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억의 ‘창작적 역시’의 사적(史的) 의미 = Tagore, 增野三良, 한용운 시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계보상으로 뚜렷한 작가들만을 중심으로 우리 근대시사를 이야기하기보다는, 우리의 근대시형, 시체 형성에 있어서 그 기본적 바탕이 되었으면서도 부각되지 못해온 근대시 형성...

      이 연구는 계보상으로 뚜렷한 작가들만을 중심으로 우리 근대시사를 이야기하기보다는, 우리의 근대시형, 시체 형성에 있어서 그 기본적 바탕이 되었으면서도 부각되지 못해온 근대시 형성의 주역인 김억의 역시와 그것의 시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즉 이 글은 김억이 서구시의 주체적 수용과 우리 근대시의 창조라는 당대 시대적 요구를 그의 창작적 역시를 통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하였는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그 작업은 김억의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하여 타고르의 『GITANJALI』, ?野三良의 『印度新詩集』,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시편들을 비교하면서 우리의 근대 종교적 산문시형, 시체가 김억에 의해 ‘주체적으로’ 형성되고 한용운에 의해 그것이 발전적으로 전개되는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김억의 창작적 역시가 ‘원어역’임을 확인, 검토하였으며 고전시가에서 근대시로의 이행기에서 그의 창작적 역시가 지닌 문학사적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김억의 『기탄자리』는 우리나라 최초 서구근대시 원어역시집이면서 번역의 수준이 오늘날의 전문가급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김억의 『기탄자리』의 발간 이후 두 해 후에 출간된 한용운의 『님의 침묵』?역시 김억의 창작적 역시형, 시체, 시어법을 보여준다. 단적으로, 김억이 원시의 시적 대상을 절대적 존재로서 간주하여 극존칭의 ‘-습니다’체를 선택하고 ‘아아-구문’과 ‘-습니다’를 활용하여 종교적 산문시 특유의 유장한 리듬을 만들어내는 방식은 한용운 산문시의 언어구조에서도 주요한 특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용운은 김억이 고안한 우리식 종교산문시의 일관된 ‘습니다체’를 자신의 종교적 산문시의 시형, 시체로서 수용, 그것을 발전적으로 전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Kim-eok"s poetry-translation and its historic meaning in the point of view that he is the driving force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His poetry made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nonetheless his contributi...

      This article discusses Kim-eok"s poetry-translation and its historic meaning in the point of view that he is the driving force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His poetry made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nonetheless his contribution to Korean poetry has not been stood out. In other words, it examines how he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independent acceptance of Western Modern poetry and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his creative translation,
      Concretely, i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he made modern poetic style and the form of religious prose poem independently then Han Young-Un developed it,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poetry of Tagore"s 『GITANJALI』? and Han Young-Un"s ?『Nim-eu-chim-mook』?(his silence) and Masino Saburo"s ?『印度新詩集』?(anthology of Indian new poetry).
      It reviews the historic meaning of Kim-eok"s creative translation in Korean literary genealogy and examines his creative translation was not a retranslation from Japanese translated by a Japan scholar to Korean but a direct translation from English to Korean. Above all, Kim-eok"s 『GITANJALI』 is excellent even if compared with that of today‘s expert translator as the first translated book in Korean and direct translation. We can also find his poetic style in Han Young-Un"s ?『Nim-eu-chim-mook』(his silence) published two years later after Kim-eok"s?『GITANJALI』.
      Simply put, Kim-eok uses the most honorific title (‘seumnida’) and ‘ar-’ sentence structure to make lengthy rhythm matching to religious prose poem, and then it develops in the linguistic structure of Han Young-Un"s prose poem as a major characteristic. Han Young-Un had accepted Kim-eok"s writing style ("seumnida") and developed it as a poetic form and a writing style in his religious prose poe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서구근대시의 주체적 수용: ‘우리말 구어체’ 지향의 ‘창작적 원어역’
      • 3. 우리 근대 산문시형,시체의 창조: ‘-습니다체’와 ‘아아- 구문’
      • 4. 결론
      • 〈국문 요약〉
      • 1. 서론
      • 2. 서구근대시의 주체적 수용: ‘우리말 구어체’ 지향의 ‘창작적 원어역’
      • 3. 우리 근대 산문시형,시체의 창조: ‘-습니다체’와 ‘아아- 구문’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일지사 212-232, 1982

      2 최동호,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9) : 11-48, 2011

      3 김억, "잃어진 진주" 평문관 1924

      4 김억, "오뇌의 무도" 광익서관 1921

      5 박경수, "안서 김억 전집" 한국문화사 1987

      6 구인모, "시, 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김억의 「작시법(1925)」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소 (25) : 297-316, 2002

      7 한용운, "님의 침묵"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8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와 근대시 형성" 소명출판 2014

      9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가 근대시에 미친 영향 - 한용운 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3) : 323-351, 2014

      10 최라영,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3) : 335-362, 2012

      1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일지사 212-232, 1982

      2 최동호,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9) : 11-48, 2011

      3 김억, "잃어진 진주" 평문관 1924

      4 김억, "오뇌의 무도" 광익서관 1921

      5 박경수, "안서 김억 전집" 한국문화사 1987

      6 구인모, "시, 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김억의 「작시법(1925)」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소 (25) : 297-316, 2002

      7 한용운, "님의 침묵"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8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와 근대시 형성" 소명출판 2014

      9 최라영, "김억의 창작적 역시가 근대시에 미친 영향 - 한용운 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3) : 323-351, 2014

      10 최라영,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3) : 335-362, 2012

      11 최라영,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고찰 - 『잃어진 진주』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4) : 401-439, 2011

      12 김억, "기탄자리" 이문관 1923

      13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973

      14 김욱동, "근대의 세 번역가: 서재필, 최남선, 김억" 소명출판 2010

      15 沈善玉, "근대시 형성과 번역의 상관성―金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321-351, 2008

      16 김진희, "근대 문학의 場과 김억의 상징주의 수용"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8 (8): 334-357, 2004

      17 金恩典, "金億의 프랑스 象徵主義 受容樣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18 小林愛雄, "近代詩歌集" 估堂書肆 1918

      19 조동구, "岸曙 金億 硏究: 詩論과 詩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9

      20 増野三良, "印度新詩集" 東雲堂書店 1915

      21 박현수, "『십현담주해』의 언어관과 한용운의 시론" 한국현대문학회 (38) : 115-145, 2012

      22 하재연, "‘조선’의 언어로 한용운에게 찾아온 ‘생각’ -『기탄잘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한용운의 『님의 침묵』-" 한국근대문학회 1 (1): 275-304, 2009

      23 "POEMS BY ARTHUR SYMONS" WILLIAM HEINEMANN 1912

      24 Tagore, "GITANJALI" Macmillan Co 1913

      25 이수정, "<님의 침묵>에 나타난 R. 타고르의 영향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8 : 459-470, 2003

      26 장정희, "1920년대 타고르 시의 수용과 小波 方定煥의 위치" 인문과학연구소 (63) : 1-28, 2011

      27 오문석,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민족문학사학회 (45) : 30-5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