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의 분할에 대한 문제점이 의사, 약사, 환자 모두에게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제의 제형에 있어서 용량 다양성이 적은 약품과 한가지 함량만 시판되는 경우에는 환자 개별에 맞...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73166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9. 2
2019
한국어
서울
Analysis of prescriptions for splitted tablet using the HIRA-NP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patient sample)
94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신주영
참고문헌 : p. 74-76
I804:11040-0000001505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제의 분할에 대한 문제점이 의사, 약사, 환자 모두에게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제의 제형에 있어서 용량 다양성이 적은 약품과 한가지 함량만 시판되는 경우에는 환자 개별에 맞...
정제의 분할에 대한 문제점이 의사, 약사, 환자 모두에게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제의 제형에 있어서 용량 다양성이 적은 약품과 한가지 함량만 시판되는 경우에는 환자 개별에 맞춘 용법 용량을 처방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다른 제형을 처방 또는 해당 정제를 분할하는 처방을 한다. 이렇게 분할 처방된 정제를 약국에서 조제하는데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야기된다. 우선 정제 개별적인 특성이 달라 일률적인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1회 투약량에 따라서 부정확한 분할 조제가 야기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분할 조제 시 발생하는 가루와 분진이 조제하는 취급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며, 약사의 성별, 건강 상태, 개인적인 특성 등에 따라서 해당 약품들의 접촉 및 흡입은 부작용 위험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오래전부터 개선책을 마련해 달라는 건의가 많이 있었지만, 현재까지도 적합한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지 않은 체 분할 조제가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또한, 복용하는 환자에게도 분할 시 소실되는 주성분, 질량 편차, 단면 노출 등과 같이 의약품의 유효성, 안전성, 안정성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발생하여 치료 효과 감소와 안전성 문제가 발생하여 더 큰 위험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제의 분할 처방과 조제에서 적합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를 제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분할 정제의 전체적인 현황과 양상 확인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자료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분할 처방 양상과 의약품 기준, 연령, 진료과목, 요양기관 종별, 위해 약물과 같이 세부의 카테고리를 설정, 분석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1회 투약량이 1정이 아닌 결과는 7,803,371건(18.18%)이며, 정제의 분할 결과는 6,687,356건(15.58%)으로 산출되었고, 1회 투약량의 용량은 1정, 0.5정, 2정, 0.3333정, 0.6667정, 1.5정…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20세 이상)의 분할 결과는 3,118,808(8.6%) 이며, 노인(65세 이상)의 분할 결과는 1,389,389(8.84%), 미성년자(19세 이하)의 분할 결과는 3,568,548 (53.67%) 결과가 산출되어 소아 청소년층에서 분할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진료과목 소아청소년과가 1,284,690(65.57%)으로 진료과목 중 가장 높은 분할률 결과가 산출되었다.
가장 높은 분할률로 산출된 약품은 Formoterol fumarate 40㎍으로 89.94%(66,698건)로 산출되었고, 이 약품은 20㎍의 저용량이 존재하였음에도 높은 분할률이 나타났으며, 20㎍ 또한, 78.51% (83,488건)의 높은 분할률이 산출되었다.
분석 대상의 요양기관 종별을 모두 포함한 결과 NIOSH-Hazardous Drug List의 수록된 성분 중 NPS에서 정제의 분할 조건을 갖춘 데이터가 모두 검색되어 5건이 산출된 선행 연구와 비교해 총 44건이 산출되어 위해 약물 처방의 양상과 이에 따른 부작용을 파악하는 데 더욱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분할 처방 현황에 대한 파악과 이에 대한 문제점 인식, 저용량 개발, 분할 조제 가이드라인 제정, 위해 약물 분할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의 개선을 통해 합리적인 진료, 처방, 조제, 복약지도, 복용을 통한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여 개선 및 해결책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s with splitted tablets have continuously being raised by doctors, pharmacists and patients. But so far, the split of the tablet has been done routinely due to various reasons. First of all, the tablet content type is not varied and Individ...
The Problems with splitted tablets have continuously being raised by doctors, pharmacists and patients. But so far, the split of the tablet has been done routinely due to various reasons. First of all, the tablet content type is not varied and Individual patient doses should be determined. It should be considered the economical aspect for saving of medicine’s price as well. As a result, Splitting the tablet has been prescribed until now as inevitable choice.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splitted tablets are prepared at pharmacy. First, it is difficult to divide splitting-tablet prescribed, accuratel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blets are all different. Second problem is powder and dust arising when preparing tablets and Contact. Inhalation of flour may indicate the occurrence of physical side effects to the operator. Finally correct dose is not delivered to the patient, and is not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splitted tablets, this study is Used the HIRA-NPS data to analyze the overall situation in which the tablets are splitted and confirm the detailed result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for example Age, Sex, Medical subject, Medical center, Medicine, Etc.
The results for not one tablet in one-time dose were calculated as 7,803,371 cases (18.18%) and really splitted tablet for divided doses were calculated as 6,687,356 cases (15.58%). The results of tablet content sequence in one-time dose were calculated as 1 tablet, 0.5 tablet, 2 tablet, 0.3333 tablet, 0.6667 tablet, 1.5 tablet, 0.25 tablet, 0.1667 tablet and 0.4167 tablet.
The splitted tablet result of adults (over 20 years old) were 3,118,808 cases (8.6%),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were 1,389,389 cases (8.84%) and minor (under 20 years old) were 3,568,548 cases (53.67%). The highest splitted tablet result indicated in the minor among age group. As a result, the pediatrics outcome was calculated the highest 1,284,690 cases (65.57%) among the medical courses. In addition, the clinic indicated the highest splitted tablet result as 6,543,360 cases (19.17%) in the medical center category.
The highest result about active ingredient of split tablet was calculated as 89.94% (66,698 cases) with 40 ㎍ of Formoterol fumarate. and Formoterol fumarate 20㎍ also was calculated high splitted tablet rate of 78.51% (83,488 cases). Likewise, 51 drugs (including Methyl Prednisolone,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 , Microencapsulated acetaminophen, Diazepam, Levodropropizine, Etc.) had low doses. Nevertheless, there were many split prescription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including all hospital data, many components listed in the NIOSH-hazardous drug list were more detected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ing analyze. I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4 divided Prescriptions were detected, and this study were detected 44 divided Prescriptions. And It is able to check detailed prescription patterns of split hazardous drugs based on these result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esent state of splitted tablet prescription in Korea. (inevitable, unavoidable) and Based on the detailed results of each category,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split of tablets.
Finally, This study result will help to evolve solutions such as developing various dose, developing low dose, securing safety in splitting preparation, using superior medicines, reducing side effects of splitted tablet,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guidelin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