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은 기초과학 연구와 산업의 성과가 연결된 특성이 있으며, 인간의 건강과 직결된 의약품을 다루는 산업으로써 정부의 규제가 반영되는 산업적 특수성을 갖고 있다. 제약바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72948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9. 2
2019
한국어
서울
Configurational conditions for innovation performance of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OECD nations
54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상원
참고문헌 : p. 49-52
I804:11040-0000001503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약바이오산업은 기초과학 연구와 산업의 성과가 연결된 특성이 있으며, 인간의 건강과 직결된 의약품을 다루는 산업으로써 정부의 규제가 반영되는 산업적 특수성을 갖고 있다. 제약바이...
제약바이오산업은 기초과학 연구와 산업의 성과가 연결된 특성이 있으며, 인간의 건강과 직결된 의약품을 다루는 산업으로써 정부의 규제가 반영되는 산업적 특수성을 갖고 있다. 제약바이오산업의 성과는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및 기업의 R&D 투자, 연구 인력, 의약품 인허가 등의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성격을 갖는 제약바이오산업의 혁신성과에 대해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원인 조건 조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및 양적 분석의 상호보완 방법인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를 사용하여 OECD 국가 대상의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성과에 대한 원인조건 집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 체계를 이루는 요소로 제약산업 내 기업의 R&D지출, 연구자 수, 규제의 질, 법치주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으며, 혁신성과를 대표하는 변수로 생명공학 분야의 특허 출원 수 및 제약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을 선정하였다. OECD 회원 29개국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상관분석 및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약산업 내 기업의 R&D지출이 크고, 연구자 수가 많으며, 규제의 질이 좋지 않은 국가는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의 성과 지표인 생명공학 특허 출원 수를 많이 보유할 확률 및 제약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이 높을 확률이 크다. 둘째, 제약산업 내 기업의 R&D지출이 크고, 연구자 수가 많으며, 법치주의 지수가 높은 국가는 제약바이오산업 혁신의 성과 지표인 생명공학 특허 출원 수를 많이 보유할 확률 및 제약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이 높을 확률이 크다. 셋째, 연구자 수가 적은 국가는 생명공학 특허 출원 수가 적다. 넷째, 제약산업 내 기업의 R&D지출 규모가 큰 국가는 많은 수의 생명공학 특허 수를 보유하며, 제약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이 높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약바이오산업에서 혁신성과를 낳기 위한 제약산업 내 기업의 R&D지출과 연구자 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혁신성과를 토대로 한국이 어떠한 유형의 혁신 체계 원인집합에 속하는지 집합이론을 바탕으로 파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that link the results of basic science research and industry. It is an industry that deals with human health, and has industrial specificity that reflects government regu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that link the results of basic science research and industry. It is an industry that deals with human health, and has industrial specificity that reflects government regu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will be reflected in various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ies to cultivate the pharmaceutical industry, R&D investment of companies, research personnel, and regulation of medicin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novation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OECD countries in terms of the lack of research using the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bout innovation system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system are Business enterprise expenditure on R&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e number of researchers, quality of regulation and rule of law.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the biotechnology sector and the export market shar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ere selected as the variables representing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perform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fuzzy set qualita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fsQCA) were used for 29 countries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untries with high business enterprise expenditure on R&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and poor regulatory quality are more likely to have many of biotechnology patent applications. Second, countries with high business enterprise expenditure on R&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many of researchers and high rule of law index have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many of patent applications for biotechnology and the high export market share of pharmaceutical industry. Third, countries with fewer researchers have fewer biotechnology patent applications. Fourth, countries with high business enterprise expenditure on R&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ve a large number of patents for biotechnology and the high export market share of pharmaceutical industry. The importance of business enterprise expenditure on R&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number of researchers to generate biopharmaceutical innovation performance was identified. And based on the set theor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found what types of configurational conditions cause innovation performance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