘서(卦序) 가운데 특히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화개벽설』에서 이병헌이 제시한 원세운회(元世運會)를 중심으로 하여 우임금 치수로 대표되는 태괘의 시대로부터 이병헌 당시의 비괘의 시대에 관한 그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서, 유가경전 특히 『역경』을 프레임으로 하여 사회와 역사, 세상을 바라보았던 이병헌의 고민과 시대에 대한 성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he had a academic characteristic to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New Text Confucian. He left behind his studies on Yijing, Shijing ...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he had a academic characteristic to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New Text Confucian. He left behind his studies on Yijing, Shijing 詩經, Shujing 書經, Lijing 禮經, and etc. Especially in his later years,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the Yijing. This paper explor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Lee Byung-hun’s research on the Yijing, which is based on New Text classics. To do this, this paper focuses on his Yijing-related works, the Yeokgyeong Geummungo 易經今文考 and the Suhwa Gaebyeokseol 水火開闢說 and explores relevant contests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Lee Byung-hun 李炳憲全集.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ses the meaning of Tai 泰卦 and Pi Hexagrams 否卦 in the “Shangjing 上經”’s Hexagram sequences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Lee Byung-hun that the Yijing contains Confuciu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Fu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is discuss on from the age of Tai Hexagra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Yu 禹’s controlling waters, to the age of Pi Hexagram, which means the ear Lee Byung-hun liv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s how Lee Byung-hun recognized society, history, and world by using the frame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Yijing, as on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during Japanese Ruling Er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炳憲, "李炳憲全集 上‧下" 아세아문화사 1972

      2 "합천이씨 <인터넷 족보>"

      3 양계초, "중국 근대의 지식인: 梁啓超의 『淸代學術槪論』" 혜안 2005

      4 廖名春,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2009

      5 임재규, "이병헌(李炳憲)의 공자(孔子) 십익지설(十翼之說) 비판–강유위(康有爲)의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의 영향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34) : 1-32, 2018

      6 최정준, "이병헌(李炳憲)의 괘변설(卦變說)과 책수론(策數論) 분석" (사)율곡학회 40 : 417-453, 2019

      7 금장태, "유교개혁사상과 이병헌" 예문서원 2003

      8 김동민, "공자개제고" 세창출판사 2013

      9 李炳憲, "韓國易學大系 제49책: 易經今文考" 한미문화사 1998

      10 安居香山, "緯書集成" 河北人民出版社 1994

      1 李炳憲, "李炳憲全集 上‧下" 아세아문화사 1972

      2 "합천이씨 <인터넷 족보>"

      3 양계초, "중국 근대의 지식인: 梁啓超의 『淸代學術槪論』" 혜안 2005

      4 廖名春,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2009

      5 임재규, "이병헌(李炳憲)의 공자(孔子) 십익지설(十翼之說) 비판–강유위(康有爲)의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의 영향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34) : 1-32, 2018

      6 최정준, "이병헌(李炳憲)의 괘변설(卦變說)과 책수론(策數論) 분석" (사)율곡학회 40 : 417-453, 2019

      7 금장태, "유교개혁사상과 이병헌" 예문서원 2003

      8 김동민, "공자개제고" 세창출판사 2013

      9 李炳憲, "韓國易學大系 제49책: 易經今文考" 한미문화사 1998

      10 安居香山, "緯書集成" 河北人民出版社 1994

      11 皮錫瑞, "經學歷史" 中華書局 2004

      12 李炳憲, "水火開闢說" 晉州開文社 1930

      13 公羊壽, "春秋公羊傳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14 康有爲, "新學僞經考" 三聯書店 1998

      15 李耀仙, "廖平選集 上" 巴蜀書社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